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유토피아 73

서로박: 신화와 유토피아, 그 일치성과 불일치성 (4)

(앞에서 계속됩니다.) 14. 신화 수용의 역사에 관한 비교 연구: 물론 우리는 여기서 한 가지 예외적 사항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신화의 연구가 아니라, 신화 수용의 역사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예외사항입니다. 우리는 신화 수용의 역사 연구에서 수용 시점의 시대정신과 관련하여 최소한 신화의 수용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통시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특정한 시대에 왜 하필이면 어떤 특정한 신화가 유독 활발하게 수용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검토하면, 우리는 신화가 특정한 시대에 끼친 영향 그리고 신화와 주어진 현실 사이의 상호관계를 도출해낼 수 있습니다. (Jørgensen: 301) 바로 이러한 까닭에 우리는 이를테면 플루타르코스 Plutarch의 『리쿠르고스의 삶』을 유토피아 연구의 문..

26 유토피아 2022.04.09

서로박: 신화와 유토피아, 그 일치성과 불일치성 (3)

(앞에서 계속됩니다.) 9. 신화적 역사적 유형의 파멸 이론: 신화적 역사적 유형의 파멸 이론을 내세운 사람 가운데 우리는 헝가리 출신의 신화 연구가 카를 케레니 Karl Kerényi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케레니는 쇼펜하우어, 바흐오펜 그리고 니체의 시민주의 역사 이론을 탐구하면서, 역사 발전이 진보로 귀결되는 게 아니라, 황금의 시대에서 철의 시대로 끝없이 나락해나간다는 것을 확인해내었습니다. 그의 이론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정당한 논거를 찾는 것처럼 보입니다. 케레니의 신화 연구가 마르크스주의 신화 연구가 조지 D. 톰슨 George D. Thomson과는 반대로 “찬란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려는 인간의 갈망”을 반영한 것은 바로 그 때문입니다. 물론 신화 연구가 가운데에는 과거의 찬란한 삶을..

26 유토피아 2022.04.08

서로박: 신화와 유토피아, 그 일치성과 불일치성 (2)

5. 축복의 섬에 관한 문헌들: 일단 우리는 유토피아와 관련하여 축복의 섬에 관하여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문학은 황금의 시대에 관한 찬란한 상으로서 어떤 축복의 섬을 자주 형상화하였습니다. 물론 호메로스 또한 기이한 섬을 묘사하였습니다. 요정 치르체가 머물고 있는 아이올리아 섬, 외눈박이 거인이 살고 있는 섬 그리고 모든 근심이 사라진다는 연꽃 섬 등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에서 차례대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축복의 섬은 기원전 2세기 루키아노스 Lukian에 의해서 문학적으로 훌륭하게 형상화되었습니다. 축복의 섬은 루키아노스에 의하면 대서양 어디엔가 위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섬에는 육체 없는 에테르와 같은 존재들이 살고 있는데, 수도의 물품들은 온통 금과 은으로 이루어져 있고, 건..

26 유토피아 2022.04.05

서로박: 신화와 유토피아, 그 일치성과 불일치성 (1)

1. 고대 유토피아의 두 가지 방향: 친애하는 L, 신화와 유토피아 사이의 관련성은 아직도 학문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주제입니다. 예컨대 우리는 서양의 신화가 과연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유토피아와 상관관계를 지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 정확한 답변을 찾기 어렵습니다, 서양의 학자들은 고대의 유토피아를 구명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의 방향을 추적해 왔습니다. 첫째로 유토피아의 모범으로 인정받고 있는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플라톤의 『국가』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데, 이는 고대의 많은 범례에서 “국가주의의 유토피아 archistische Utopie”의 틀을 추적하도록 자극합니다. 다시 말해 더 나은 삶은 어떤 바람직한 국가의 틀 내에서 실천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26 유토피아 2022.04.04

서로박: 뮌처의 천년왕국설 (2)

(앞에서 계속됩니다.) 6. 계시에 대한 뮌처의 믿음: 뮌처의 혁명적 자세의 배후에는 어떤 계시에 대한 믿음이 도사리고 있었습니다. 뮌처는 선택받은 자들의 공동체를 신뢰하였습니다. 이러한 공동체는 그리스도의 내적 언어를 신뢰하고 이를 믿음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전되리라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까닭에 그는 전통적 권위를 내세우는 가톨릭 신앙에 대해 격렬하게 저항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전통적 교회와 성당은 계시가 이미 오래 전에 종결되었다고 믿으면서 권력과 결탁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신의 정신은 뮌처의 견해에 의하면 오늘날 신앙인 개개인에게 직접 전달되고 있다고 합니다. 내적인 신앙의 불빛은 교회의 문헌학적인 권위에 가로막혀 마냥 은폐되고 차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신의 계시는 성서를 연구하는 학자라든가..

