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11

마르크스, 뮌처 혹은 악마의 궁둥이 (1)

서문: 21세기에 태어날 배달의 철학자, 당신을 위하여 “사고는 한계를 뛰어넘는 일을 일컫는다.” (Ernst Bloch) “블로흐를 비판하지 않은 채, 그의 문장을 인용하는 것은 하나의 배반이다.” (편역자) “희망은 확신이 아니다. 희망은 위험에 둘러싸여 있다. 그것은 위험에 대한 의식이다.” (Ernst Bloch) 청년 마르크스 - 눈빛이 깊다. 1. 친애하는 B, 블로흐 읽기를 연속으로 간행하겠다고 호언장담했으나, 이후의 진행은 그다지 매끄럽지 못했습니다. 유토피아의 역사를 역사적 비판적 관점에서 기술하려는 의도는 세부 사항에 있어서 여러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유토피아의 연구에서 동양의 영역을 제외했음에도, 논의에 대한 고증 작업은 여간 만만치 않았습니다. 자고로 학자는 -소설가와는..

23 철학 이론 2017.09.17

전환기 소설 (4)

- Niki Pawlow: Die Frau in der Streichholzschachtel, 2007. 니키 파블로프는 1964년생으로서 불가리아 출신의 아버지 그리고 독일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 그미는 1977년에 동독을 떠나서 서독으로 이주하였는데, 『성냥갑 속의 여인』은 파블로프의 첫 작품이다. 작품은 통독 후 신탁회사에서 일하는 여성이 평소에 흠모하던 나이 많은 저널리스트를 만나 사랑을 나눈다. 그러나 이러한 사랑은 언제나 실패로 돌아간다. 왜냐하면 볼프강 키퍼는 서독의 저널리스트이지만, 유약하고 나이 들어서, 주인공 프란치스카의 사랑을 처음부터 받아들이지 못한다. 이러한 러브스토리는 서독의 신탁회사가 동독의 여러 회사들을 집어삼키는 이야기와 병행하여 묘사되고 있다. 독자는 전환기 시대..

48 최신독문헌 2017.09.15

전환기 소설 (3)

- Reinhard Jirgl: Abschied von den Feinden 1995. 전환기 이후에 비로소 작품을 발표한 1953년생의 작가, 라인하르트 이르글의 소설 『적들과의 이별』은 인간이 맞이하는 섬뜩한 순간을 서술하고 있다. 그것은 주로 친숙한 땅 혹은 친구들과 이별해야 하는 정황 때문에 나타나는 순간들이다. 작품의 배경은 4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에 이르는 동베를린이다. 어느 붉은 머리의 여자는 메클렌부르크 지역의 어느 소도시의 숙소에서 죽은 채 발견된다. 지금까지 어느 친형제가 그미를 차지하기 위해서 처절하게 싸우고 있었다. 그러나 그미는 어느 병원의 주원장과 결혼하고 만다. 병원장은 붉은 머리의 아내를 정신병원에 감금시킨다. 왜냐하면 그미가 서독에 거주하는 사람과 만나려고 접촉했으므로,..

48 최신독문헌 2017.09.15

전환기 소설 (2)

- Kurt Drawert: Spiegelland, 1992. 구동독의 브란덴부르크 출신인 시인 쿠르트 드라베르트 (1956 - )는 1992년에 내적 독백의 소설 『거울 나라』를 발표하였다. “거울 나라”는 시인 자신이 태어난 곳인 구동독을 가리킨다. 작가는 작품을 19개의 장으로 나누면서, “독일의 독백”으로 지칭한다. 그는 자신의 두 아들, 다시 말해서 새롭게 이 땅에서 살아갈 후세 사람들에게 과거에 존재했던, 그러나 조만간 망각의 심연으로 나락할 하나의 나라에 관해서 서술하고 있다. “그럼에도/ 어떤 유산이 있어야 할 거야./ 나 자신 언젠가 (먼 훗날에는 망각이 기억 위에/ 득세하게 되겠지만) 다시 포착할 수 있는 이야기,/ 마치 사진 속의 감정을 담은 모음집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내면의 나..

48 최신독문헌 2017.09.15

전환기 소설 (1)

- Katrin Aehnlich: Alle sterben, auch die Löffelstöre, 2007 카트린 엔리히 (1957 - )의 데뷔 작품 『모두가 주걱 철갑상어처럼 죽는다』는 2007년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구동독에서 유년기와 청년기를 보낸 남녀의 사랑을 서술하고 있다. 주인공 스칼렛은 동물원에서 일하는데, 친구 파울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서 이틀간의 특별 휴가를 청원한다. 그미는 재미있지만 우울한 음색으로 친구 파울에 관해서 성찰한다. 특히 전환기 이후에 자신의 과거를 더듬는데, 기억 속에는 언제나 파울이 있다. 스칼렛은 마음속에 더 이상 한 나라를 소유하지 못한다. 구동독의 현실은 오랫동안 마치 극작품의 공연과 같이 투영된다. 파울의 영혼은 손상되어 있다. 그는 유치원 그리고 학교에..

