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18. 국가의 시스템은 가급적이면 축소되는 게 바람직하다: 자고로 모든 나라의 국가재정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인간의 노동의 산물에 의존하기 마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가 거두어들인 돈은 가급적이면 노동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지출되는 게 마땅합니다. 국가의 임무는 만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영양을 공급하며, 그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돌보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는 인민을 억압하는 기관이 아니라, 인민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봉사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합니다. 오언은 기존하는 국가의 사악한 시스템을 무작정 비판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제시함으로써 어떤 더 나은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음을 분명히 말하고 있습니다.
19. 진보를 위한 과정의 토대: 이 세상에는 어떠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수단을 통하여 자신의 보편적 특성을 확정 짓는 곳은 없습니다. 모든 공동체는 인간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계몽시킴으로써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무조건 인간의 평등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본적 명제는 인류 전체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언급하면서 오언은 다음과 같이 덧붙입니다. 즉 인간이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삶의 이상은 만인의 보편적 안녕에 봉사하는 것이라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이성적이고 실천적인 공동체를 추구함으로써 코뮌은 개개인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오언이 지향하는 유토피아의 특성을 분명하게 간파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실현될 수 있다는 확신이며, 인간 이성의 힘을 빌려서 평화로운 방법으로 사회적 모델을 변형시킬 수 있다는 믿음입니다. 이러한 확신 내지 믿음은 종래의 유토피아 모델과 분명히 차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오언과 푸리에 그리고 생시몽과 카베의 유토피아 설계는 목표로서의 미래의 상이 아니라, 과도기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초기 사회주의자들이 설계한 일련의 유토피아는 역사적 목표가 아니라, 역사적 진보를 위한 과정 속에 자신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 오언이 처한 근본적인 딜레마: 사람들은 오언의 공동체가 실현 불가능한 유토피아의 사고에 불과하다고 비난하였습니다. 오언은 기존하는 자본주의의 시스템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는 어떻게 건설될 수 있을까 하고 골몰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는 최상의 국가를 설계한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합리적인 법칙을 지닌 사회의 가능성을 숙고한 것입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이전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죄악을 척결하는 과업이었으며, 이를 위한 작은 실천이었습니다.
문제는 오언이 자신이 설계한 “새로운 도덕적 사회”를 당시의 자본주의 산업 사회와 정면으로 대항하는 대안으로서 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국회가 있어도 아무런 소용이 없고,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적 관습이 그대로 온존하고 있었는데, 사회적 토대로서의 이러한 바탕을 용인하면서, 그 가장자리에 대안으로서의 소규모 공동체를 실천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한 것입니다. 한마디로 주어진 생산 양식의 전폭적인 변화 내지 개혁 없이는 오언의 새로운 도덕적 세계를 실현하는 일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언이 조우한 근본적인 딜레마가 아닐 수 없습니다.
21. 오언의 후세의 영향: 오언의 유토피아 물론 오언이 개진한 더 나은 공동체 사회에 관한 설계는 문헌학적 차원에서 미진한 부분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의 글들은 특정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견해를 전하기 위해서 집필되었습니다. 따라서 오언의 문헌은 그의 노동자 공동체의 구체적이고 완벽한 면모를 드러내기에는 불충분합니다. 아니나 다를까, 문헌들은 오언의 정확한 의도를 동시대인들에게 전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그것은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에 사회 법 제정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래서 1819년 영국에서의 “공장 노동”에 관한 여러 가지 법령들은 오언의 제안을 많이 채택하였고, 19세기의 사회 개혁 운동에 지대하게 공헌했습니다. 또 한 가지 언급되어야 할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오언의 놀라운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소규모 공동체 조합 운동 등은 그야말로 19세기 초 산업 부흥의 시대에 나타났다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참신하고도 독창적인 내용들을 우리에게 시사해주고 있습니다.
22. 양측에서 비난당하는 오언의 정치사상: 오언은 사회 개혁자로서 인정을 받았지만, 그의 정치적 사고가 논란의 대상이 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는 의회에 참여하여 개혁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실패하게 되었고, 그 후에 사업을 추진하면서 사회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그의 활동은 무엇보다도 경영자로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자신의 한계를 드러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오언의 정치적 사고는 좌파 내지 우파의 측면에서 비판당하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오언을 신랄하게 비난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계급투쟁의 필연성을 인식하지 못했으며, 혁명의 주체로서의 사회주의의 필연성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정치적 우파에 해당하는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잘 알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대중들이 잘 살고 독립적으로 변하는 것을 원하지는 않는다. 그들이 경제적으로 독립된다면 우리가 어떻게 그들을 다스릴 수 있는가?” 대중들은 언제나 정치적으로 우매함 속에 처해 있어야 사회가 평온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어쨌든 오언의 사회 개혁의 실천은 커다란 반향을 얻었지만, 그의 정치사상의 토대는 좌우 양쪽 진영에 의해서 비판당했습니다.
참고문헌
- 블로흐, 에른스트: 희망의 원리, 5권, 열린책들 2004.
- 파코, 티에리: 유토피아, 폭탄이 장치된 이상향, 조성애 역, 동문선 2002.
- Engels, Friedrich: Die Entwicklung des Sozialismus von der Utopie zur Wissenschaft, in: Marx und Engels, Ausgewählte Schriften in zwei Bänden Berlin 1970.
- Jens, Walter (hrsg.): Kindlers Literaturexikon, München 2001.
- Owen, Robert: Das soziale System. Herausgegeben von Liane Jauch und Marie-Luise Römer. Übersetzt von Michael Henselmann. Reclam, Leipzig 1988.
- Owen, Robert: Pädagogische Schriften, ausgewählte Werke, Berlin 1955.
- Saage, Rihard: Utopische Profile, Bd. III, Industrielle Revolution und Technischer Staat im 19. Jahrhundert, Münster 2002.
'35 근대영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로박: (2) 모리스의 "유토피아 뉴스" (0) | 2023.04.23 |
---|---|
서로박: (1) 모리스의 "유토피아 뉴스" (0) | 2023.04.23 |
서로박: (3) 오언의 연방주의 유토피아 (0) | 2023.04.04 |
서로박: (2) 오언의 연방주의 유토피아 (0) | 2023.04.04 |
서로박: (1) 오언의 연방주의 유토피아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