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유토피아 48

서로박: 안드레애의 기독교 도시국가 (2)

8. 장미 십자단원의 영향: 장미십자단의 사상은 독일에서 영국으로 그리고 다시 폴란드로 전파되었습니다. 이들을 이끈 인물로서 우리는 미하엘 마이어Michael Maier, 존 디John Dee, 로버트 플러드Robert Fludd, 토마스 보언Thomas Vaughan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의 운동과 사상은 나중에 데카르트, 코메니우스, 스피노자, 뉴턴, 라이프니츠 등으로 이어졌다고 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합니다. 장미십자단원들은 대부분의 경우 파라켈수스의 의학 서적과 연금술의 책자들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환자를 무료로 치료해주는 등 여러 가지 뜻 깊은 박애 활동을 펼쳤습니다. 그러나 1614년 이후에 칼뱅 교회의 목사가 된 다음에 안드레애는 노골적으로 장미십자 단원과의 관..

26 유토피아 2018.03.29

서로박: 안드레애의 기독교 도시국가 (1)

1. 칼뱅의 신앙 공동체로서의 국가: 요한 발렌틴 안드레애 (Johann Valentin Andreae, 1586 – 1654)는 1619년에 『기독교 도시국가』를 세상에 공개했습니다. 이 문헌은 마르틴 루터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이상을 반영한 사회 유토피아입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기독교도의 도시 국가에 관한 서술 작업 개요Rei publicae Christianopolis descriptio”입니다. 안드레애는 누구보다도 칼뱅이 생각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앙 공동체로서의 도시국가를 설계하였습니다. 안드레애의 유토피아는 특히 실험 과학과 응용과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 8년 후에 간행된 베이컨의 『새로운 아틀란티스』의 기술 유토피아와 유사성을 지닙니다. 그렇지만 모든 학문과 기술은 오로지 신앙의 토대..

26 유토피아 2018.03.28

서로박: 아나키즘의 유토피아 사상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4. 비참상의 근원은 국가에 있는가?: 몇몇 아나키스트들은 이러한 사회적 비참상의 근원이 자본주의의 경제 구도가 아니라, 국가 체제에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모든 죄악의 근원은 자본가의 잉여가치의 추구에 도사린 게 아니라,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는 폭력적 국가 자체에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폭력 국가는 마치 과거 시대의 막강한 신의 권능과 다를 바 없다고 합니다. 이를테면 바쿠닌의 유작인 『신 그리고 국가Dieu et l'état』(1871/ 1882) 를 읽으면, 우리는 그가 얼마나 권위로서의 신과 국가에 대한 노여움을 드러내고 있는가? 하는 점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바쿠닌이 사회 파탄의 근본 원인을 추적하지 않고, 결과를 원인으로 고찰했다는 데 있습니다. 바쿠닌은 국..

26 유토피아 2018.01.29

서로박: 아나키즘의 유토피아 사상 (4)

(앞에서 계속됩니다.) 20. 크로포트킨과 란다우어의 사상적 공통점 (1): 여기서 우리는 크로포트킨과 란다우어의 유토피아의 공통점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두 사람은 어떤 이상화된 중세의 도시를 상정하고 있습니다. 크로포트킨에 의하면 상호 부조의 원칙은 중세의 도시에서 가장 명확한 형태로 드러났습니다. 길드는 친구와 이웃을 도우려는 인간 본성의 깊은 욕망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길드 조합은 삶의 우연한 상태 속에서 조합원들을 상호 물심양면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런데 나중에 자본주의의 도래로 인하여 이러한 길드 조합의 장점은 산산이 부서지고 말았습니다. 이로써 이전에 존재하던 상호부조의 협동 정신은 자본주의 국가의 폭력에 의해서 희생되었다고 합니다. 구스타프 란다우어 역시 길드조합, 중세..

26 유토피아 2018.01.29

서로박: 아나키즘의 유토피아 사상 (3)

(앞에서 계속됩니다.) 13. 러시아 출신의 무정부주의자, 바쿠닌: 미하일 바쿠닌 (1814 – 1876)은 모스크바 근처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처음에는 러시아 차르의 근위병으로 근무하였습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폴란드를 억압하는 처사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었습니다. 1840년 바쿠닌은 베를린과 파리로 가서 1848년에 유럽 혁명에 동참하였습니다. 이때 집필된 문헌은 「슬라브 민족에게 고함Aufruf an die Slaven」이라는 글이었는데, 여기서 바쿠닌은 슬라브 민족에 의한 공화국 연방이 독자적으로 건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혁명의 와중에서 그는 러시아 정부 첩자에 체포되어, 시베리아로 유배를 떠납니다. 그러나 바쿠닌은 시베리아의 감옥을 탈출하여, 지구를 반 바퀴 돌아 유럽으로 돌아옵니다..

