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Brecht 80

서로박: (9)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9. 헬레네 바이겔 (1900 = 1971) 여자: 헬레네 바이겔은 법적으로 브레히트의 두 번째 아내였지요? 남자: 그런데 브레히트와 바이겔 사이에는 혼인할 때 아무런 협약이 없었습니다. 브레히트의 일방적 성적 자유에 대해 바이겔이 그냥 동의하는, 불평등 관계가 암묵적으로 맺어졌지요. 여자: 흔히 사람들은 사르트르와 보바르 사이의 계약 결혼을 언급합니다. 프랑스의 두 작가는 결혼하면서, 세 가지 사항을 실천하려 하였습니다. “첫째로 시민 사회의 일부일처제는 용납될 수 없다. 둘째로 두 사람은 상대방의 성적 자유를 용인한다. 셋째로 어떤 경우에도 비밀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약속을 어긴 사람은 사르트르였으며, 보바르는 크고 작은 심리적 고통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브레히트는 자기중심..

46 Brecht 2024.04.05

서로박: (8)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8. 카롤라 네어 (1900 – 1942) 여자: 네어는 유명한 배우였지요? 네어는 거칠고 천진난만하며, 공격적인 현대적 여성의 이미지, 즉 엘렉트라의 기질을 드러내었습니다. 흑인 머리 스타일, 남성 복장, 면허증 취득으로 세인을 놀라게 했지요. 1920년대 초만 하더라도 여성이 바지를 입고 거리를 활보하는 일은 드문 일이었으니까요. (Wieland: 178). 남자: 네 네어는 음악 교사의 딸로 태어나, 1920년부터 바덴바덴, 뮌헨 그리고 브레슬라우에서 연기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1922년 뮌헨 캄머슈필레 극장에서 브레히트를 만났지요 그런데 네어는 1925년에 브레히트를 저버리고, 극작가, 클라분트와 결혼하였습니다. 여자: 브레히트가 충동적이고, 바이에른 특유의 낙천적인 기질..

46 Brecht 2024.04.02

서로박: (7)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7. 마리루이제 플라이서 (1901 – 1974) 여자: 마리루이제 플라이서의 극작품은 오늘날에도 상연되고 있지요? 남자: 네, 그미는 1920년 뮌헨 대학교에서 공부할 때 브레히트를 만났습니다. 여자: 바이에른의 소도시, 잉골슈타트는 자신의 고향 내지는 영원한 쉼터와 같았군요. 이에 비하면 뮌헨과 베를린은 그미에게는 격변하는 역사적 소용돌이 속의 낯선 대도시였을까요? 남자: 그렇습니다. 1926년 플라이서의 극작품, 「잉골슈타트의 연옥Fegefeuer in Ingolstadt」이 베를린에서 초연되었습니다. 그해 여름 플라이서는 아우크스부르크에서 브레히트와 만났는데, 브레히트는 그미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평가하며 작품의 집필을 종용하였습니다. 이때 완성된 작품 가운데에는 「잉골슈타..

46 Brecht 2024.04.01

서로박: (6)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6. 엘리자베트 하우프트만 (1897 – 1973) 여자: 하우프트만은 브레히트의 창작을 돕던 도우미였지요? 남자: 네, 그미의 삶은 롤러코스터의 연속이었습니다. 평생 네 번 결혼한 것이 이를 반증하지요. 사랑의 실패로 인하여 그미는 두 번 자살을 시도했습니다. 첫 번째의 자살은 브레히트가 헬레네 바이겔과 결혼했을 때 행해졌으며, 두 번째의 자살은 1949년에 그미의 남편, 파울 데소Paul Dessau의 배신 때문이었습니다. 음악가, 파울 데소는 55세의 나이에 27세의 젊은 여배우, 안체 루게Antje Ruge를 사랑하며, 무작정 동거에 들어갔던 것입니다. 여자: 그미는 언제 어디서 브레히트와 안면을 익히게 되었습니까? 남자: 1924년 초에 베를린이었습니다. 브레히트는 그미의 재능을 즉시 알아보고,..

46 Brecht 2024.03.31

서로박: (5)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5. 마리안네 초프 (1893 = 1984) 여자: 마리안네 초프는 브레히트의 첫 부인이었지요? 남자: 네, 1893년 오스트리아 빈 근처에서 군인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그미는 뛰어난 외모를 갖추고 노래를 잘 불러서, 뮌헨에서 오페라 가수로 성공하려 랬지요. 1919년 9월 초프는 오페라 「카르멘」에서 집시 소녀, 메르세데스 역을 맡아 가수로 데뷔했습니다. 궁핍하게 살던 그미는 뮌헨의 출판업자, 오스카 카밀루스 레히트Oskar Camillus Recht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했습니다. 여자: 브레히트는 1919년에 아우크스부르크 시립 극장에서 초프를 처음으로 만났지요? 남자: 아닙니다. 1920년 2월이었습니다. 공연이 끝난 뒤에 브레히트는 황급히 분장실로 뛰어 들어가, 그미의 미모와..