48 최신독문헌 2017.09.15

서로박: 영화 굿바이 레닌

친애하는 P, 오늘 당신은 『굿바이 레닌』에 관해서 말씀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2003년에 발표된 희비극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볼프강 베커 (W. Becker)는 베른트 리히텐베르크 (B. Lichtenberg)의 시나리오 대본을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다니엘 브륄이 주인공, 알렉산더의 역을 맡았으며, 카트린 자스가 어머니, 크리스티아네의 역을 맡았습니다. 영화는 동독지역의 케르너 가족의 체험에 의거하고 있습니다. 미리 말하건대 『굿바이 레닌』은 무엇보다도 배우의 연기 능력이 돋보이는, 비교적 평이한 수준의 영화에 해당합니다. 사건은 1978년 여름에 시작됩니다. 주인공의 아버지는 처자를 구동독에 내버려두고, 서독으로 건너갑니다. 크리스티아네는 아들과 딸 (알렉산더 그..

16 독일 영화 2017.08.25

카렌 두베의 소설 고상한 식사

"당신은 쇠고기를 좋아하십니까? 아니면 통닭을 즐기신다고요? 기름 흘리면서 꼬치에 꽂혀서 불 위에서 지글지글 돌아가는 닭의 알몸을 바라보면 군침이 고인다고요? 이런 젠장." 독일의 작가, 카렌 두베 Karen Duve는 "폭우"라는 소설로 우리 나라에도 잘 알려진 바 있지요. 이 소설은 박민수 선생에 의해서 2000년 "비의 소설"이라는 제목으로, 2002년에는 폭우라는 제목으로 책세상 출판사에서 간행되었습니다. 각설, 두베는 재작년에 "고결한 식사"라는 작품을 발표하였습니다. 처음에 그미는 통닭을 제일 좋아했는데, 어느 날 스스로 육고기를 섭취하지 않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채식이었지요. 채식주의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채식주의 Vegetarismus: 이 경우 동물의 고기..

48 최신독문헌 2017.08.25

서로박: 헵벨의 '마리아 막달레나'(2)

9. 등장인물과 주인공: 이제 작품을 거론하기로 합시다. 어쩌면 아버지와 딸 사이의 갈등 관계야말로 시민 비극의 유형에 합당할지 모릅니다. 과거 극작가들과는 달리 헵벨은 바로 이러한 부녀 관계를 통해서 비극적 갈등이 파생된다는 것을 예리하게 간파했습니다. 목수 안톤에게는 딸, 클라라와 아들, 카를이 있습니다. 안톤은 마을의 목수로서 경건하지만, 편협하며, 절약을 최상의 미덕으로 생각합니다. 가족이나 이웃의 어느 누구도 그의 아집을 꺾을 수 없습니다. 이에 비하면 그의 아들 카를은 도시 지향적입니다. 안톤의 시각에 의하면 카를은 신을 경배라는 자세를 지니고 있지 않으며, 씀씀이가 헤픈 젊은 건달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10. 처녀, 임신하다: 클라라는 한 남자를 사귀지만, 마음이 여린 농촌 처녀입니다...

42 19후독문헌 2017.08.18

서로박: 헵벨의 '마리아 막달레나'(1)

1. 외골수, 반항아, 프리드리히 헵벨: 프리드리히 헵벨 (1813 – 1863)은 사실주의시기에 문학적 족적을 남긴 작가입니다. 주지하다시피 독문학사의 황금기는 19세기 초반이었고, 1830년 이후에는 내리막길을 걸었습니다. 이는 독일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과 관련됩니다. 독일은 봉건적 억압 체제가 팽배해 있었으며, 인접 국가들에 비해서 경제적으로 낙후해 있었습니다. 수많은 제후들은 자코뱅주의를 지향하는 진보적 젊은 작가들을 노골적으로 탄압하였습니다. 가령 하인리히 하이네 그리고 뵈르네 등은 프랑스로 망명한 것도 작가에 대한 탄압과 검열 때문이었습니다.  예술의 황폐한 분위기 속에서 우뚝 선 극작가는 프리드리히 헵벨이었습니다. 처음에 그는 가정적으로 불우한 시절을 보내야 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덴마크 ..

42 19후독문헌 2017.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