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5.gif)
(앞에서 계속됩니다.) 5. (부설) 쿠바의 경제 현실과 게바라 브라운의 작품에서 게바라와 카스트로 사이의 대화는 상징과 축약에 의해 다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60년대 초 혁명을 이룩한 쿠바는 수많은 난제를 안고 있었는데, 이 점에 관해서 극작품은 -문학의 특성상의 이유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장에서 실재했던 쿠바의 경제적 난 문제에 관해 약술하기로 한다. 이로써 우리는 옳든 그르든 간에 볼리비아에서의 무장 투쟁에 대한 게바라의 필연적 귀결을 유추하게 될 것이다. 쿠바의 혁명 정부는 중앙 기획 워원회 (JUCEPLAN)를 주축으로 하여, 세 가지의 경제 개혁을 단행한다. 1. 국유화 체제를 통한 농업 개혁 (INRA), 2. 탄광 개발을 통한 산업화의 추진, 3. 사회적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