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문학 이론 49

서로박: (7)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참고 문헌 김남시: 역사의 기관차. 역사를 보는 발터 벤야민의 시각, in: 비교문학, 2013, 60권, 183 – 209.김영룡: ”지금 이때“와 남은 시간. 발터 벤야민의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 나타난 성스러운 구원의 시간 연구, 실린 곳: 카프카 연구 34권 2015, 168 – 187.마르크스, 뮌처: 박설호 편역, 마르크스, 뮌처, 혹은 악마의 궁둥이, 에른스트 블로흐 읽기 2, 울력 2012.박설호 2: 박설호, 자연법과 유토피아, 에른스트 블로흐 읽기 3, 울력 2014.벤야민, 발터: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외, 최성만 역, 길 2008, 327 – 350.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문학과 지성사 2001.윤미애: 벤야민의 아우라에 관한 연구, 독일문학, 71..

25 문학 이론 2024.09.04

레오 스피처의 '문학 해석의 방법'

레오 스피처 (L. Spitzer, 1887 - 1960)의 "문학 해석의 한 가지 방법 (A method of interpreting literature)"은 1949년 미국 노트 햄프턴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오스트리아 출신 로마 어문학자, 스피처는 20년대 30년대 문학의 문체 등을 연구한 뒤 40년대 프랑스 문학에 나타난 전통 및 “텍스트에 관한 해석 (explication de texte)”을 추적한다.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문학의 실증주의적 해석과 이념사적 해석 사이의 어떤 구분이다. 스피처는 자신의 문헌학 연구의 전제 조건 및 수공적 수단 내지는 방법론 등을 세 가지 범례로써 설명한다. 첫 번째 장은 황홀, 즉 엑스타시를 내용으로 하는 세 편의 작품에 할애되고 있다. J. 돈 (Donne)..

25 문학 이론 2024.09.03

서로박: (6)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6. 나오는 말씀 이미 언급했듯이, 벤야민은 예술 전반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정치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하나의 확고한 입장을 정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그가 모든 예술적 사상적 조류에 관여하지만, 어떤 한 가지도 선택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과거에 프란체스코 수사들이 취했던 행동, “모든 것을 지니지만, 어떠한 무엇도 소유하지 않는다. Omne habentes, nihil possidentes"라는 거리감의 자세와 연결됩니다. 프란체스코 수사들은 이러한 말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발언을 수정하여, 신에 대한 겸허함을 표현하려 했습니다. (Van de Meer: 34). 애착의 대상에 가까이 다가가지만 끝내 그 대상과 결합하지 않으려는 특징은 에로스에 관한 플라톤의 사고에서도 나타납니다.  나아가 이..

25 문학 이론 2024.07.30

서로박: (5)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5. “가능한 구원의 실험실”로서의 세계. 프랑크푸르트학파는 1960년 초반에 벤야민의 역사적 진보에 대한 논평을 언급하면서, 블로흐가 진보적 낙관주의를 과도하게 맹신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렇지만 근본적으로 역사에 대한 벤야민과 블로흐의 견해가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는 것은 아닙니다. 벤야민은 1940년 무렵에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진보라는 개념은 파국의 이념 속에 토대를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역사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파국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다가오는 미래가 아니라, 그냥 우리 앞에 주어져 있을 뿐이다.” (Benjamin, GS. Bd. 1/2: 683). 아도르노는 벤야민의 발언을 염두에 두면서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어떠한 우..

25 문학 이론 2024.05.07

서로박: (4)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4. 신학적 예술적 은유는 확고한 견해와는 다르다. 벤야민은 생전에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왜냐면 소논문은 어처구니없이 잘못 이해될 소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는 벤야민이 20세기 초 프로이센의 다양한 문예 사조 그리고 혼란스러운 시대정신을 철학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문헌입니다. 게다가 역사 철학 테제는 –소논문이라고 명명할 수 없을 정도로- 연구 대상을 명징하게 분석한 글이 아니라, 알레고리를 동원한 서술, 신비로운 비유 그리고 패러디 섞인 고뇌의 흔적 등을 보여줍니다. 누군가 벤야민의 글에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한 보편적 이론의 논거를 도출하려는 작업은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어쩌면 잘못된 처사일지 모..

