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bloch 대화 21

박설호: 블로흐의 "재기억" 비판

1. 재기억 이론이란 무엇입니까? 블로흐의 "주체와 객체. 헤겔에 대한 주해 Subjekt - Objekt. Erlaeuterung zu Hegel"는 헤겔 사상과 재 기억에 관해 논하고 있습니다. 기억이란그리스어 단어에 의하면 “ανάμνηση”라고 하는데 , 플라톤 이래로 인식이론의 토대가 된 것입니다. 한마디로 진리란 과거에 존재한 불변의 사실이라고 합니다. 진리를 파악하려면 인간은 다시 기억 속에 그것을 소환해내면 족하다고 합니다. 과거에 존재했던 진리를 다시 소환해내는 일이 바로 재-기억이라는 행위라고 요약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사고 속에 탈레스에서 헤겔에 이르기까지 모든 철학이 잘못된 길을 걸어가게 한 전매특허로서의 특징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학문은 ..

30 bloch 대화 2023.11.14

블로흐: 죽은 뒤에 누구와 대화를 나누고 싶은가? (3)

5. 셋째로 헤겔과 대화를 나누고 싶다. 마지막으로 헤겔과 대화를 나누고 싶습니다. 세계의 운동을 뜻한다고 하는 원의 둥근 움직임은 어떻게 이해되는가요? 헤겔은 세계의 변화를 정신의 원 그리기라고 정의 내렸습니다. 다시 말해서 명제는 반대 명제를 거쳐 종합의 단계로 향하는데, 결국 맨 처음의 출발점으로 돌아온다고 합니다. 이러한 변증법적 움직임에 의하면 하나의 명제는 결국 어떤 더 높은, 더 구체적인 단계로서의 명제로 환원된다는 것이지요. 이 경우 나타나는 것은 비유적으로 말해서 마치 물이 폭포수처럼 아래로 강하게 떨어지는 경우만은 아닙니다. 헤겔의 변증법에서 모든 현상은 모순과 결착되어 있는 폭포와 같은 무엇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헤겔 스스로 말한 바 있듯이 마치 굴을 헤집는 두더지의 행동처럼 출현하..

30 bloch 대화 2021.11.08

블로흐: 죽은 뒤에 누구와 대화를 나누고 싶은가? (2)

3. 첫째로 스파르타쿠스와 대화를 나누고 싶다. 독일의 소설가, 장 파울Jean Paul은 언젠가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습니다. 죽은 뒤에 대화를 나눌 상황에 처할 경우, 내가 과연 누구와 담소를 나눌 수 있을까? 하고 질문하는 것은 참으로 난감한 일이라고 합니다. 당신의 질문 자체가 나를 난감하게 만드는군요. 예컨대 죽은 뒤에 스파르타쿠스와 담소를 나누는 것은 매우 긴장감 넘치는 일일지 모릅니다. 사도 바울과 담소를 나누는 것 역시 흥미진진할 테지요. 죽은 뒤에 헤겔과 담소를 나누게 되면 흥미진진한 긴장감을 느끼리라고 여겨지는군요. 아직 발효되지 않은 무엇,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무엇 그리고 모순적인 무엇에 관한 대화를 생각해 보세요. 헤겔은 이러한 것들을 변화되는 움직임으로서의 개념의 흐름 이해하였..

30 bloch 대화 2021.11.08

블로흐: 죽은 뒤에 누구와 대화를 나누고 싶은가? (1)

1. 죽은 뒤에 나눌 수 있는 대화 나: 블로흐 교수님,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법정의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자신을 변호했습니다. 죽음은 자신에게 하나의 행운이라고 말이지요. 자신이 죽으면, 자신의 죄에 관해서 아킬레우스와 오디세우스, 텔레마코스 등과 같은 걸출한 인물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당신이 그런 기회를 맞이한다면, 누구와 기꺼이 대화를 나누고 싶습니까? 너: 당연한 말이겠지만, 소크라테스의 발언은 자신의 목숨과 관련되는 것이기 때문에 순수한 사고의 연습이라든가, 단순한 희망 사항,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가 생각하는 불멸성은 하나의 정언적 명제가 아니라, 아주 단순한 무엇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순진한 의미에서 한 남자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자존심 같은 ..

30 bloch 대화 2021.11.08

블로흐: 고향이란?

나: 그런데 고향의 개념은 당신의 철학에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지방 내지 지역이라는 단어는 한편으로는 주어진 토양에 입각한 고향을 가리키는 지리적인 장소라는 느낌을 강하게 불러일으키는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지역과 지방은 한편으로는 편협하기 이를 데 없는 인간 그리고 한 장소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속물들을 떠올리는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놀라운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능성은 완전히 도시화된 공간에서는 도저히 발견하기 힘든 특징이 아닐까요? 너: 고향은 나름대로 어떤 철학적 측면 내지 자신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닐 수 있습니다. 독일 신비주의자인 에크하르트 선사가 언급..

