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45

새해 인사. 복 많이 받으세요

2024년 12월에 소름끼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계엄이 발동되는가 하면, 무안 공항 비행기 사고로 179명의 승객들이 사망하고 말았습니다.우리의 마음 이렇게도 답답한데, 가족을 잃은 분들의 심정은 얼마나 쓰라릴까요?특히 젊은이들의 꽃다운 목숨이 사라진 게 너무나 가슴 아픕니다.기장은 랜딩 기어 없이 무사히 착륙했습니다.아, 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이 없었더라면, 많은 사람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친애하는 나의친구, 동학 그리고 지인 여러분~ 이번 새해에는 과도한 소원을 빌지는 맙시다.소원이 크면 클수록,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여기 저기서 실망이 싹틀 테니까요. 그저 몸 아프지 않고, 최소한 작은 기쁨이 찾아오기를 빕니다.그러다 보면 놀라울 정도로 커다란 행운이 불현듯 우리에게 다가올 테니..

1 알림 (명저) 2024.12.31

울라 한의 두 편의 시

울라 한은 1946년 자우어란트의 브라흐트하우젠에서 태어나다. 그미는 처음에는 사무직원으로 살려고 했으나, 진로를 바꾸어 대학에서 문예학, 역사학 그리고 사회학 등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다. 함부르크, 브레멘, 올덴부르크에서 시학을 강의하였으며, 1979년에서 1989년까지 브레멘 라디오 방송국에서 문학 부문 프로듀서로 일하기도 하다. 시집으로는 『머리 위의 심장 (Herz über Kopf)』 1981, 『유희하는 사람들 (Spielende)』 1983, 『연애 시편들 (Liebesgedichte)』 1991 등이 있다. 특히 울라 한은 90년대부터 장편 소설을 발표하여 세인의 주목을 받다. 2001년에 간행된 소설, 『숨겨진 단어 (Das verborgene Wort)』는 작가의 유년 시절의 ..

21 독일시 2024.12.30

Knut Kiesewetter의 'Fresenhof' (3)

(표준 독일어)Wenn der Wind durch die Bäume weht, 바람이 나무 사이로 불고,Und das Gras nicht mehr wachsen tut,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으며,Und alles gelb wird, 모든 것이 노랗게 변하면,dann kommt bald die Zeit. 조만간 시간이 오네. Wenn der Sturm über das Feld geht 폭풍이 더 이상 곡식이 서 있지 않은Wo lang schon kein Korn mehr steht, 들판을 스쳐 지나가고,Und das Mehl alle wird, 모든 게 곡식이 되면,dann ist es bald soweit 조만간 때가 이르게 되지. Dass die Tage kürzer werden und die N..

7 D-Pop 2024.12.29

Knut Kiesewetter의 'Fresenhof' (2)

Em                  DWenn de Wind dör de Bööm weiht, unG              AmGras nich mehr wassen deiht, unEm                  D             Emgeel all ward, denn kummt bald de TiedEm                   DWenn de Storm övre't Feld geiht woG               Amlang schon keen Korn mehr steiht unEm                  D          EmMehl all ward, denn ist bald sowiet       D         C          Em           Dat..

7 D-Pop 2024.12.29

Knut Kiesewetter의 Fresenhof (1)

다음의 노래는 프리스란트 지방의 사투리로 이루어진 노래입니다.잘 들어 보세요. 다음을 클릭하세요. 1. Knut Kiesewetter의 노래 (LP)http://www.youtube.com/watch?v=ZHgUF04dyxU2. Knut Kiesewetter의 노래 (LIVE)Knut Kiesewetter - Fresenhof - Live 1976 - YouTube3. Silo Pikes의 노래http://www.youtube.com/watch?v=IMnZqTOqMBs 4 합창http://www.youtube.com/watch?v=tGkC9-lQiaI     Fresenhof von Knut Kiesewetter 크누트 키제베터의 프레젠호프 Wenn de Wind dör de Böhm weit, 벤 더 ..

7 D-Pop 2024.12.29

헤르만 헤세의 시, '안개 속에서'

헤르만 헤세 (1877 - 1962)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소설가이다. 1877년 칼프에서 태어난 그는 1898년 시집 『낭만적 노래 (Romanrische Lieder)』을 간행하다. 그 이후에 헤세는 주로 산문 작품을 남기다. 1899년부터 1903년까지 서점에서 일한 그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군에 자원입대했으나, 나쁜 시력 때문에 군인으로 복무하지 못하다. 대신에 전쟁 포로를 돕는 일을 행하다. 헤세는 당시에 애국적인 작품을 집필하여, 국수주의의 비난을 받게 되자, 나중에 스위스 국적을 취득하다. 그의 대표작 『유리알 유희』는 1931년에 집필되었다. 히틀러가 집권했을 때 헤세는 이에 대해 아무런 견해를 표방하지 않았으며, 독일로부터 망명해온 작가들이 스위스에 정착하는 데 많이 도와주었다.  안개..

21 독일시 2024.12.29

Schoro PAK: Die todesmütige Kühnheit als literaturtherapeutischer Gegenstand.Untersuchung zum Prosawerk B. Brechts Der verwundete Sokrates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anhand der Analyse des Prosawerks von Bertolt Brecht ”Der verwundete Sokrates“ mit den Problemen der Kampfbereitschaft sowie -verweigerung eines Intellektuellen auseinander. Vermittels einer geisteswissenschaftlichen Therapie wird dargelegt, dass die Tollkühnheit einiger Soldaten, sich blindlings und ohne Bedenken zum Kampf an die Front zu begeben, als falsches ..

30 논문 자료 2024.12.29

서로박: (2)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앞에서 계속됩니다.) 6. 비극의 내적 개연성과 일치성: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을 위해서 내적 개연성과 일치성을 요구한다. 비극은 전통적 사항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신화적 내용과 절묘하게 일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는 호라티우스의 중개로 근대 시학의 전통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바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연극작품 내 행위의 특징으로서 세부적 사항을 기술하고 있다. 가령 엉클림의 “복잡화 Desis”, “해결 Lyris”, “작품 속의 돌발적 전환 Peripetie”, “정체성 확인 내지는 재인식 Anagnorisis” 그리고 “파국”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드라마의 이질적인 부분이 다음과 같이 기술되고 있다. 프롤로그, 시작되는 “합창 Parodos” 에피소드, “(서서 노래하는) 합창 S..

37 고대 문헌 2024.12.27

서로박: (1)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요약해서 올려 놓습니다. 문헌의 내용과 의향을 정리한 것이니, "Exposé"의 성격이 강합니다. 예술론을 공부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1.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완결된 작품이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 (B.C. 384 - B.C. 322)의 󰡔시 예술에 관하여 Peri poietikes󰡕 (일명 "시학")는 기원전 335년경에 집필되었다. 이 문헌이 완결된 것이 아니라는 말은 두 가지 사항으로 설명된다. 첫째로 『시학』에는 시학 제 2권이 빠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은 중세에 사라졌다가, 1481년 베니스에서 발췌본으로 처음 간행되었다. 누군가 아라비아어의 원전을 발췌하여 부분만 라틴어로 번역했다. 1498년 베니..

37 고대 문헌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