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28

서로박: 랑크의 '문학과 전설에 나타난 근친상간 모티프'

오토 랑크 (1884 - 1939)는 "문학과 전설에 나타난 근친상간 모티브 (Das Inzest-Motiv in Dichtung und Sage)"를 1912년 라이프치히에서 처음 발표하였다. 이 문헌의 집필은 190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책을 통하여 랑크는 프로이트 제자 가운데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재능있는 사람으로 손꼽히게 된다. 특히 아주 방대한 서문에서 랑크는 근친상간 모티브의 편재론 (遍在論)를 내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서 고대 그리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로부터 현재 리햐르트 바그너의 오페라에 이르기 까지의 많은 자료들이 실증주의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로써 랑크는 정신 분석학에 근거한 문학 예술 심리학의 프로그램을 위한 기념비적인 작업을 완성시킨 셈이다. 비록 (등장 인물의 분..

5 사회심리론 2020.11.28

우리가 선호하는 학문 연구의 나쁜 경향

S씨,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나쁜 (?) 학문적 경향은 대체로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난해한 학문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세인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사람들은 쉽게 이해되는 것에 대해 코웃음 치며, 이를 경시합니다. 무릇 인간은 이해할 수 없는 무엇을 대하게 되면, 그 속에 어떤 사상적 깊이가 내재해 있다고 지레 짐작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알 수 없는 신비로움은 인간으로 하여금 궁금증과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요? 그렇기에 사람들은 그 무엇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려고 열심히 노력합니다. 그러나 나중에 그 무엇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게 되면, 사람들은 실망에 가득 찬 채 중얼거리지요. “아, 내가 이따위 것을 알려고 그렇게 노력했다니.”하고 말입니다. 어쩌면 우리..

2 나의 글 2020.11.09

서로박: 프로이트의 '도스토예프스키와 아버지 살해' (2)

7. 아버지에 대한 애증: 도스토예프스키의 발작은 죽은 자와 동일하게 되려는 무의식을 반영합니다. 소년은 내심 아버지가 죽기를 애타게 갈구했습니다. 히스테리라는 이름의 발작은 미워하는 아버지가 죽기를 갈망하는 데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이는 프로이트에 의하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관계됩니다. 아버지를 적대시하는 배후에는 아버지에 대한 애정 역시 담겨 있습니다. 아이는 아버지를 찬미하나, 동시에 아버지를 증오합니다. 아이는 자신이 아버지로부터 거세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입니다. 거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아이는 아버지를 제거하고 어머니를 소유하려는 욕구를 견지합니다. 이는 죄의식을 낳게 됩니다. 이로써 무의식 속에 가라앉는 것은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증오라고 프로이트는 주장합니다. 실제로 도스토예프스키..

31 동구러문헌 2020.09.11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2)

1. 친애하는 여러분, 이 자리를 빌려 나는 동화 속에 담겨 있는 주제 그리고 모티브를 오로지 심리학적으로 설명해 볼까 합니다. 지난 시간에 설명한 바 있듯이, 동화에 관한 문학 이론은 아직도 완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나아가 동화를 심리 분석의 차원에서 설명하려는 노력 역시 동화의 본질을 전적으로 규명해주지는 못합니다. 다만 우리는 동화의 기능과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심리적 연구 방법이 상당히 도움을 준다는 사실만을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의 강의는 책 속에 담겨 있는 내용만을 담고 있다고 단정하지는 말아주십시오. 진리의 파편은 때로는 언어 이전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니까요. 2. 고립 모티프: 대부분 어린이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으로서 우리는 은폐 욕구를 들 수 있습니..

17 (독일)동화 2020.04.30

서로박: 동화, 혹은 가벼움 속의 무거움 (1)

1. 개념: “동화 (Märchen)” 혹은 “민담 (Volksmärchen)” 등의 개념은 그 자체 명확한 게 아닙니다. 보다 세밀한 개념은 그림 형제 (Brüder Grimm)에게서 유래합니다. 독일어 “메르헨 (Märchen)”은 요정 이야기로 번역되지만 반드시 요정이 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까 좁은 의미에서 동화는 전설, 우화, 수수께끼 등의 이야기들과 구분되며, 그 자체 마법의 내용을 담은 이야기로 국한될 수 있습니다. 그렇에 동화는 어린이를 전제로 할 뿐 아니라, 초기 낭만주의의 노벨레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동화의 좁은 개념을 채택하기로 합니다. 동화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습니다: “동화는 시간과 장소를 넘어서 자유로운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기이하고 놀라운 민속적..

17 (독일)동화 2020.04.29

서로박: 입센의 페르 귄트 (3)

11. 과부 아닌 과부로 살아가는 어머니, 아들에게 집착하다: 페르 귄트의 어머니 성격상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변덕스러운 여성입니다. 남편 욘 귄트는 언제나 멀리 떨어져 있어서 과부 아닌 과부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미는 남편으로부터 등한시 당하자, 오로지 아들에게 집착합니다. 어머니가 아들에게 가까이 다가갈수록, 아들인 페르 귄트는 더욱더 혼란스러워하고 부담감을 느낍니다. 아제의 행동에는 일관성이 없고, 모순적인 특성이 여지없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아제는 돼지 같은 아들을 두었다고 투덜거리는가 하면, 아들에게 마구잡이의 욕설을 퍼붓습니다. “네 놈은 살인자의 아들이야.” 그미의 이러한 태도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아제는 아들이 더욱더 자신의 처지를 더욱더 잘 이해해주기를 바라며, 어머니의 ..

39 북구문헌 2019.11.04

서로박: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일원인 허버드 마르쿠제 (1898 - 1979)의 "에로스 그리고 문명 Eros and civilisation)"은 문화 철학 내지 정신분석의 연구서로서 1955년 미국에서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930년에 쓴 후기 저작물 「문화 속의 불만 (das Unbehagen in der Kultur)」에서 개진한 문화 철학 내지 사회 철학 분야의 입장에 대한 속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이 든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서 "대중 심리학과 자아 분석 (Ma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 "쾌락 원칙을 넘어서 (Jenseits des Lustprinzips)" 그리고 "자아와 이드 (Das Ich und das Es)" 등의 작품에서 이른바 대중의 복..

23 철학 이론 2019.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