36 현대영문헌 84

서로박: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2)

9. 미래 사회에서의 종교와 교육: 미래 사회에서는 종교 그리고 신이 그다지 커다란 영향을 떨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신을 숭배하는 종교가 존속되면, 사회의 구성원 역시 계층을 구분하게 되고, 권력을 탐하게 되며, 다른 사람들을 감시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사항 때문에 마지 피어시의 소설은 출간 이후에 미국의 많은 종교인들로부터 혹독한 비난을 받았습니다. 피어시의 문학은 전통 윤리와 기독교의 세계관을 허물게 하며, 혼란과 무질서를 부추기고 있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렇지만 작가가 종교의 영향을 지극히 제한시킨 까닭은 무작정 종교를 부정하고 싶은 의도 때문은 아닙니다. 작가는 대부분의 종교가 전통적인 관습을 준수하고, 계층 사회를 유지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는 것을 예리하게 간파하고, 이를 수정하..

36 현대영문헌 2022.08.28

서로박: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1)

1. 계층 구분이 없는 미래의 어떤 대안 사회: 친애하는 P, 오늘은 마지 피어시의 페미니즘 계열의 사이언스 픽션에 반영된 유토피아를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첫째로 마지 피어시 (Marge Piercy, 1936 - )의 장편 소설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 Woman on the Edge of Time』는 1976년에 간행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그미의 네 번째 장편 소설에 해당합니다. 그 이전에 간행된 작품으로는 『빨리 아래로 내려가다 Going Down Fast』(1969), 『잠들기 위한 독수리 춤 Dance the Eagle to sleep』(1970), 『작은 변화 Small Changes』(1973) 등이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현대 사회는 권력 남용, 환경 파괴 그리고 여성에 대한 억압 등으로..

36 현대영문헌 2022.08.28

서로박: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2)

버나드는 문명사회로 돌아와서, 자신의 신청서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제반 서류를 인공 센터의 원장에게 보여줍니다. 그런데 원장은 새롭게 드러난 사실에 놀라움을 감추지 않으면서도, 존과 린다의 존재에 대해 몹시 부끄러움을 느끼며, 원장 직에서 물러나고 맙니다. 이로써 원장은 잃어버린 여자 친구 그리고 자신의 아들과 더 이상 대면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린다는 문명사회로 돌아온 다음부터 소마라는 마약을 복용하며, 다시금 허송세월을 보냅니다. 그러는 동안 버나드와 헬름홀츠는 뉴멕시코의 원시인들을 돕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곳을 자주 방문합니다. 존은 예비인간들 사이에서 살아온 경력으로 인하여 알파 인간 사회에서 일약 스타가 됩니다. 버나드 역시 예비인간들을 돌보는 사람으로서 각광을 받는데, 가급적이면 많은 저..

36 현대영문헌 2022.05.25

서로박: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1)

친애하는 H, 오늘은 영국 작가이자 문명 비판가인 올더스 헉슬리 (Aldous Huxley, 1894 - 1963)의 『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에 관해서 언급하려고 합니다. 이 작품은 1932년에 발표된 소설로서 헉슬리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입니다. 나아가 이 작품은 가상적 미래의 부정적 사회상이라는 놀라운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헉슬리의 이 작품은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자먀찐 (J. I. Jamjatin, 1884 - 1937)의 『우리』그리고 조지 오웰 (George Orwell, 1903 - 1950)의 『1984년』과 함께 오늘날 디스토피아 문학의 범례가 되는 문헌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세 작품들은 전체주의 사회에 고통을 겪는 개인의 삶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

36 현대영문헌 2022.05.25

서로박: 헨리 밀러의 '결실 맺는 고행'

친애하는 J, 오늘은 『북회귀선』으로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헨리 밀러 (Henry Miller, 1891 - 1980)의 『결실 맺는 고행 (The Rosy Crucifixion)』이라는 소설 삼부작에 관해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작품은 『섹스 (Sexus)』 (1949), 『얽힘 (Plexus)』 (1953), 『연결 (Nexus)』 (1960)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밀러는 처음부터 삼부작을 구상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세 작품 속에 용해되고 있는 전체적 방식입니다. 작가는 자신이 보낸 칠 년의 삶을 아무런 조건 없이 서술하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밀러는 프랑스로 도피하기 전, 1923년에서 1930년까지의 미국에서의 체험이 소설 속에 그대로 스며있습니다. 첫 번째 작품 『섹스 (Sexu..

