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내 단상 203

(단상. 347) 성 단상 (2)

8: 흑인과 백인을 서로 구분하는 것은 잘못된 선입견의 발로이다. 피부색은 달라도 인간의 모든 피는 붉다. 늙으면, 흑인, 백인 그리고 황인의 머리칼은 모두 하얗게 변한다. 중요한 것은 호모 아만스의 냉철한 머리와 따뜻한 가슴이다. 9: 모든 이론은 처음에는 가설로 성립된다. 그런데 그게 하나의 진정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지금 여기”라는 현실적 조건이 첨부되어야 한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지금 여기”의 전제조건 하에서 타당성을 인정받은 학문적 이론이라고 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그 이론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10: 심리학의 경우 특정한 현실적 조건 하에서 학문적 정당성을 획득한 보편타당한 이론이라고 하더라도 그 현실적 조건 하에서 얼마든지 적용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심리학의 관심사는 처음부터 다..

3 내 단상 2017.01.31

(단상. 346) 성 단상 (1)

1: 심리적 질병에 관한 한 정상인과 장애인의 구분은 흐릿한 것이다. 세상 어디에도 조금이라도 장애의 요인을 지니지 않은 인간은 한 명도 없다. 이와는 반대로 세상 어디에도 더 이상 조금이라도 심리적으로 호전될 수 없는 환자는 한 명도 없다. 2: 호모 아만스는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한 애호의 감정을 감히 발설하지 않으려 한다. 그래서 깊은 사랑은 당사자로 하여금 꿀 먹은 벙어리로 만든다. 깊은 곳에 고여 있는 사랑의 묘약은 말문을 닫게 하는 것이다. 아, 사실을 거짓으로, 거짓을 사실로 뇌까리는 청개구리의 습성을 답습하는 버릇은 바로 그 때문일까? 3: 말과 언어는 우리의 마음을 속이거나 감추는 “불충족한 소리의 옷” (김광규)이다. 깊은 곳의 무의식적 욕구는 최상의 경우 언어적 표현을 통해서 어떤 암..

3 내 단상 2017.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