26 유토피아 2022.01.21

서로박: 뮌처의 천년왕국설 (1)

1. 토마스 뮌처와 천년왕국설: 친애하는 M, 서양의 종교 개혁가 가운데 가장 위대한 사람은 루터와 칼뱅이 아니라, 라스카사스와 토마스 뮌처라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토마스 뮌처에 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천년왕국설의 혁명적 정신은 토마스 뮌처에 의해서 독일 농민 혁명으로 실천되었습니다. 토마스 뮌처 (Thomas Müntzer, 1489? - 1525)의 사상과 실질적인 운동은 먼 훗날 사회학자, 카를 만하임 Karl Mannheim의 영향력 넘치는 책,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Ideologie und Utopie』에서 다시금 상세하게 언급된 바 있는데, 이로 인하여 뮌처의 삶과 사상은 현대에 이르러 유토피아의 토론의 쟁점으로 점화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시기부터 현대의 정치경제학, 사회학 등을 전..

26 유토피아 2022.01.21

바이너: 컴퓨토피아? 컴퓨디스토피아 ㅠㅠ

바둑기사 이세돌은 인공지능과 바둑을 두어서 1승 4패의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아마도 이세돌 선수만큼 엄청난 수읽기 능력을 지닌 바둑기사는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알파고는 그를 네 번이나 이겼습니다. 문제는 인간의 미래 삶에 컴퓨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공 지능이 인간 삶을 수동적으로 도와주는 일에 그치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사고하고, 인간처럼 느끼는 능력을 저절로 체득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기계가 인간을 지배하게 되는 놀라운 현상이 출현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 컴퓨터의 인공지능을 개발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19세기 초에 메리 셸리가 프랑켄슈타인을 집필하여 인조 인간의 위험성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바 ..

26 유토피아 2021.10.17

서로박: 하베만의 "내일, 갈림길에 선 산업 사회"

로베르트 하베만의 저서,『내일. 갈림길에 선 산업사회Morgen. Die Indurstriegesellschaft am Scheideweg. Kritik und reale Utopie.』(1980)는 1976년부터 1980년 사이에 집필된 것입니다. 이 책은 유토피아의 토론에서 의미심장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작품은 정치적 유토피아 그리고 물질 이후의 시대의 문제점을 서로 관련시키는 동독 최초의 문헌이기 때문입니다. 작품은 20세기 후반의 실제 정치의 이슈를 구체적으로 다룰 뿐 아니라, 70년대에 출현한 포스트 모던한 유토피아 토론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하베만은 이 책에서 여러 가지 주제를 염두에 두고 유토피아의 주제 하나로 묶어서 해명하려고 합니다. 첫째로 하베만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26 유토피아 2021.09.27

서로박: 자이프트의 유토피아 이론

페르디난트 자이프트는 1972년에 『유토피카. 과거로부터 투시한 미래의 상』을 발표한 뒤 2001년에 개정판을 간행하였다. 그의 관심분야는 르네상스와 중세에 출현한 유토피아의 사고로 요약된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다음과 같은 유토피아의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 유토피아를 형성시키는 기본적 조건은 주어진 시대를 뛰어넘는 어떤 반대세계를 구상하는 일이다. 둘째로 유토피아는 고립되어 있다. 유토피아의 사회상은 주어진 세상과는 반대되므로, 세부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독자적이며 고립된 특성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이는 플라톤에서 오웰까지 이어지는 사회 유토피아의 공통되는 특징이라고 한다. 유토피아가 고립되어 있다는 것은 정신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독자성을 표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로 대부분의 유토피아 ..

26 유토피아 2021.09.16

서로박: 풍케의 유토피아 이론

한스 귄터 풍케 (1940 – 2015)는 주로 17세기 18세기 프랑스 문학과 유토피아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학자이다. 특히 퐁트넬의 『아자오 섬 이야기』에 관한 연구는 오늘날에도 그 학문적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가령 퐁트넬의 유토피아는 풍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특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 퐁트넬의 유토피아는 두 가지의 현실 비판이라는 맥락을 지니고 있다. 그 하나는 작가 자신이 처한 현실에 대한 비판이며, 다른 하나는 가상적 독자가 처한 현실에 대한 비판을 가리킨다. “문학 유토피아라는 장르의 본질적 특징은 작가가 처한 세계 그리고 작가에 의해 떠올린 독자의 세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2. 프랑스의 유토피아는 유신론적, 혹은 무신론적 입장을 취하면서 (대부분의 경우 신랄하게)..

26 유토피아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