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철학 이론 73

서로박: 계몽주의와 절대 왕정 시대의 유토피아 (3)

10. 계몽주의 유토피아의 10가지 유형 (1): 레이몽 트루송 Raymond Trousson은 『없는 곳의 나라에로의 여행. 유토피아의 사고의 문학사 Voyages aux pays de nulle part: histoire líttéraire de la pansée utopique.』(1975)에서 17세기 18세기에 유럽에서 출현한 유토피아의 특성을 10가지로 제시했습니다. (Trousson: 121). 첫째는 주어진 현실과 시대를 풍자하고 비아냥거리는 유형입니다. 둘째는 이른바 정치적 보수주의자들의 문학 유토피아인데, 주어진 현실을 약간 수정하여 이를 문학적으로 반영한 유형입니다. 셋째는 역사적 진보와는 방향이 다른 지상의 낙원을 묘사하는 경우입니다. 디드로의 『부갱빌 여행기 부록』내지는 페늘롱의 ..

23 철학 이론 2020.09.26

서로박: 계몽주의와 절대 왕정시대의 유토피아 (2)

6. 기하학적 구도와 평등 사회: 모어, 캄파넬라, 안드레애 등의 유토피아는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 출현하였으며, 모두 정확한 기하학적 구도에 의해서 축조된 것이었습니다. 기하학적 구도의 건출물은 기능주의를 고려한 만인 평등의 사회 구도를 전제로 한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수직적 계층구도에 입각한 중세 도시의 범례와는 기능적으로 그리고 미학적으로 이질적 특성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근대에 출현한 국가의 기하학적인 모델입니다. 근대 국가의 기하학적 구도는 데카르트의 『기하학 Le Géométrie』(1637)에 의해서 더욱더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면모를 드러냅니다. 왜냐하면 데카르트는 모든 유토피아의 건축물에 있어서 수학의 토대를 중시했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르네상스 시대의 정..

23 철학 이론 2020.09.26

서로박: 계몽주의와 절대 왕정 시대의 유토피아 (1)

1. 계몽주의의 유토피아: 17세기 그리고 18세기에 이르면 지식인들은 더 이상 신, 자연 그리고 전통 등을 맹신하지 않고, 인간의 고유한 이성을 기대하기 시작합니다. 과거에 신의 권능이라는 절대적 권위는 어쩌면 하나의 형이상학적 허상일 수 있다는 사고가 태동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로 인하여 신의 권능은 자연의 권능 나아가, 인간의 오성의 영역으로 이전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와 병행하여 황금의 시대에 꿈꾸던 찬란한 행복은 인간의 오성의 힘으로 “지금, 여기”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믿음이 강화되었습니다. 계몽주의 시대에 이르면 오로지 인간이야 말로 정치적 사회적 세계의 근원이며, 나아가 세계를 새롭게 창조해낼 수 있는 존재라고 서서히 인식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사고야 말로 계몽주의의 유토피아..

23 철학 이론 2020.09.26

서로박: 그람시의 '옥중 서한'

안토니오 그람시 (Antonio Gramci, 1891 - 1937)의 "옥중 서한 (Littere dal carcere)"은 그람시가 죽은 뒤 10년 후인 1947년에 간행되었다. 그람시는 2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당원이었다. 그는 1928년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고 시민전쟁을 준비했다.”는 이유로 10년 구금 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편지는 1926년부터 1937년 사이에 집필된 것이다. 그람시는 정치적인 이유로 모든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낼 수 없었다. 편지의 수취인은 가족에 국한되었다. 가령 러시아 출신의 부인과 아이들, 로마에 살고 있는 처제, 타냐 슈흐트, 어머니, 사르디니아에 있는 형제들이 수취인이었다. 그람시는 편지에서 수감 생활로 인한 고통, 자신의 육체적 상황 등을 상세히 기..

