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현대불문헌

서로박: (2)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필자 (匹子) 2023. 8. 24. 10:19

(앞에서 계속됩니다.)

 

7. (부설) 맨드레이크: 맨드레이크는 라틴어로는 “만드라고라”, 독일어로는 “알리우네”라고 불리는 약초입니다. 사람들은 이것을 “악마의 사과Devil’s appl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약초는 지중해 근해에서 자라는데, 마치 인삼처럼 다육질의 뿌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줄기는 약 30센티 자라며, 통상적으로 꽃 한 송이만을 피웁니다. 맨드레이크는 구약성서 「창세기」 그리고 「아가」에서는 사랑의 묘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혼하는 남녀는 만드라고라, 즉 맨드레이크의 즙액을 마시면, 첫날밤을 황홀하게 보낸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작가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는 자신의 5막 희극작품, 「만드라고라」에서 이 약초를 최음제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다육질의 뿌리는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데, 마치 인간의 하체를 연상시킵니다. 민간 의술에 의하면 맨드레이크를 복용한 사람은 체내의 사악한 기운을 떨치고, 건강을 되찾는다고 합니다. 고대에는 맨드레이크가 “행운” 그리고 “부(富)”를 안겨주는 신비로운 식물로 인식되어 비싼 가격에 거래되었습니다. 일설에 의하면 사형수는 교수대에서 목이 졸려서 사망할 때 정액이 섞인 오줌을 눈다고 합니다. 이 오줌이 땅에 떨어지면, 맨드레이크가 자라난다고 했습니다. 각설, 맨드레이크는 참으로 기이한 식물이 아닐 수 없습니다.

 

8. 흑인 방드르디를 구출하다.: 어느 날 로뱅송은 이곳에 원주민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곳에 잠입하니, 흑인 한 사람이 원주민에 의해서 붙잡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몰래 흑인을 구출해준 다음에 그에게 “방드르디”라는 이름을 지어줍니다. “방드르디”는 디포의 소설의 “프라이데이”와는 달리 야생에서 살아가는 자유분방한 자연인입니다. 주인공은 일방적으로 자신의 언어와 서구의 예절을 그에게 가르치려고 합니다. 그러나 방드르디는 이를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마음이 향하는 대로 천방지축 행동합니다. 이를테면 나무에 붙은 구더기를 구워 먹기도 하고, 거북이를 죽여, 그 껍질로 그릇을 만드는 등 엉뚱한 행동으로 주인공을 난처하게 만듭니다.

 

9. 로뱅송, 방드르디를 제어하지 못하다.: 로뱅송에게는 배에서 구출한 강아지, 벤이 있었습니다. 그밖에 야생 염소들을 잡아서 사육했는데, 그 가운데 한 마리에게 앙두아르라는 이름을 붙여준 다음에 지극정성으로 보살핍니다. 벤과 앙두아르는 주인공이 애지중지하는 반려동물입니다. 그렇지만 방드르디에게는 호감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그의 짖궂은 행동을 바로잡기 위해서 로뱅송은 심지어는 채찍으로 그를 때리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체벌은 아무런 도움을 주지 않습니다. 스페란차 섬에서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자는 방드르디밖에 없습니다. 방드르디는 때로는 모든 것을 장난 내지는 유희로 생각하고, 때로는 주인공에게 완강하게 저항하기도 합니다. 방드르디라는 낯선 인간의 유형은 주인공이 무인도에서 완성하려는 작은 문명의 건설 작업에 방해가 될 뿐입니다.

 

10. 로뱅송, 자신의 정체성을 의심하기 시작하다: 어느 날 로뱅송이 마련해둔 화약 저장소가 폭발합니다. 이는 방드르디가 몰래 담배를 피우다가 저지르게 된 사고였습니다. 예기치 않은 폭발로 인해서 주위의 모든 초가가 한순간 사라지고 맙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방드르디는 로뱅송이 그동안 구축해놓은 식민 공간에 대해 완강하게 저항한 셈입니다. 그에게는 “질서, 경제, 계산, 조직” 등과 같은 지배를 위한 용어는 무용지물이었던 것입니다. 방드르디는 주인공이 자리를 비울 때만 담배를 피웁니다. 담배는 권력을 상징합니다. 그는 흡연을 통해서 로뱅송의 권력을 공유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힙니다. 섬의 폭발 사건은 지존의 질서가 전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뱅송은 지금까지 방드르디의 저항에 대해 항상 신경질적으로 반응했습니다. 그런데 폭발 사건 이후로 주인공은 생각을 달리합니다. 혹시 자신이 그렇게 애지중지 아끼는 모든 것이 언젠가는 팽개쳐야 할 문명의 쓰레기가 아닌가 하고 말입니다.

 

11. 로뱅송의 변심, 나는 유희적 인간이다.: 끔찍한 폭발로 인해 모든 것이 파괴됩니다. 그러나 폭발은 방드르디 뿐 아니라, 주인공에게 의외로 어떤 해방감을 안겨줍니다. 소설의 제목이 상징적으로 암시하듯이, 방드르디는 로뱅송에게 지금까지 전혀 알지 못했던 사항을 가르쳐주는 은사로 거듭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주인공은 방드르디의 도움으로 문명이 부여한 모든 옷을 벗어 던지면서, 어떤 자연 친화적이고 영성의 생명 속으로 잠입하게 된 것입니다. 이는 어쩌면 변심(変心), 개심(改心) 내지는 자연인으로서의 부활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이 과정을 거쳐서 주인공이 접하게 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우주적 조화로움이라는 경험을 통해서 도달할 수 있는 행복의 체험이었습니다.

 

어느 날 주인공은 방드르디가 스페란차의 “땅”과 교미하는 것을 목격합니다. 이때 그는 대지가 지배하는 시대가 끝나고, 태양이 지배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아차립니다. 로뱅송은 마치 나비처럼 고통스럽게 몸부림칩니다. 자신의 몸이 땅과 공기 사이에서 흔들리다가 바위에 달라붙은 나비라고 여겨집니다. 방드르디는 연속적으로 장난을 칩니다. 주인과 노예 사이에서는 꿈도 꿀 수 없는 유희가 두 사람 사이에서 시작된 셈이었습니다. 방드르디는 주인공에게 말합니다. “나는 영국의 요크에서 온 로뱅송이야. 야만인 방드르디의 주인이지.” 이때 로뱅송은 다음과 같이 묻습니다. “그럼 나는 누군데?” 방드르디는 다음과 같이 대꾸합니다. “알아맞춰 봐!devine que tu!” 이로써 호모 파버로서의 주인공 로뱅송은 방드르디에 의해서 마침내 “유희적 인간 Homo ludens”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12. 방드르디 유럽으로 떠나고, 로뱅송은 섬에 남다.: 소설의 마지막은 독자에게 하나의 풍자를 안겨주기에 충분할 정도로 놀랍습니다. 1787년 드디어 스페란차 섬에 구조선, “화이트버드”가 도착합니다. 이때 로뱅송은 자신이 이 섬에 무려 28년 동안 머물었다는 사실을 비로소 알게 됩니다. 구조선이 무인도에 도착했을 때, 서구 문명의 유혹에 굴복하게 된 방드르디는 문명사회로 떠나기 위해서 아무런 거리낌 없이 배에 탑승합니다. 이에 반해서 정작 주인공인 로뱅송은 배에서 도주한 젊은 수부 소년과 함께 이전처럼 섬에서 계속 자신의 마지막 삶을 이어가려로 합니다. 로뱅송은 그에게 목요일을 뜻하는 “쥐디Jeudi”라는 이름을 붙여줍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