25 문학 이론 2024.05.03

서로박: (3)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3. “지금 시간”과 천년왕국설의 유토피아 그렇다면 벤야민은 과연 역사 철학에서 말하는 진보를 부정하는 것일까요? 그렇다고 함부로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소논문에는 미래에 대한 기대감 내지는 유대주의와 기독교 사상에서 나타난 천년왕국설의 사상적 출발점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는 신학 그리고 유물론 사이의 공동 유희는 상호 배움의 과정을 보여줍니다. 그 하나는 종결되지 않은 역사의 특성 내지는 구원의 필연성이며, 다른 하나는 혁명적 투쟁의 필연성 내지는 마르크스주의 실천의 필연성입니다. 이에 첨가되는 것은 블랑Blanc, 소렐Sorel 그리고 바쿠닌Bakunin 등의 아나키즘 전통일 수도 있습니다. 벤야민은 메시아의 세속적 구원을 마르크스..

25 문학 이론 2024.05.01

서로박: (2)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2. 파국 앞에서의 진보에 관한 사고 미리 말씀드리면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는 두 가지 특징을 지닙니다. 첫째로 그의 ”역사 철학 테제“ 속에는 이미 언급했듯이 모든 사안에 관여하지만, 어떤 무엇을 선택하지 않는 태도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어쩌면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는 유대주의냐, 마르크스주의냐? 에 대한 망설임을 우의적으로 표현한 글인지 모릅니다. 소논문에서는 우유부단함과 숙고의 흔적이 너무 강해서, 저자의 명징한 견해를 도출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둘째로 역사 철학 테제는 파시즘의 폭력과의 상관성에서 이해되어야 하지, 모든 사회에 통용되는 보편적 역사 철학의 사고라고 확장될 수는 없습니다. 작품에서는 신학 그리고 역사적 유물론의 관계, 역사주의, 특히 사민당 사람들의 진보적..

25 문학 이론 2024.04.29

서로박: (1)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벤야민은 ‘모든 것을 지니지만, 어떠한 무엇도 소유하지 않는다. Omne habentes, nihil possidentes’라는 거리감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필자) 1. 머뭇거리는 뷔리당:  20세기 초 유럽의 예술 사조는 일직선으로, 혹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어졌는데, 19세기 말에 이르러 복합적으로 뒤엉켜 사통팔달로 퍼져 나갔습니다. 산업의 성장과 식민지 개발로 인하여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했으며, 많은 실험적 예술 사조들이 동시적으로 한꺼번에 출현하였습니다. “세기 말fin de siècle”의 예술적 경향, 표현주의, 다다이즘, 상징주의는 물론이며, 아방가르드 운동은 문학예술에서 많은 자극을 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 중심의 자본주이, 도시 중심의 경제 구도와 대도시의 형성,..

25 문학 이론 2024.04.29

서로박: 야우스의 '문예학의 도전으로서의 문학사'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H. R. Jauß, 1921 - 1997)의 "문예학의 도전으로서의 문학사(Literaturgeschichte als Provokation der Literaturwissenschaft"는 1970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야우스는 문예학에서의 전통적인 문학사 기술의 방법론을 비판하기 위해서 본서를 집필하였다. 문예학에서의 문학사 기술에 관한 전통적 방법론은 야우스에 의하면 정신사적 형태에 있어서 그리고 실증주의적 인과 법칙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문학과 역사를 창조적으로 매개할 능력이 없다. 이와는 반대로 수용 미학은 독자 내지 “작품과 독자층 사이의 (영속성을 형성시켜 주는) 대화”를 연구의 중심에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수용 미학은 야우스에 의하면 역사적 관심사..

25 문학 이론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