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 46

박설호: (2) 굥석열 정권의 10가지 문제점

(앞에서 계속됩니다.) 6. 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이 없다. 현 정권은 인구 감소를 극복할 대책을 근본적으로 마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구 감소에 관한 사항은 부동산 가격 폭등, 열악한 교육 환경, 가족 구성원에 대한 얄팍한 복지, 여성의 노동과 그 한계에 관한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엉킨 난제입니다. 그런데도 현 정부는 이러한 난제를 하나씩 구체적으로 해결하기는커녕, 여성가족부를 아예 폐지하는 우를 범하였습니다. 교육부가 내세운 정책은 기껏해야 초등학교 조기입학밖에 없었습니다. “자식을 낳으면, 삶이 내리막길이다.”라는 고정관념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중앙 정부와 지방정부가 나서서 젊은이들이 자식을 낳고 키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개선하기 위한 크고 작은 정책을 실천하는 수밖에..

2 나의 잡글 2024.03.04

박설호: (1) 굥석열 정권의 10가지 문제점

굥석열 대통령은 몇 표 차이로 당선하여 1년 9개월 동안 한국의 정치를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현 정권은 안타깝게도 무능, 대립과 불통, 독단, 극우, 일방 외교, 전쟁 등의 단어를 연상시킬 정도의 하자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30%의 지지자들은 대통령이 그다지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으니, 퇴진까지 내세울 필요가 있는가? 하고 반문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여러 영역에서 우후죽순으로 솟아나는 작은 문제점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엉킨 채 서서히 위험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조만간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문화를 위협하는 동시다발적 폭탄이 되어 순식간에 한반도를 비극의 땅으로 변화시킬지 모릅니다. 이를 사전에 차단하려면 정권 퇴진 운동은 필연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 역사의식과 미래에 대한..

2 나의 잡글 2024.03.04

서로박: (2) 시험은 인성과 창의력을 망친다

(앞에서 계속됩니다.) 6. 서울 가는 길은 하나가 아니다. 시험이란 교육의 결과에 대한 테스트가 아니라, 교육의 과정에서 필요한 측정 방식입니다. 그렇기에 시험 답안지는 교육의 과정에서 자신의 교육 방법을 수정하고 변화시키기 위한 자료일 뿐, 학생들의 최종적 능력 평가의 수단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교사는 미리 하나의 정답을 사전에 설정해놓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의 유형이 객관식인가, 단답형인가, 주관식인가? 하는 물음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바로 이러한 까닭에 시험 답안지는 교육 평가의 유일한 자료로 채택될 수는 없습니다. 왜냐면 시험은 학생들의 욕구, 문제 제기의 능력을 처음부터 무시하거나 좌시하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정답을 유도하는 것은 교사의 의도이지 학생들의 관심사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 방식..

2 나의 잡글 2024.03.04

서로박: (1) 시험은 인성과 창의력을 망친다

“카우보이 백인 남성의 물질적 욕망은 끝 간 데를 모른다“ (말론 브란도) 1. 대한민국은 시험 공화국이다.: 말보로를 피우며 광활한 땅에서 소 떼를 모는 카우보이는 미국 삶의 방식The American Way of Life을 대변하는 상징적 상입니다. 카우보이는 수십년 전부터 땅을 짓밟고, 여성을 억압하며, 결투를 당연하게 여기는 무한대의 경쟁의 문화를 당연하게 받아들입니다. 이는 교육의 경쟁에서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문제는 교육의 평가를 오로지 시험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학교에 입학한 다음부터 우리는 시험과 부딪치게 됩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입학시험, 대학 수학능력시험, 운전면허 시험, 부동산 자격증 시험, 온갖 자격증 시험, 임용고시, 사법 고시, 행정고시 등을 생각해 보세요. 그렇기..

2 나의 잡글 2024.03.04

박설호의 시, '청설모'

청설모박설호- “여자들은 늘 쫓기는 꿈을 꿉니다.” (김혜순) 수컷인데도 늘 쫓기는 꿈을 꿉니다 꿈이었어요 저녁 거미가 내리자 버스를 타고 그미에게 향했습니다 도토리를 선물하고 싶었지요 버스는 그미가 사는 곳의 반대 방향으로 달렸습니다 어리둥절했지요 푸른 눈의 다람쥐들이 검붉은 내 얼굴을 노려보았어요 황급히 에버스베르크 버스 정류장에서 내려야 했습니다 거기서 지하철 노선을 읽었습니다. * 괴상한 외국어라서 숨이 턱 막혔습니다 다행히 “대학교” 역이 눈에 띄었지요 ** 아니 기말시험을 까마득히 잊고 돌아다니다니 일순간 나 자신이 미워졌습니다 바닥에 떨어진 낙엽의 속삭임을 가을귀로 들었습니다. 어머니의 코맹맹이 음성이었지요 예야 마음 편하게 먹으렴 아 어머니 난 그렇게 할 수 없어요 낯설고 추운 땅에서 나는..

20 나의 시 2024.03.02

박설호: (7) 희망의 원리, 제 2차 강의

(앞에서 계속됩니다.) 4. 고대의 국가주의의 유토피아 그리고 비국가주의의 유토피아: 제 4장에 언급되는 「자유와 질서」는 희망의 원리의 핵심적 주제입니다. 자고로 유토피아는 주어진 시대를 비판하기 위해서 어떤 새로운 현실의 가능한 상을 묘파해 왔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학 유토피아에 일차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찬란한, 혹은 끔찍한 상에 집중할 게 아니라, 오히려 유토피아 작가들이 은밀히 담으려는 시대 비판을 역으로 추적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 비판은 문학 유토피아 속에 나타난 의향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삶은 한편으로는 “국가주의의 유토피아achistische Utopie”를 통해서, 다른 한편은 국가의 존재를 거부하는 “비국가주의의 유토피아anarchistische Utopie”를 통..

27 Bloch 저술 2024.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