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현대불문헌

서로박: (2) 치카야 우 탐시의 삼부작 '바퀴벌레'

필자 (匹子) 2023. 9. 7. 19:04

(앞에서 계속됩니다.)

 

7. 톰 는투투와 그의 아내는 일찍 사망하다: 톰은 일찍 결혼했는데, 그의 아내, “로야”는 상아해안에 머물 때 병으로 사망하고 맙니다. 톰 역시도 고국으로 돌아온 다음 백주 대로에서 안타깝게도 트럭에 치여 유명을 달리합니다. 원래 아프리카의 토속 신앙에 의하면 모든 죽음의 이유는 반드시 자연의 신 앞에서 밝혀져야 합니다. 그렇기에 톰의 남동생인 칠루엠브와 여동생, 리암부는 종교 제식을 거행하는 법정을 찾아갑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톰과 그의 아내가 무고하게 목숨을 잃었다는 사실을 증언하고 돌아옵니다. 톰에게는 아들, 프로스퍼 그리고 딸 소피가 있었습니다. 그들은 지금까지 기독교 학교의 기숙사 그리고 수녀원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칠루엠브는 의탁할 곳 없는 두 조카를 집으로 데리고 와서 자신의 자식처럼 키웁니다. 프로스퍼와 소피는 삼촌의 집에서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방식의 교육을 받게 됩니다. 두 아이는 프랑스와 아프리카 문화 사이에서 혼란스러워 합니다. 어느 날 가톨릭 수사가 찾아와서, 가장의 교육 방식이 이교도의 진부한 무엇이라고 비난하지만, 칠루엠브는 이를 개의치 하지 않습니다.

 

8 주인공 프로스퍼와 여동생 소피: 어느 날 장 레스코라는 이름의 프랑스 남자가 콩고에 입국하게 됩니다. 그는 언젠가 아버지가 프랑스에서 모시던 대령의 아들이었습니다. 프로스퍼와 소피는 아버지가 프랑스 주인에 대해 안온하고도 편안한 기억을 떠올리며, 장 레스코를 자신의 집으로 초대합니다. 그러자 삼촌은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합니다. 왜냐면 기독교를 신봉하는 프랑스인들은 고향을 식민지로 변하게 했고, 아프리카인의 고유성을 망치게 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프랑스의 기독교 문화 그리고 콩고의 보두 종교의 관습이 서로 충돌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소피는 장 레스코와 매우 친하게 지냅니다. 나중에 그미는 장 레스코의 애인이 됩니다. 그런데 장 레스코는 프랑스에 아내를 둔 기혼남이었습니다. 1921년 장 레스코가 프랑스로 되돌아갔을 때, 소피는 자신을 데리고 가 달라고 애타게 애원합니다. 그리너 장은 소피를 냉랭히 내치고 떠나갑니다.

 

9. 프로스퍼의 고행의 삶: 프로스퍼는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서 포르투갈 출신의 상인 밑에서 일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소피는 오빠와 함께 살면서 가사를 돌봅니다. 약 4년 동안 포르투갈 상인의 밑에서 뼈 빠지도록 헌신합니다. 그에게는 경제적 수완도 있었으며, 프랑스어와 회계 능력이 탁월했습니다. 그러나 포르투갈 상인은 전도유망한 흑인 청년을 이용한 다음에 내쳐버립니다. 포르투갈 출신의 어느 경쟁 상대자는 프로스퍼를 절도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합니다. 아무 물건도 훔치지 않았는데도 사법 당국은 그에게 죄를 뒤집어씌워, 유죄 선고를 내립니다. 이때 프로스퍼는 자신의 존재가 바퀴벌레 한 마리보다 못하다는 사실을 처절하게 체험하게 됩니다. 감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 그는 순찰차에 뛰어내려 탈출합니다. 법망에서 벗어난 도망자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뒤이어 프로스퍼는 몇 년 동안 어딘가 은닉하면서 때를 기다립니다.

 

