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09

서로박: (2) 안데르센의 '오로지 바이올린 연주자'

(앞에서 계속됩니다.) 5. 나오미가 부유한 백작 가정의 온실 속에서 보호를 받으면서 생활하는 반면에, 크리스티안은 추위와 굶주림에 떨면서 자랐습니다. 방랑벽이 도진 아버지는 머나먼 타향을 돌아다니면서, 자신의 가족을 방치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어머니 집에서 가난하게 생활해야 했습니다. 구두 수선공이었던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는 다른 사내와 재혼하게 되었는데, 의붓아버지는 크리스티안에게서 바이올린과 악보를 빼앗았습니다. 가수 그리고 음악 연주가로 생활하는 것은 먹고 사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크리스티안은 가출하여 외삼촌 집에 기거하게 되었습니다.  외삼촌은 주인공을 부담스러운 존재로 취급하게 되고, 결국에는 선박에 태워서 코펜하겐의 항구로 보내버립니다. 크리스티안은..

39 북구문헌 2024.11.25

서로박: (1) 안데르센의 '오로지 바이올린 연주자'

1.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Hans Christian Andersen, 1805 – 1875)은 「인어공주」, 「성냥팔이 소녀」, 「미운 오리새끼」 그리고 「나이팅게일」 등의 동화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덴마크 작가입니다. 그러나 안데르센이 시와 소설을 주로 발표했다는 사실은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가 남긴 다섯 편의 주옥같은 장편 소설 가운데 하나를 골라 소개할까 합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오로지 바이올린 연주자 Kun en spillemand』(1837)입니다. 소설은 그의 나이 32세 때 코펜하겐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참고로 안데르센의 동화에 관한 좋은 논문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성훈: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 오리새끼"에 나타난 콤플렉스 문제, in: 독어 교육, 60권, 201..

39 북구문헌 2024.11.24

(명시 소개) 전홍준의 '은사시나무'

은사시나무 은근한 목소리로 은사시 은사시여 부르면춤추자고 내 손을 잡아당기는 여인이여 봄에는낯 씻고 크림만 바른뽀송뽀송한 소녀가 되어4/3박자 왈츠로 나를유혹하고여름에는 찹살모찌 훔쳐먹다엄마에게 쫓겨난 아이같이입술에 전분가루 묻히고산들바람에 다만 키들거린다 바라만 봐도 *엔돌핀 돈다 장난꾸러기 그녀도가을에는 정염情炎의 이파리모두 떨구고겸허히 생을 되새김질한다 어여삐 여긴 조물주함박 눈 내려보내그녀의 부끄러운몸을 덮어준다 *시작노트운동하는 체육공원에 은사시나무 한그루서 있다. 근엄한 잣나무와 웅장한 느티나무사이에서, 껑충 큰 키로 어린애처럼 까불며서 있다. 속성으로 자라는 특성 때문에,칠십 년대 녹화사업할 때 우리 산야를 지배했지만,실속이 없다고 천덕꾸러기가 되어, 지금은방죽 부근이나 조경수로 겨우 명맥을..

19 한국 문학 2024.11.23

서로박: (3) 잉고 슐체의 '새로운 삶들'

(앞에서 이여집니다.) 과거 작가 지망생으로 살아가던 당시에는 최소한 입신 (立身)에 대한 기대감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또한 서방세계는 그에게 흐릿한 천국으로 인지되곤 하였습니다. 주위에서 그는 선배 작가들이 서독에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는 경우를 접하고, 이를 기대하곤 하였습니다. 그러나 통일이 되자 모든 것은 달라졌습니다. 성공은 창작 대신 경제적 이득 추구로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엔리코 튀르머는 성공의 가도를 달립니다. 그렇지만 그는 깊은 심리적 좌절감을 맛보게 된 것입니다. 그에게는 더 이상 어떤 순수한 꿈이 자리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어쩌면 그는 클레멘스 폰 바리스타에게 자신의 꿈을 팔아넘기고, 대신에 자신을 부유하게 만드는 상술을 얻었던 것입니다.  서방세계는 주인공에게는 비록 접근이 ..

48 최신독문헌 2024.11.23

서로박: (2) 잉고 슐체의 '새로운 삶들'

(앞에서 계속됩니다.) 주인공은 편지의 수취인들과 제각기 기이한 애정 관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수취인은 누나인 베로츠카, 즉 베라입니다. 엔리코 튀르머는 어린 시절부터 베라를 누나로 생각한 게 아니라, 연인으로 간주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나 베라에 대한 주인공의 사랑은 실현될 수 없는 것이었으므로, 튀르머는 고통스럽게 청년 시절을 보낸 게 분명합니다. 편지의 행간에는 두 사람 사이의 근친상간을 암시하는 대목이 나타납니다. 튀르머는 베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자신이 어떻게 알텐부르크 신문의 창간을 위해 노력해 왔는가? 하는 점을 서술합니다. 편지의 두 번째 수취인은 어린 시절의 친구, 요한 칠케라는 남자입니다. 요한은 매우 영리한 젊은이로서 주인공과 함께 드레스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주인공과 마..