30 bloch 대화 2021.10.23

블로흐: 이 시대의 유산 (2)

유산에 관한 이러한 문제는 나의 책 『이 시대의 유산』에서 하나의 중요한 관건으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책에서 나는 유산의 문제를 네 개의 작은 시기로 구분한 바 있습니다. 우선 제시되는 것은 분산의 경향입니다. 직장 고용인들의 산만한 의식이라고 할까요, 세상은 우스꽝스럽고 긴장감 넘치며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득 차 있지요. 이러한 문화는 특히 영화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어떤 붉은 감정의 덩어리가 출몰합니다. 혁명의 광채 내지 이른 광채가 바로 그것입니다. 사람들은 아침 여명, 혹은 저녁의 황혼이 도래했는지 정확히 모릅니다. 바로 이러한 분위기는 1920년대 베를린을 가득 채우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기가 바로 분산의 시기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물음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과연 무엇이 문화적으..

30 bloch 대화 2021.09.13

블로흐: 이 시대의 유산 (1)

나: 당신의 책 『이 시대의 유산』은 1920년대 독일 사회를 심도 넘치게 분석하고 있는데, 1935년 당신에 스위스에 망명할 당시에 뒤늦게 간행될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당신의 문헌을 어떻게 수용했는지요? 너: 그야말로 다양하게 수용되었습니다. 호평과 악평이 공존했다고 할까요? 이러한 모순적인 반응은 가장 중요한 명제인 유산의 문제 때문에 나타난 현상인 것 같습니다. 유산의 문제는 무엇보다도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이라든가 경제 숙명론과 같은 특성을 유추하게 합니다. 그렇기에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러한 개념 자체에 대해 의혹의 눈길을 보내지요. 나는 유산을 이후 세대에게 부여하는 문화적 상속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화적 상속으로서의 유산의 문제는 마르크스주의의 입장에서 고찰할 때..

30 bloch 대화 2021.09.13

블로흐와 아도르노의 유토피아 논쟁 (5)

크뤼거: 블로흐씨, 다시 한 번 조금 전의 질문을 제기하고 싶습니다. “유토피아의 요소는 오늘날 동구에 횡행하는 사회주의로 인해서 급진적으로 사라지고 말았다.”는 아도르노의 견해를 용인하시는지요? 블로흐: 그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발언이 첨부되어야 할 것입니다. 즉 서구에서도 사라졌으며, 이와 유사한 경향은 존속되고 있어요. 시대적 일원성은 비록 거대한 대립이 존재하지만 동구와 서구 모든 지역에서 새로 정립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도르노: 동의합니다. 블로흐: 서구와 동구는 같은 시대정신 속에 처해 있어요. 한 가지 점에서 같은 배를 타고 있다고 보아야지요. 즉 어떠한 유토피아적인 것도 용납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말입니다. 그렇지만 유토피아의 고유한 특성에 무언가를 덧칠하여, 그것을 파괴하는..

30 bloch 대화 2021.09.09

블로흐와 아도르노의 유토피아 논쟁 (4)

(계속 이어집니다.) 블로흐: 바로 이러한 까닭에 유토피아의 사고는 두 가지 의향으로 발전되었습니다. 그 하나는 유토피아 사회상이고, 다른 하나는 자연법사상입니다. 전자는 더 이상 힘들게, 무거운 짐을 진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적 상태를 재구성하고 있다면, 후자는 자연법을 주창하는 자들의 의연한 기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나는 이러한 사항을 『자연법과 인간의 존엄성』에서 자세히 천착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세 번째 사항이 문제로 제기되는군요. 그것은 기적이 아니라, 죽음을 가리킵니다. 죽음은 흔히 신앙인들이 즐겨 다루는 “사랑스러운 아이”로 이해되곤 합니다. 그렇지만 죽음을 떨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것은 어쩌면 하나의 기적이겠지요. 흔히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강조..

30 bloch 대화 2021.09.08

블로흐와 아도르노의 유토피아 논쟁 (3)

아도르노: 헤겔은 가능성의 개념을 나쁘게 언급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블로흐: 가능성의 개념은 헤겔에 의해서도 나쁘게 다루어졌지요. 헤겔은 가능성에 대한 종래의 견해를 어쩔 수 없이 수용하면서 가능성을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개념으로 취급하고 말았지요. 실재하지 않는 것은 어떠한 가능한 무엇도 아니라고 여겼습니다. 가능한 것은 헤겔의 견해에 의하면 현실적인 것으로 직결되었으니까요, 말하자면 그것이 현실적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다고 헤겔은 생각했습니다. 그러니까 가능성의 카테고리는 헤겔의 경우 하나의 주관적 성찰의 카테고리였습니다. 아도르노: 가능성이란 개념이 그냥 지붕 꼭대기 위로 올라간 셈이로군요. 블로흐: 그런 셈이지요 가능성의 개념은 처마위로 올라갔지만, 지붕 밖으로 돌출해 나오지는 못했..

30 bloch 대화 2021.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