23 철학 이론 2020.09.11

볼프강 하리히의 성장 없는 공산주의

오늘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볼프강 하리히 (1923 - 1995)의 주장에 관해서 비판적으로 언급하려고 합니다. 하리히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다가 50년대에 아우프바우흐 출판사 등에서 편집자로 일했습니다. 1956년 구동독 정부와의 갈등을 빚어서 반국가적 행위라는 이유로 10년간 감옥에서 지내야 했습니다, 출옥 후에 그는 주로 루드비히 포이어바흐Ludwig Feuerbach의 철학과 장 파울의 문학에 몰두한 바 있습니다. 70년대 이후로 생태주의를 연구하여 1975년 그의 책 『성장 없는 공산주의? 바뵈프와 로마클럽 보고서. 프라이무트 두베와의 여섯 번의 인터뷰 그리고 그에게 보내는 편지 Kommunismus ohne Wachstum. Babeuf und der Club of R..

23 철학 이론 2020.05.19

미셸 푸코

친애하는 Y, 당신은 푸코에 관해서 간략하게 언급해달라고 부탁하였습니다. 푸코는 역사에 자신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면서 지식의 질서가 어떠한 형태를 드러내는가? 그리고 지식의 영속적인 대상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고 여겼습니다. 비록 구조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푸코는 구조의 우주적 특성을 내지 구조의 초시대성을 누구보다도 강하게 비판하였습니다. 이로써 푸코는 역사적 흐름의 비영속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를 고려한다면, 프랑스 철학자들 가운데에서 미셸 푸코야 말로 가장 이질적인 분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지식의 고고학"에서 푸코는 담론의 실제에 관한 제반 문제를 탐구해 나갔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특정한 시대에 제기되는 어떤 언술의 공감대를 규정하는 것들로서 규정되는 인식의 ..

23 철학 이론 2020.01.30

쟈크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

쟈크 데리다는 1967년에 파리에서 "그라마톨로지 (Grammatologie)"를 발표하였다. “그라마톨로지”란 어떤 해체의 시도이다. 데리다는 “역사적 형이상학의 시대”의 폐쇄성이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 해체 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간주한다. 여기서 말하는 폐쇄성은 단순히 형이상학의 종말과 혼동해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형이상학의 종말에 대한 상상은 “어떤 인식될 수 있는 총체성” 혹은 “서로 대립되는 시대들의 어떤 일직선적인 연결” 등과 같은 형이상학적 개념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데리다에 의하면 해체 작업은 내부적으로 수행된다고 한다. 그것은 “과거 구조에 대한 모든 체제 파괴적인, 전략적인 경제적인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책은 두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단락에서 데리다는 로고스 중..

23 철학 이론 2020.01.30

서로박: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일원인 허버드 마르쿠제 (1898 - 1979)의 "에로스 그리고 문명 Eros and civilisation)"은 문화 철학 내지 정신분석의 연구서로서 1955년 미국에서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930년에 쓴 후기 저작물 「문화 속의 불만 (das Unbehagen in der Kultur)」에서 개진한 문화 철학 내지 사회 철학 분야의 입장에 대한 속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이 든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서 "대중 심리학과 자아 분석 (Ma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 "쾌락 원칙을 넘어서 (Jenseits des Lustprinzips)" 그리고 "자아와 이드 (Das Ich und das Es)" 등의 작품에서 이른바 대중의 복..

23 철학 이론 2019.03.18

서로박: 마르쿠제의 '예술과 혁명'

(1955년 미국에서 찍은 사진) 허버드 마르쿠제 (1898 - 1979)의 "예술과 혁명 (Art and Revolution)"은 1972년 보스턴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예술과 혁명"은 마르쿠제의 후기 예술론을 담고 있는데, 신 마르크스주의의 이론과 혁명적 실천에 관한 직접적 전망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책에서 마르쿠제는 (「자유에 관한 에세이 (An Essay on Liberation, 1969)」에 기술된 바 있는) 해방된 사회 그리고 어떤 “새로운 감성 (neue Sensibilität)”을 담은 삶의 형태로서의 미학적 유토피아를 계속 진척시키지 않는다. 그 대신에 그는 -1937년에 쓴 「문화의 긍정적 특성 (The Affirmative Character of Culture)」을 재..

23 철학 이론 2019.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