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5 3

서로박: (2) 기억과 갈망의 몽타주. 이정주의 시세계

(앞에서 계속됩니다.) 4.이정주는 『현대시학』 2007년도 7월호에 최근작들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시인은 중의적 표현 기법 내지 복합적인 장면 배열 등을 지양하고, 어떤 사소하지만, 생략될 수 없는 관점을 집요하게 투시한다. 가령 「러브레터」에서 시인은 어느 노동자의 일상을 마치 카메라의 렌즈 속처럼 들여다본다. 인간의 존재는 과학 기술에 의해서 장악되고, 인간이 행하던 모든 일은 이제 기계에 의해서 영위될 뿐이다. 최근작에서 시인은 유연한 시각을 견지하고, 약간의 체념적인 톤을 드러내지만, 그래도 무언가를 예술적으로 포착하려는 의지만큼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필자는 최근작 10편 가운데 「물가로 갈 것인가 도서관으로 갈 것인가」를 가장 관심 있게 읽었다. 물가에서 “숭어”와 “새”가 죽임의 두려움에 ..

19 한국 문학 2024.07.15

서로박: (1) 기억과 갈망의 몽타주. 이정주의 시세계

1.독일의 화가, 프란츠 마르크 (Franz Marc)는 언젠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림 그리는 일은 다른 공간에서 다시 태어나는 행위이다.” 마르크에 의하면 또 다른, 가능한 공간에 대한 열망이 결국 화가로 하여금 붓을 들게 만든다고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어째서 이정주의 시를 읽을 때마다 떠오르는 것일까? 가장 훌륭한 공간에서 머물면서 지고의 행복을 느끼려는 욕구야 말로 시인으로 하여금 창작에 몰두하게 하는 것일까? 2.흔히 사람들은 이정주의 시가 초현실주의적 실험 정신을 연상시킨다고 말한다. 이는 틀리지 않지만, 그 자체 충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정주의 시 속에는 과거의 특정한 정신 사조와 비교할 수 없는, 어떤 독특함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독특함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이정..

19 한국 문학 2024.07.15

박설호: (8) 블로흐 용어 해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이론 – 실천 Theorie – Praxis [블로흐는 이론과 실천을 역사에 나타난 어떤 단절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역사의 단절이란 마르크스 이전의 역사, 마르크스의 시대 그리고 마르크스 이후의 역사라는 세 가지 구분을 가리킨다. 이론과 실천에 관한 사고는 철학사에서 많은 변화를 거듭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관찰 능력 그리고 실천 능력을 서로 구분했다. 이에 비하면 중세 철학은 “명상적 삶vita contemplativa” 그리고 “행동하는 삶vita activa”을 서로 달리 해명하면서, 인간 삶의 목표는 세계가 아니라, 전지전능한 신에 의해서 정해진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하여 블로흐는 르네상스 철학을 중요하게 고찰한다. 그 이유는 신시대의 철..

27 Bloch 저술 2024.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