26 유토피아 2018.01.29

서로박: 아나키즘의 유토피아 사상 (2)

(앞에서 계속됩니다.) 6. “국가 없는 사회”의 네 가지 특징 (2): 셋째로 국가 없는 사회는 지방 자치 내지 지방 분권의 정책을 추구합니다. 그것이 소규모의 자치, 자활 그리고 자생 운동으로 조직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필연적인 귀결입니다. 소규모 공동체는 거대한 산업의 컨베이어 시스템 내지 기계화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수공업의 경제 체제를 중시합니다. 지방 자치 운동은 중앙집권적 국가 권력에 맞설 수 있는, 작지만 효과적인 정책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이 순간에도 중앙집권적 국가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에 이기주의적 횡포를 저지르는데, 이에 대한 대안적 삶의 방식은 소규모의 공동체 운동일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매체가 발전되고 과학 기술의 수단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21세기의 현실에..

26 유토피아 2018.01.29

서로박: 아나키즘의 유토피아 사상 (1)

1. 국가주의, 혹은 비-국가주의 유토피아: 유토피아의 역사를 서술하는 데 있어서 아나키즘과 비국가주의의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토피아는 최상의 국가가 무엇인가에 관한 물음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렇기에 그것은 처음부터 국가 구조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 권력 기관으로서의 국가 없이도 얼마든지 훌륭한 유토피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사고가 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비-국가주의의 공동체의 가능성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로써 인간의 행복을 위한 사회적 삶이 국가의 틀에서 토대를 두고 있는가? 아니면 국가 없는, 혹은 권력이 배제된 행정청으로서의 공동체의 틀에 근거하고 있는가? 하는 물음이 가능합니다. 전자가 국가 중심의 지배와 관련된 “국가주의의 유토피아archistisch..

26 유토피아 2018.01.29

서로박: 마르크스의 자유의 나라에 관한 유토피아 (6)

(앞에서 계속됩니다.) 27. 마르크스 사상의 영향 (1): 마르크스의 사상은 19세기와 20세기의 세계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페터 데메츠는 20세기에 영향을 끼친 세 가지 사상적 조류로서 “마르크스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그리고 “구조주의의 연구를 활성화시킨) 러시아 형식주의”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Demetz: 30). 세 가지 사상적 조류 가운데 세계사를 변혁시킨 하나의 사조는 아무래도 마르크스주의일 것입니다. 주지하다시피 20세기의 역사는 마르크스의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소련 혁명, 사회주의 국가들의 건설, 중국의 사회주의적 실험 등을 생각해 보세요. 이와 관련하여 수많은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이 전 세계적으로 속출하였습니다. 현재 중국이 자본주의의 경제 시스템과 ..

26 유토피아 2018.01.12

서로박: 마르크스의 자유의 나라에 관한 유토피아 (5)

(앞에서 계속됩니다.) 23. 마르크스주의의 난류: 블로흐에 의하면 주어진 현실에 대한 냉정한 분석도 중요하지만, 먼 목표, 다시 말해 미래의 이상을 예술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선취하는 작업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과업입니다. 블로흐는 이러한 작업을 “마르크스주의의 난류”라고 규정하였습니다. 대부분의 혁명가들이 이러한 작업을 처음부터 경원시하였기 때문에 ,혁명의 과정에서 자신의 전략을 수정하고 타협적으로 처신했다고 블로흐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물론 『정치적 측정, 페스트의 시대, 3월 전기Politische Messung, Pestzeit, Vormärz』에서 스탈린의 정책을 찬양하고 핵에너지에 대한 블로흐의 기대감 시대착오적인 면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런데 현장 정책에서 나타나는 블로흐의 오류를 제..

26 유토피아 2018.01.12

서로박: 마르크스의 자유의 나라에 관한 유토피아 (4)

17. 마르크스주의는 유토피아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1):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유토피아를 부정적인 개념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의 사상 속에는 아이러니하게도 긍정적 의미를 담은 유토피아의 사상적 특징들이 용해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마르크스의 사상은 겉으로 보기에는 전통적 유토피아 사상가들이 시도한 찬란한 이상적 삶을 노골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마르크스주의가 추구하는 의향 속에는 근본적으로 더 나은 삶에 관한 꿈, 다시 말해서 유토피아의 의향 내지 구체적 희망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까닭에 한스 프라이어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유토피아를 부정적 개념으로 파악하였지만, 그들은 공산주의의 꿈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말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내심으로는 어떤 ..

26 유토피아 201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