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 오늘은 전홍준 시인의 시 「영락공원에서」를 논하기로 하겠습니다. 시인은 죽음에 관해서 처절하고도 집요하게 사유하면서, 이를 시작품 속에 영글어놓고 있어요. 가령 우리는 그의 시선집 『흔적』에 실린 시편 가운데에서 「영락공원에서」, 「영락공원에서 1」,「선택」, 「상가에서」등의 작품들을 예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너: 죽음에 대한 놀라운 사유는 「영락공원에서 1」에서 잘 나타납니다.
심장마비로 오십 대에 숟가락을 놓은
날벼락 앞에서도 상주들은
별리 입은 옷 같은 슬픔에 젖어 있다
품앗이문상객들은 조화로 치장한 슬픔에게
절하고 국밥을 먹는다
소주를 마신다
그리고 내일 돌아올 수표를 걱정한다
영정 속의 망자만이 선명한 비탄에 빠져있다
사자 입으로 들어가는 새끼를 쳐다보며
천연스레 풀을 뜯는 초식동물처럼
눈물샘이 퇴화한 자들의 송별연 때문에
죽음은 부도난 식당의 찌그러진 양은그릇이다
2.
너: “심장마비로 오십대에” 목숨을 잃은 것은 현대인의 관점에서 볼 때 가족들에게는 그야말로 “날벼락”일 것입니다. 인생의 황금기에 세상을 떠났으니까요.
나: 그런데도 상주들은 시인의 눈에는 기이하게 슬퍼하는 것처럼 비칩니다. 상주들의 슬픔은 “빌려 입은 옷”과 같고, 그저 “조화로 치장”해 있으니까요.
너: 가족과 문상객들은 진정한 죽음의 의미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숟가락을 놓은” 자 앞에서 “국밥”을 먹지만, “내일 돌아올 수표를 걱정”할 뿐입니다.
나: 네, “비탄”에 빠져 있는 자는 아이러니하게도 “망자”밖에 없다고 합니다. 죽은 자에게는 감정이 없는데, 이런 식으로 표현한 연유는 무엇일까요?
너: 아마 죽음에 대한 생존자들의 무심한 태도를 풍자하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그들은 “새끼”가 사자에게 뜯겨 죽는데도 “천연스레 풀을 뜯는 초식동물”과 같이 행동하고 있으니까요. 전홍준 시인의 시에는 은밀한 풍자가 바늘처럼 돋아 있습니다.
나: 무심하다기보다는, 눈멀어 있다고 표현하는 게 더 나을 것입니다. 살아있는 자들은 “수표”, “부도난 식당”등과 같은 일상의 문제에 혈안이 되어, 죽음의 의미를 간과하고 있어요.
너: 죽음이 “식당의 찌그러진 양은그릇”이라는 표현은 그 자체 의미심장합니다.
나: 네, 사람들은 먹고사는 문제 때문에, 죽음이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너: 아, 급박하게 차려진 장례식의 절차는 “눈물샘이 퇴화한 송별연”으로 각인되고 있군요.
3.
나: 전홍준 시인의 시편에는 전체적으로 인간 삶에 대한 부정적이고 허무적인 시각이 번득입니다. 그래서 독자들 가운데 시인의 세계관을 비관적 염세주의와 결부시키는 분들이 많더군요. “인간은 짐승이란 본질에다/ 선(善)으로 도금한 존재” (「인간」)라는 시구를 생각해 보세요. 여기서 우리는 인간 혐오주의 내지는 비관적 염세주의를 분명히 감지할 수 있습니다.
너: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요? 시 속에 겉으로 드러난 정도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성급하다고 여겨집니다.
나: 왜 그렇게 생각하지요?
너: 물론 시인이 인생을 “뒷골 당기는 근심” (「가을 운문사」)으로 표현한 것은 사실입니다. 인간의 삶이란 “화려한 한 컷의 장면을 기다리다가/ 끝없이 필름을 소진하다마는 것” (「폐교」)일 수 있어요. 그렇지만 이러한 시구들은 다르게 수용될 수 있어요. 시인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역으로 이를 거부하라고 촉구하는지 모릅니다. 이 경우 부정적 허무주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도입된 정조일 뿐이지요. 주위에 얼마나 가식적인 삶의 방식과 무책임한 행동 양상이 즐비합니까? 우리는 전홍준 시인의 시에서 기막힌 풍자를 도출해내야 할 것입니다.
나: 나와는 생각이 다르군요. 전 시인은 가볍고 우스꽝스러운 허구를 거부하고, 무겁고 불편한 참다움을 선호하고 있어요. 실제로 시인의 관심은 주로 에로스보다 타나토스로 향하고 있습니다. 내 견해로는 전홍준의 문학에서는 “희망”이 결여되어 있어요. 왜 연애시 한 편도 남기지 않았는지 모르겠어요.
너: 무슨 뜻인지 잘 알겠습니다. 이에 관한 판단은 독자들에게 맡기는 게 어떨까요?
(계속 이어집니다.)
'19 한국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시 소개) 전홍준의 시, 「영락 공원에서」(3) (0) | 2021.07.01 |
---|---|
(명시 소개) 전홍준의 시 「영락 공원에서」 (2) (0) | 2021.07.01 |
(명시 소개) 현실을 넘어서는 상상공간. 김광규의 시「물오리」 (3) (0) | 2021.06.22 |
(명시 소개) 현실을 넘어서는 상상공간. 김광규의 시 「물오리」 (2) (0) | 2021.06.22 |
(명시 소개) 현실을 넘어서는 상상 공간. 김광규의 시 「물오리」 (1) (0)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