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11

자크 라캉: 거울 단계 (6)

(앞에서 계속됩니다.) 우리가 연구를 통해 얻어낸 모든 경험들은 상기한 견해들과 전적으로 대립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연구는 다음의 사항을 강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즉 자아는 결코 실존주의자들이 주장한 대로 인지 행위 – 의식 이라는 시스템으로 향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아는 결코 현실 원칙에 의해서 조직적으로 파악되는 무엇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자연과학의 편견을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인식의 변증법과 철저히 대립하는 것입니다. 인간 심리의 구조에 관해서 우리는 언젠가 안나 프로이트가 그렇게 막강한 어조로 언급한 바 있는 잘못된 인식의 기능, 즉 “오인의 기능Verkennungsfunktion”에서 출발해야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아는 거부 내지 오인이 자신의 공개적이고 실천적인 형태로서 거부 내..

30a Lacan 2017.07.21

자크 라캉: 거울 단계 (5)

(앞에서 계속됩니다.) 거울 단계가 완성되는 바로 이 순간은 유사한 상의 이마고와 동일하게 되려는 노력을 거쳐서 그리고 아이들이 겪는 근원적 질투의 드라마의 과정을 지나친 다음에 나타납니다. (이를테면 랴를로테 뷜러Charlotte Bühler 유아 심리 연구 팀은 유아들의 근원적 질투를 어떤 “심리적 전이 현상Transitivismus”으로 정확하게 표현한 바 있습니다.) 거울 단계가 완성되는 즉시 아이의 마음속에는 하나의 변증법이 실행됩니다. 이것은 다름 아니라 자아가 자기 자신을 사회적으로 만들어낸 상황과 접목시키는 작업을 가리킵니다. * (1930년대 샤를로테 뷜러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유아 심리 학교를 운영하였다. 이 학교는 오늘날 샤를로테 뷜러 연구소로 운영되고 있다. 샤를로테 뷜러의 이론에 ..

30a Lacan 2017.07.20

자크 라캉: 거울 단계 (4)

(앞에서 계속됩니다.) 우리는 한 인간이 태어나 어른으로 성장하는 변화의 과정을 시간의 변증법으로 체험하곤 합니다. 특히 개인의 교육과 교양 쌓는 일은 한마디로 개인의 역사로 설계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고려한다면 거울의 단계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습니다. 인간의 내적 열망은 자신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에서 유래하여 무언가를 선취해내는 데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주체는 처음부터 공간적 동일성이라는 덫에 차단되고 구속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판타지의 상은 생각해냅니다. 이러한 상들은 육체의 어떤 마구 찢겨진 상으로부터 그야말로 완전한 육체의 상의 형체로 출현하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를 상상의 해부학으로 명명할 수 잇을 정도입니다. 마지막에 이르면 우리는 어떤 포기하는 자기 동일성이라는..

30a Lacan 2017.07.19

자크 라캉: 거울 단계 (3)

(2에서 계속됩니다.) 상기한 사항에서 우리는 이질적 유형의 동물이 무엇보다도 자신과 유사한 개체를 모방하고 답습하려는 특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적어도 생명을 지닌 조직체에게 어떤 공간의 의미에 관한 문제를 시사해주기 때문에 우리의 관심사를 끌기에 충분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생물학적 실험을 참고하여 심리적 개념에다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이 경우 매우 적절하다고 여겨집니다. 가령 우리는 비둘기 그리고 메뚜기 등과 같은 동물에게 나타나는 유유상종의 생활 방식을 이른바 새로운 공간에서의 적응할 수 있는가? 하는 법칙에 적용시켜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일견 우스꽝스러운 시도지만, 때로는 여기서 어떤 놀라운 은폐된 진리를 발견해낼 수 있습니다. 한 번 다음과 같은 놀라운 이론..

30a Lacan 2017.07.17

자크 라캉: 거울 단계 (2)

(앞에서 계속됩니다.) 우리는 일단 거울 단계를 하나의 동일화로 이해하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하나의 동일화는 우리의 정신분석 연구가 추구하는 표현 그 자체와 같습니다. 만약 인간이 거울 속에서 하나의 상을 대할 때, 주체의 마음속에는 거울 속의 자신의 상은 자신과 다르다는, 일종의 어떤 변모의 의미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한마디로 지금 여기에서 출현하는 상의 효과와 동일합니다. 고대인들은 하나의 상을 대하면서 이를 이마고Imago라고 명명하며 실제 현실에서 이 단어를 사용했는데, 그들의 의식 배후에는 신들의 예정 조화설이 내재해 있었습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아이가 거울의 모습을 보고 골똘히 생각하고 기이하게 행동하는 양태는 주위 사람들, 이를테면 부모 그리고 양육자의 환호성을 불러일으키기..

