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공동체 내의 노동자들: 네 번째 그룹은 일반 노동자들을 가리킨다. 공동체 사람들은 자신이 설정한 법칙에 따라 자발적으로 생활한다. 노동자들의 일감은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다. 다만 자신이 무엇을 행하며, 어떠한 일의 결과를 달성하는지에 관해서는 담당 매니저에게 보고해야 한다. 프레이저 공동체에서는 화폐가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노동 평점이 활용되고 있다. 공동체의 사람들은 노동의 대가로 노동 평점을 수령한다. 노동이라 하더라도 내용에 따라 제각기 다른 평점이 주어진다.
이를테면 힘들고 더러운 일에는 많은 평점이 부여되고, 쉽고 재미있는 일에는 적은 평점이 주어진다. 모든 노동자들은 1년 동안 최소한 1200 평점을 취득해야 한다. 모든 경제 체제는 분화되어 있지만, 노동의 종류, 노동량 그리고 노동 시간을 감안하여 제반 일감에 대해서 평점을 정하고, 노동자들의 업적에 따라 평점을 부여하는 자는 매니저들이다. 얼핏 보면 월든 공동체가 계층적으로 구분된 것처럼 느끼게 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계획자와 매니저를 제외하면, 모두가 노동자들이다. 학자들 역시 평상시에는 노동자로 일하며, 여가시간에 한해서 자신의 학문을 추구할 뿐이다.
19. 생산과 분배: 공동체 내의 생산과 분배는 매니저에 의해서 계획되고 이행된다. 매니저는 어떠한 물품을 생산해야 할지, 생산된 물품을 어떻게 분배할지 등을 결정한다. 이들은 숙달된 엘리트로서 엄무 수행에 있어서 전문적 식견을 지니고 있다. 매니저는 이를테면 우유 생산의 양 그리고 농업과 수공업 부분에 있어서 생산 물품의 종류와 양을 정하고, 이에 대한 노동을 노동자들에게 권장한다. 여기에는 어떠한 강제성도 없다.
다만 매니저는 노동자들에게 노동의 량, 시간, 생산된 물품 등을 고려하여 평점을 부여한다. 물품의 분배 역시 강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노동자들은 자기가 필요한 물품을 물품 저장소에서 가져갈 수 있다. 이 경우 노동자들의 소비는 벨러미Bellamy의 『뒤를 돌아보면서』에서 언급된 바 있는 신용 채권에 의해서 측정된다. 『월든 투』에서는 화폐 대신에 신용채권이 사용된다. 공동체 사람들은 1년에 1200 점의 신용 채권으로 물품을 소비할 수 있다.
20. 자연과학 기술의 활용: 월든 투 공동체는 자연과학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려 한다. 과학 기술은 토양을 해치거나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지 않고, 오히려 자연을 정화시키는 데 부분적으로 활용된다. 이를테면 건축 자재의 경우 대부분 자연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압착시킨 아교를 생각해 보라. 더러운 연못을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데도 기술이 활용된다. 놀라운 것은 스키너의 공동체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활용방안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가동시켜 음식물 찌꺼기에다 우유를 뿌려 돼지의 사료를 생산해 낸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오늘날 개발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개발과 유사하다. 스키너는 공동체를 위하여 모든 과학 기술을 도입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잔디 깎는 기계는 이곳에서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다. 그것은 손쉽게 풀밭을 깨끗하게 가꾸게 해주지만, 소음공해를 일으키므로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그 대신에 공동체는 양떼를 방목하여 풀을 뜯도록 조처한다.
21. 종교의 기능: 종교는 “월든 투”에서 개인 심리학적인 기능이라든가, 사회의 정체성을 위한 기능과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된다. 아이들은 종교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지 않는다. 그럼에도 부모들은 필요할 경우 종교 교육의 커리큘럼을 별도로 개설한다. 공동체의 삶에 적절한 새로운 인간형은 신앙에서 유래하는 게 아니라, 인간 자체의 어떤 학문적 수행에 의해서 생겨난다고 프레이저는 말한다. 공동체 사람들은 어떤 특정한 사회의 법칙이라든가 공동의 규약을 미리 설정하지 않는다.
