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8.그밖에 우리는 뮐러 문학에서 투영되고 있는 활력주의의 요소, 여러 가지 형태로 태동할 수 있는 여성 운동에 대한 기대감 등을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가령 구동독에서 만연했던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적주의에 대항하기 위하여 뮐러는 수직적 구조의 세계관 (오성 중심주의, 남성 중심주의 그리고 재화 중심주의)을 비판한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물론 다른 작가들도 이에 관해 문학 작품을 통해 혹은 다른 방식으로써 분명하게 지적하였습니다만, 그것을 유달리 강한 어조로 폭로한 작가는 다름 아닌 하이너 뮐러였습니다. “18세기, 쾨니히스베르크의 토요일 오후 세시. 임마누엘 칸트. 그의 철학적 사고와 그의 수음 (手淫) 행위 - 후세 사람들은 너무나 오랫동안 그의 사고만을 생각하고, 너무나 오랫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