46 Brecht 2024.03.31

서로박: (4)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앞에서 계속됩니다.) 4. 마리아 로자 아만 (1901 – 1988) 여자: 하이너 뮐러는 장시 「이를테면 아이아스」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습니다. “브레히트의 비석은 한그루 밋밋한 자두나무” (Müller: 297). 자두는 여성의 생식기에 대한 객관적 상징물인데, 브레히트가 연속적으로 갈구한 대상이겠지요? 남자: 그렇지만 사랑의 감정이란 순간적 스침이었습니다. “마치 철새가 날아가는 모습” (「Die Liebenden」), 혹은 마치 구름 사이로 달이 스쳐 지나가는 순간적 쾌락이었지요. 여자: 시간의 흐름은 하나의 아련한 아쉬움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습니다. 누구도 시간을 거스를 수 없지요. “시간은 모든 것을 갉아 먹는다.Tempus edax rerum.”고 하지 않습니까? 남자: 브레히트는 간밤..

46 Brecht 2024.03.26

서로박: (3)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2. 헤다 쿤 (1898 – 1976) 남자: 브레히트는 1917년 가을에 뮌헨 대학교에서 헤다 쿤 (1898 - ?)을 처음으로 만났습니다. 두 사람은 의대생이었는데. 아르투르 쿠처 교수Prof. Artur Kutscher의 연극 세미나에 참가하였습니다. 당시에 쿤은 세미나에서 어떤 테마를 맡아 발표하였고, 두 사람은 급속도로 가까워졌습니다. 여자: 쿤은 브레히트가 뮌헨의 대학 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었겠군요. 남자: 그렇습니다. 특히 브레히트가 훗날 뮌헨의 카머슈필레에서 연출가로 일하게 될 오토 차레크Otto Zarek를 만날 수 있었던 것도 그미 때문이었습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연인 사이로 발전합니다. 1918년 브레히트는 쿤을 아우크스부르크로 데리고 가서 부모님에게 소개하려 했습니다. 그러..

46 Brecht 2024.03.24

서로박: (2)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2. 파울라 반홀처 (1901 – 1989) 여자: 브레히트의 첫 연인이었지요? 남자: 네, 반홀처는 바이에른의 운터알고이에서 의사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1917년 아우크스부르크 김나지움에서 브레히트를 처음으로 만나 깊은 관계에 빠졌습니다. 그미는 1918년 초겨울에 브레히트와 처음으로 뜨거운 밤을 보냈는데, 이는 즉시 임신으로 이어졌습니다. 여자: 그런 경우도 있군요. 남자: 1919년 7월에 아들을 출산했습니다. 21세의 브레히트는 아들의 탄생을 기뻐하였고, 이틀간 병실을 지켰습니다. 다음 날 영아는 세례를 받았는데, “프랑크”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브레히트가 평소에 흠모하던 작가, 프랑크 베데킨트의 이름을 따온 것이지요. 여자: 처녀가 아이를 낳았으니, 주위 사람들은 제정신이 아니었습니다. 반홀..

46 Brecht 2024.03.21

서로박: (1) 여인들의 브레히트, 사랑의 슬픔

“고인의 사랑의 삶을 훔쳐보는 것은 그 자체 일방적이다.” (필자) “죽은 자에 관해서 좋은 점만 언급하라. De mortuis nil nisi bene” (그리스 속담) “문학이 오로지 삶으로써, 삶이 오로지 문학으로써 평가될 수는 없다.” (필자) (1) 파울라 반홀처 Paula Banholzer (2) 헤다 쿤 Hedda Kuhn (3) 마리 로제 아만 Marie Rose Aman (4) 마리안네 초프 Marianne Zoff (5) 엘리자베트 하우프트만 Elisabeth Hauptmann (6) 마리 루이제 플라이서 Marie Luise Fleisser (7) 카롤라 네어 Carola Neher (8) 헬레네 바이겔 Helene Weigel (9) 루트 베를라우 Ruth Berlau (10) 마르..

46 Brecht 2024.03.21

서로박: 브레히트의 '시민권 시험'

시민권 시험 베르톨트 브레히트 미합중국의 시민이 되려고 애를 쓰는 사람들을 심문하는 로스앤젤레스의 판사에게 어느 이탈리아 출신의 식당주인 또한 찾아 왔다. 제 8조의 수정조항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는 질문에 그는 말했다, 1492년하고. 그래서 돌아가야 했다. 삼 개월 후에 다시 온 그는 제시된 질문을 받았다, 남북전쟁에서 승리한 장군은 누구인가? 그의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1492년. (큰소리로 친절하게 답했다.) 다시 돌려보내졌다. 세 번째로 와서 그는 어떤 세 번째 질문에 대해 다시 1492년 하고 대답했다. 이제 그 남자가 마음에 들었는지 판사는 그가 무슨 일하는지를 물었는데, 힘들게 일한다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네 번째 등장했을 때 판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시했다, 언제 미국이 발견했는..

46 Brecht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