종교적 관습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마치 술 마시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약화되어 있다. 월든 투에서는 도덕적 지침이라든가 윤리적 강령은 그저 일시적인 무엇으로 작용할 뿐이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행동은 그 자체 도덕적으로 옳다거나 그르다고 단정할 수 없다. 그것이 다만 자유로운 공동체 내의 공동적인 선에 부합될 경우 얼마든지 채택될 수 있다. 인간의 기본 행동에 관한 세속적인 규범에 관한 교육은 만 6세가 되면 끝이 난다. 그렇게 되면 아이들은 행동주의의 교육 방식의 체제 하에서 모든 것을 자발적으로 배우게 된다.
22. 일부일처제, 조기 결혼 그리고 유연한 가족 체제: 월든 투 사람들은 일부일처제를 고수하지만, 철저한 가족 체제를 고수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자식들을 공동으로 키우며, 친자식이 아니더라도 특정 아이를 자신의 양자로 받아들일 수 있다. 놀라운 것은 스키너가 조기 결혼을 권장한다는 사실이다. 이를테면 남자가 17세, 여자가 16세가 되면 결혼하여 부부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한 여성은 일반적으로 22세 혹은 23세의 나이에 네 명의 자식까지 출산할 수 있다.
그런데 조기 결혼의 권장은 자녀 출산 때문이 아니라, 젊은이들의 성적 욕구를 해소시키기 위함 때문이다. 물론 결혼 전에 신랑신부는 반드시 공동체의 나이든 사람들, 계획자 등으로부터 여러 가지 조언을 들어야 한다. 물론 공동체 내에서는 이혼 역시 가능하다. 자식문제로 이혼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사랑이 식었기 때문에 서로 헤어지려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혼할 때 여자가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문제를 지닌 부부들은 심리학자 내지 정신과 의사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23. 남녀평등과 결혼 제도: 시민 사회의 관습에 의하면 남자는 주거지, 의복, 음식 등을 마련해야 하며, 가족들의 안전을 도모한다. 여자는 음식장만, 청소, 출산, 아이 교육을 책임져야 했다. 지금까지 남자에게는 얼마든지 직업 선택의 자유가 주어지지만, 여성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실제로 미국의 대부분의 가정주부는 자신의 직업란에 “가정주부”라고 기록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긴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월든 투 공동체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공동체의 사람들은 소규모의 가정을 고수하지만, 남자와 여자의 권한은 동등하다. 그들은 일부일처제의 관습 하에서 일찍 결혼하여 아이를 출산하지만 부부의 결속감은 시민 사회의 그것에 비해서 무척 느슨하다. 중요한 것은 가족의 유대감이 아니라, 자유로운 사랑의 삶을 누리는 일이라고 한다. 따라서 공동체 내의 부부들은 자신의 아이들만 자식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다른 아이들 역시 자신의 자식으로 동일하게 대한다. 공동체 내에 친자식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나아가 월든 투 공동체에서는 남녀평등이 철저하게 보장되어 있다. 다만 노동의 역할 분담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용인한다. 이를테면 여성들이 무거운 암석을 운반하게 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여성들이 집안일에 몰두하는 것은 그들이 이를 원하고, 신체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만약 남자가 가사를 돌보려고 할 경우 매니저들은 어떤 토론을 거쳐서 이를 허용한다.
'36 현대영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의 틈새를 공략하는 생태 공동체, 스키너 (6) (0) | 2020.09.09 |
---|---|
자본주의의 틈새를 공략하는 생태 공동체, 스키너 (5) (0) | 2020.09.09 |
자본주의의 틈새를 공략하는 생태 공동체, 스키너 (3) (0) | 2020.09.09 |
자본주의의 틈새를 공략하는 생태 공동체, 스키너 (2) (0) | 2020.09.09 |
자본주의의 틈새를 공략하는 생태 공동체, 스키너 (1)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