30a Lacan 2017.07.16

서로박: 폰타네의 슈테힐린

독일 문학에서 가장 재미있는 작가로 알려진 테오도르 폰타네 (Theodor Fontane, 1819 - 1898)의 소설 ?슈테힐린?은 작가가 죽기 1년 전에 잡지, ?땅과 바다를 넘어서?에 발표되었고, 책으로는 1899년에 간행되었다. 폰타네는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46장으로 나누어진 가장 훌륭한 소설 한 권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여기서 내가 언급하고자 하는 소재는 얼마든지 현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 그러나 여기서 어떠한 이야기가 실릴까요? 그건 속임수입니다! 마지막에 노인은 사망하고, 두 젊은 사람은 서로 결혼하지요. 이게 500페이지나 되는 이야기의 전부입니다. 뒤엉킴과 해결, 심장의 갈등 혹은 갈등 자체, 긴장 그리고 놀라움 등은 여기서 전혀 발견되지 않지요..

43 20전독문헌 2017.07.15

서로박: 퓌만의 유대인 자동차

구동독 출신의 작가이자 시인인 프란츠 퓌만 (Franz Fühmann, 1922 - 1984)의 소설집, "유대인 자동차. 20년에서 비롯한 14일 (Judenauto. Vierzehntage aus zwei Jahrzenten)"은 1962년에 발표되었다. 소설집에는 총 14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1959년에서 1961년 사이에 쓰인 것들이다. 1929년에서 1949년 사이의 시기는 현대 독일의 역사 가운데 가장 결정적인 사건을 포함하고 있다. 가령 20년대의 경제 위기의 시기로부터, 제 2차 세계대전을 거쳐, 동독의 건립에 까지 이어지는 역사적 과정을 생각해 보라. 모든 사건은 22년생의 작가의 시점으로 서술된다. 발문에서 프란츠 퓌만은 다음의 사항을 분명히 지적한다. 즉 자전적인 요소가 소설의 ..

45 동독문학 2017.07.15

자크 라캉: 거울 단계 (1)

출전은 다음과 같다. Jacques Lacan (2015): Schriften 1, Vollständiger Text, übersetzt von Hans-Dieter Gondek, Wien-Berlin, S. 109 - 117. 부디 나의 번역본이 라캉을 연구하는 분들에게 약간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 거울 단계의 구상은 내가 약 13년 전에 개최된 국제 정신분석학회의 지난 총회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바 있습니다. 그것은 그 이후에 프랑스의 정신분석학 연구 팀에 의해서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활용된 바 있으므로 여러분들에게 이에 대해 자세하게 기억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아무래도 잘못된 처사하고 여겨집니다. 특히 오늘날 우리의 정신 분석이 이룩한 경험은 자아의 ..

30a Lacan 2017.07.15

서로박: 비어만의 '드라 드라'

음유 시인, 볼프 비어만 (Wolf Biermann, 1936 -)은 방송극, 「드라, 드라」를 1970년에 써서 이듬해 4월 20일에 처음으로 방영하게 하였다. 이 작품은 “음악 섞인 9막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공룡 사냥꾼 바라보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시간 설정은 없고, 장소 역시 상상적인 도시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러시아의 극작가, 에브게니 스바르치 (Evgenij Ṧvarc, 1896 - 1958)는 무력 정치 그리고 이로부터의 해방에 관한 정치적 동화를 집필한 바 있다. 그러나 비어만은 스바르치의 정치 동화를 정반대로 묘사한다. 악한 자들은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서 지혜로운 자들을 압도해야 한다. 비어만은 스바르치의 소재를 그대로 수용한다. 공룡은 그 자체 끔찍한 공포 정치를 행하는 독재자의..

45 동독문학 2017.07.11

자크 라캉: 팔루스의 의미 (7)

(앞에서 계속됩니다.) 상기한 사항을 고찰하면 마치 남성의 성적 기능이 여성과는 달리 처음부터 정조를 파기하는 식으로 처음부터 확정된 유형 같이 보이는데, 이는 무조건 남성만이 지닌 고유한 특징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세밀하게 고찰하면 연인 그리고 기표로서의 팔루스 사이의 분화 현상은 여성에게도 엿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한 가지 차이가 온존합니다. 여성의 경우 사랑의 타자가 몹시 나쁘고 사악한 존재로 내면에 각인될 수 있습니다. 비근한 예로 바람둥이 사내는 여자와 관계를 맺은 다음에 어디론가 사라집니다. 이는 여자의 마음속에 한 사내가 베푼, 기표로서의 팔루스를 다시 빼앗아가는, 이른바 강탈과 같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로써 남성은 내심 그미가 사랑하는 상징적 대상으로서의 사랑의 타자..

30a Lacan 20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