36 현대영문헌 2022.03.22

서로박: 칼렌바크의 에코토피아 (2)

에코토피아인들은 가급적이면 모든 물건을 직접 손으로 제작합니다. 조립된 미니버스라든가 통나무 트럭들은 전복 껍질로 치장해 있으며, 최대한 시속 50 킬로미터로 달릴 수 있습니다. 차체 앞 축의 받침대는 금속 대신에 나무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에코토피아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목재 산업과 관련된 것입니다. 에코토피아인들은 나무를 거의 숭배하다시피 귀하게 여깁니다. 굳이 목조 건물을 짓고 싶은 사람은 일단 삼림 캠프에 가서 일정 기간 동안 “삼림 봉사”의 일을 행해야 합니다. 나무를 소비하려는 자는 그만큼의 새로운 나무를 심고 가꾸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에코토피아인들은 죽은 나무들을 함부로 없애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죽은 나무는 딱따구리 그리고 사슴들의 서식지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에코토피아는 어떠..

36 현대영문헌 2022.02.21

서로박: 칼렌바크의 에코토피아 (1)

이것은 인구 성장의 도표입니다. 19세기 이후로 엄청나게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산업 혁명 이후로 더 나은 삶이 사람들로 하여금 자식을 많이 낳게 하였던 것입니다. 인구 폭발이라는 말은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자고로 폭발이라고 하면 일회적인 사건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인구의 증가는 서서히 인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2016년초의 세계 인구는 73억 6천만에 육박하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인구가 감소하여 노동력이 줄어든다고 우려를 표명하지만, 세계적인 추세를 고려하면 인구의 감소가 더 나은 정책이라고 여겨집니다. 물론 급작스러운 감소는 부작용을 낳겠지요. 그러나 원시안적으로 고찰할 때 우리는 인구를 감소시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어니스트 칼렌바크 (E. Callenbach, 1929 - )의 유..

36 현대영문헌 2022.02.21

서로박: 포크너의 음향과 광기 (2)

(앞에서 계속됩니다.) 제 3부는 제이슨의 내적 독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는 아버지가 사망한 뒤부터 집안의 가장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어머니 카롤리네는 자식에게 관심을 두지 않을 정도로 병약하고 우울하지만, 유독 제이슨만을 아낍니다. 나머지 두 아들과는 달리 성격이 무덤덤하다는 게 그 이유였습니다. 냉담한 성품의 소유자인 카롤리네는 자식들을 차별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자식들의 심리를 망치게 합니다. 세 자식의 정서는 어머니에 대해 항상 서운함을 느꼈지만, 제이슨은 어머니의 편애로 인하여 자만심, 편협함 그리고 이기심을 떨치지 못합니다. 가령 제이슨은 자신의 가족에게만 불행이 찾아온다고 탄식을 터뜨리곤 합니다. 이 점에 있어서 소설은 싱클레어 루이스Sinclair Lewis의 『속물Babbit』 (..

36 현대영문헌 2022.02.08

서로박: 포크너의 음향과 광기 (1)

아마 윌리엄 포크너 (1897 - 1962)가 없었더라면, 어쩌면 미국 문학은 문학 기술적 측면에서 그리고 문체상의 측면에서 유럽 문학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포크너의 문학은 미국 남부에서 살아가는 미국인들의 애환과 갈망을 문학적으로 형상화시켰다는 점에서 그리고 문학 기술적 차원에서 그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많은 것을 전해줍니다. 후자의 경우 포크너는 영어의 어휘를 다양한 방식으로 실험하고 활용했으며, 연대기적 서사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시점과 비연속적인 시간 구조를 채택하였습니다. 그렇기에 그는 소설의 내러티브 방식 자체를 실험한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그의 장편 소설 『음향과 광기The Sound and the Fury』(1929)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포크..

36 현대영문헌 2022.02.08

서로박: 포크너의 "8월의 빛" (2)

7. 조 크리스마스의 도주 그리고 체포: 조안나의 집이 화염에 휩싸일 때 루카스 버치 (조 브라운)은 근처를 지나치고 있었습니다. 어느 농부가 그의 길을 가로막고, 최소한 시체만큼은 화염에서 빼내자고 제안합니다. 이 와중에 루카스 버치 (조 브라운)은 방화 용의자로 체포됩니다. 취조의 과정에서 그는 조 크리스마스가 흑인이라고 언질을 줍니다. 이때 보안관은 조 크리스마스가 살인자라고 단정 짓습니다. 그렇지만 조 크리스마스의 검거는 처음에는 실패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조 크리스마스는 인근 도시 머츠타운에서 체포되어, 제퍼슨의 경찰서로 이송됩니다. 다른 한편 조 크리스마스의 조부모는 자신의 손자 조 크리스마스를 찾으려고 제퍼슨에 당도합니다. 그들은 손자의 소식을 접하기 위해서 이곳에 온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

36 현대영문헌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