48 최신독문헌 2024.11.22

서로박: (1) 잉고 슐체의 '새로운 삶들'

친애하는 S, 오늘은 1962년에 태어난 작가, 잉고 슐체의 장편 소설 『새로운 삶들 Neue Leben』에 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잉고 슐체는 사회주의의 동독 사회에서 그냥 자라났습니다. 여기서 “그냥”이라는 표현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인 우베 콜베 Uwe Kolbe가 “안에서 태어난 hineingeboren” 젊은이라고 자신을 지칭한 것도 이와 관계됩니다. 이들 문학 속에는 비더마이어 풍의 체념이 짙게 배여 있습니다. 동독의 젊은 세대는 대체로 사회주의 이념에 열광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무조건 서방세계를 동조하지도 않았습니다. 한 가지 작은 목표를 설정하여, 이를 막연히 추구한다고 할까요?  어쨌든 이들 세대는 대체로 정치적 저항에 익숙하지 못하며, 주어진 현실에 갑갑함을 느끼면서 살았습..

48 최신독문헌 2024.11.22

서로박: (2) 타우베스의 혼종(混種)의 정치신학

(앞에서 이어집니다.) 6. 기독교 교회는 타우베스에 의하면 진정한 이스라엘이 아니며, 유대교에 속하는 하나의 종파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는 바울의 기독교를 유대 사상에 접목하려려고 한다. 게르숌 숄렘은 물과 기름이 섞이면 기름이 되는가? 하고 반문한다. 여기서 우리는 타우베스의 입장이 대학살을 겪은 수많은 유대인에게 얼마나 참담한 느낌을 가져다줄지 얼마든지 추론할 수 있다. 1963년에 발표된 논문 「마르틴 부버와 역사철학」에서 타우베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즉 종말론의 공동체의 이상은 다양한 역사적 구조 속에서 끝없이 변화되고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인류가 바라는 이상은 원래의 선함과 성스러움으로부터 벗어나 항상 나쁜 방향으로 변했다. 인간은 항상 신화적 우상을 숭배하지만, 역..

24 신학이론 2024.11.21

박설호의 시 'Fasten danach'

단식 이후박설호 안드레이 사하로프 당신은고리키에서 단식 투쟁 끝에딸이 자유를 얻게 되자미소 지으며 다시식사하기 시작했다 -- 그것은 다만 섭생 (摂生) -- 얼마나 많은 지사들이 남몰래그로 인해 죽어갔을까 사하로프 당신이 과거에상당한 학자가 아니었더라면세상이 당신의 소식을찾을 길 없었더라면 그러면 (deutsch) Fasten danachSchoro PAK Andreij Sacharow, in Gorkibegannen Sie lächelndwieder zu essen, als Ihre Tochterdurch den HungerstreikFreiheit gewann. - Ein gesundes Diätleben. Wieviele Bürgerrchtlerkamen dabei ums Leben? Sacharo..

20 나의 시 2024.11.20

서로박: (2) 단테 알리기리의 '신생'

(앞에서 이어집니다.) 7. 순수하고 진정한 사랑은 제 20장에서 다음과 같은 소네트, 「사랑과 온유한 마음은 하나입니다Amore e ‘l cor gentil sono una cosa」에서 명징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사랑과 온유한 마음은 하나입니다./ 현명한 사내가 암송할 때 표현한 바대로./ 그래서 이유없는 합리적 영혼으로서/ 타자 없이 감히 하나가 되려고 하지요. Amore e ‘l cor gentil sono una cosa,/ sì come il saggio in suo dittare pone,/ e così esser l’un senza l’altro osa/ com’alma razional sanza ragione.// 만약 그게 사랑스러울 때, 본성을 찾으세요,/ 주에 대한 사랑과 그분의..

38 중세 문헌 2024.11.20

서로박: (1) 단테 알리기리의 '신생'

1. 이탈리아의 문호이자 철학자인 단테 알리기리 (Dante Alighiri, 1265 – 1321)의 『신생Vita nova』은 청년 시기에 완성된 작품입니다. 단테는 피렌체의 귀족 출신으로서 어떠한 교육을 받았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 없습니다. 다만 그가 여러 명의 총기 있는 부유층의 자제들과 함께 수학했다는 사실만 대충 알려져 있을 뿐입니다. 작품의 집필 연도는 1283년에서 1293년이라고 하니 18세에서 28세 사이에 약 10년에 걸쳐서 다듬어진 정갈한 작품인 것은 분명합니다. 『신생』은 특이하게도 시와 산문이 혼합된 작품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작품의 운문은 12편의 소네트, 칸초네 그리고 한 편의 담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문은 작품 내에서 이야기의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습니다.  사실 기원..

38 중세 문헌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