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4. 고대의 국가주의의 유토피아 그리고 비국가주의의 유토피아: 제 4장에 언급되는 「자유와 질서」는 희망의 원리의 핵심적 주제입니다. 자고로 유토피아는 주어진 시대를 비판하기 위해서 어떤 새로운 현실의 가능한 상을 묘파해 왔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문학 유토피아에 일차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찬란한, 혹은 끔찍한 상에 집중할 게 아니라, 오히려 유토피아 작가들이 은밀히 담으려는 시대 비판을 역으로 추적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 비판은 문학 유토피아 속에 나타난 의향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삶은 한편으로는 “국가주의의 유토피아achistische Utopie”를 통해서, 다른 한편은 국가의 존재를 거부하는 “비국가주의의 유토피아anarchistische Utopie”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