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과거의 가부장적 시민 사회에서는 남성이 결혼 대상인 여성을 선택하지만, 여성에게는 최소한 결혼의 거부권이 존재하였다. 이는 여성에게 주어진 최소한의 권한이었다. 그러나 가부장적 시민 사회가 지나가면 싫든 좋든 간에 여성은 공공연하게 남성이든 여성이든 사랑의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92: 개개인의 육체적 특성, 성격 그리고 심리적 열망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며, 학습을 통해서 절대로 완전히 변화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제 3의 성은 존재한다. 93: 남한의 정치가들은 출산율 저하를 염려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노동 인구의 감소를 뜻하기 때문이다. 미혼모에게 육아 비를 지원하는 제도는 필요하고도 바람직한 제도인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보다 큰 시각으로 고찰하면 물구나무선 먹이 피라미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