10. 작가의 시대 비판: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작가는 포르투갈 상인과 식민지 총독이 저지르는 패륜에 관한 에피소드를 삽입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재화를 강탈할 뿐 아니라, 흑인들에게 잔악한 고통을 가합니다. 단순한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쓰라림은 꿈속에서 끔찍한 악몽으로 나타나곤 했습니다. 고통당하는 민초는 연속적으로 밤낮으로 두려움에 떨어야 합니다. 이를 견디지 못한 일부 사람들은 정신 착란 증세를 드러내기도 합니다. 작가는 작품에 주변 인물의 일화를 수없이 첨부하였습니다. 자유롭게 변화되는 서술의 관점 역시 독자의 흥미를 배가시키기에 충분합니다. 폭압과 강제 노동에 시달리는 흑인들은 삶의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한 채 방황할 뿐입니다. 그들에게는 아무런 꿈도 희망도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삶의 고통과 불안이 그들의 심리 상태를 망가뜨리고 있습니다. 남자들은 포승에 묶인 채 어디론가 끌려간 다음에 처형당하고, 강제 노동에 시달리던 여자들이 겁탈당하는 일은 비일비재하게 발생합니다. 아이들은 언제나 굶주리며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11. 시대적 아픔은 주인공의 고통으로 서술되고 있다: 주인공의 이어지는 삶은 콩고의 암울한 현실만큼 슬프고도 뒤숭숭합니다. 프로스퍼는 집으로 돌아와서 혼자서 작은 사업을 벌입니다. 여동생, 소피는 더 이상 가사를 돌봐주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프로스퍼는 아름다운 여성, 마릴라와 결혼식을 올립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백일하에 드러나게 됩니다. 즉 마릴라는 주인공과 혼인하기 위해서 구청의 서기를 매수하여, 과거의 혼인 사실을 삭제했다는 게 그 사실이었습니다. 마릴라의 과거 삶의 이야기는 식민지 국가에서 살아가는 처녀가 겪어야 했던 온갖 애환과 수모를 여지 없이 보여줍니다. 마릴라는 주인공과 만나기 전에 백인 주인에게 온갖 시중을 들면서 혹사 당하고 성폭력당하면서 처절한 삶을 이어왔습니다. 프로스터는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마릴라를 용서합니다. 그런데 마릴라는 불행하게도 곤충의 독침으로 인하여 급사하고 맙니다.

 

12. 두 번째 소설의 줄거리: 두 번째 소설 『해파리 혹은 바다 쐐기풀 Le Méduses ou Les orties de la mer』가 시작됩니다. 1945년에 프로스퍼는 프랑스 식민 관청의 관리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의 이름 역시 “포바르”로 바뀌어 있습니다. 그는 몇 년 전에 쥘리엣과 결혼하여 슬하에 두 명의 딸, 레아 그리고 파울랭을 거느리며 살고 있습니다. 콩고 국가는 정치 경제적으로 혼란의 연속입니다. 주인공 역시 자신의 마음의 갈피를 어떻게 바로잡아야 할지 모릅니다. 삶 자체가 한마디로 끔찍한 지옥을 방불케 합니다. 이때 주인공은 아름다운 창녀, 마하타 몽가니를 찾아가서 상처 입은 몸과 마음을 의탁합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프로스퍼는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합니다. 친구들은 마치 버러지와 같은 노동자로 학대당하지만, 그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에 고통을 느낍니다. 이러한 처지는 그를 더욱더 무기력한 냉담함 속으로 빠져들게 합니다. 주인공이 기댈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술밖에 없었습니다. 그는 알코올에 의존하게 됩니다.

 

13. 바퀴벌레는 닭의 법정에서 자신의 탄식을 터뜨린다.”: 어느 날 제2차 세계대전이 종언을 고했다는 소식이 퍼집니다. 이때 프로스퍼는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동지들과 함께 정치적으로 규합하려고 작심합니다. 그는 서서히 세력을 키워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소설의 표제로 채택한 내용을 실제로 체험하게 됩니다. “바퀴벌레는 닭의 법정에서 강력하게 한탄한다. Les cabcrelats ont déposé leur plainte devant le tribunal des poules.” 여기서 닭은 프랑스 국가를 상징하는데, 바퀴벌레를 하나씩 잡아먹는 동물로서, 콩고에 주둔하는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을 가리킵니다. 전쟁의 와중에서 펠릭스 에부에 (Félix Eboué, 1884 – 1944)는 흑인으로서 처음으로 프랑스령 아프리카 총독으로 부임하게 됩니다. 이때 콩고 사람들은 그에게 다음과 같은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닭 한 마리가 수많은 바퀴벌레의 군대 앞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존할 수 있을까요?” 나중에 흑인들의 반식민지 운동은 하나의 대중 운동으로 확장합니다. 흑인들은 씨족끼리 그리고 마을끼리 연합 전선을 구축하여 자신의 힘을 결집하여 공동으로 투쟁하기 시작합니다.

 

14. 세 명의 사내들: 두 번째 작품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세 명의 남자입니다. 이들은 어느 날 정오를 기하여 식민 통치에 저항하기로 맹약합니다. 이들은 함께 모이는데, 이후의 끔찍한 사건으로 인해서 목숨을 잃게 됩니다. 작가는 이들을 불에 뛰어드는 나방이라고 기술합니다. 첫 번째 사내는 에렝가라는 이름을 지닌 철도 노동자인데, 동료들과 함께 파업을 일으키다가 정부군의 총탄을 맞고 장렬하게 사망하고 맙니다.

 

두 번째 사내는 무엔도라는 이름을 지닌 흑인인데, 거대한 숲 근처에 자리한 목재소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인해서 목숨을 잃습니다. 그의 몸은 거대한 톱니바퀴에 밀쳐져서 처절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누군가 고의로 그의 몸을 밀쳐서 발생한 살인극이라고 수군거립니다. 세 번째 사내는 루암부라는 이름을 지닌 흑인인데, “바스 콩고 일반 회사 Compagnie Générale du Bas Congo”의 직원으로 일하고 있었습니다. 루암부는 폭동이 발발한 세 번째 날에 갑자기 의식을 잃고 식물인간이 되어, 침대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