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틀러 6

호모 아만스. 치유를 위한 문학 사회심리학 서문 (3)

(앞에서 계속됩니다.) 6. 호모 아만스의 사회 심리적 개념 (1): 상기한 사항과 관련하여 우리는 호모 아만스의 의미를 -어떤 젠더의 범위를 넘어서서- 특정 부류, 혹은 다수와 관련되는 사회 심리적인 개념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가령 호모 아만스는 제반 사회적 심리적 차별을 거부하는 존재일 수 있습니다. 가령 그는 사회학적 차원에서 고찰할 때 나와 당신과 같은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본인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커다란 가치를 지닌 분이 바로 호모 아만스입니다. 그렇기에 그는 지금 여기 한반도에 살아가는 민초들일 수 있습니다. 민초들은 예나 지금에나 간에 “유교의 질서에 근거한 가부장적 씨족주의”라는 분위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언제나..

2 나의 글 2022.06.01

서로박: 버틀러의 "에레혼" (3)

물론 과학 기술은 이 경우 미래를 위한 긍정적 설계로 활용되었지만, 함부로 남용되지는 않았습니다. 과학 기술의 기능은 그 자체 중립적인 특성을 지니지만, 자본주의의 생산 양식이라는 전제조건 하에서는 얼마든지 계급 사회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과학 기술의 활용은 자본주의 체제의 현실에서는 끔찍한 악영향을 낳을 수 있습니다. 소수의 사람들은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과학 기술을 활용하는데, 이로 인하여 대다수의 노동자의 생활은 더욱더 황폐한 수준으로 나락하게 됩니다. 만약 과학 기술이 자본주의에서 통용되는 이유 추구의 가치를 허물고, 다른 유형의 삶의 가치를 병행하게 된다면, 그것은 비로소 해방의 과업을 상당부분 관철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 유형의..

35 근대영문헌 2022.01.14

서로박: 버틀러의 "에레혼" (2)

5. 작품의 외적인 틀: 작품의 배경 및 틀은 비교적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에레혼 Erewhon”이라는 단어를 거꾸로 쓰면, “지상에서 발견되지 않는 곳 nowhere”가 됩니다. 이로써 우리는 작가가 유토피아의 지역을 의도적으로 그렇게 표현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소설의 틀을 고려하면, 우리는 작가가 동시대 사회의 전반적 영역 뿐 아니라, 주어진 현실의 모든 가치를 모조리 부정하려고 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작품 속에서 19세기 사회 유토피아의 핵심적 유형에 대항하는 중요한 논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유토피아는 하나의 목표를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는 버틀러의 견해에 의하면 수정되어야 마땅하다는 것입니다. 버틀러는 “새로운 인간”에 관한 비전 그리고..

35 근대영문헌 2022.01.14

서로박: 버틀러의 "에레혼" (1)

1. 과학 기술과 기계에 대한 비판: 19세기 중엽 이후로 과학 기술의 폐해를 지적하는 일련의 유토피아 소설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메리 셸리가 작품 『프랑켄슈타인』을 통하여 자연과학의 잘못된 활용 가능성을 지적할 때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자연의 질적 개념인 마력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신뢰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과학자들은 산업 혁명을 염두에 두면서 인간의 지적 능력으로 자연의 모든 요소들을 인간 삶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는데, 메리 셸리는 자연 그리고 과학 기술 사이에는 결코 일치할 수 없다는 낭만주의의 자연관을 빌어서 자연과학이 차제에 얼마나 커다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지적했던 것입니다. 그러한 한 작품 『프랑켄슈타인』은 17세기부터 서서히 전개되기 시작한 기술적 ..

35 근대영문헌 2022.01.14

(명저)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이론가들

여성문화이론 연구소: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이론가들, 2016년 여이연에서 간행되었습니다. 모든 논문이 다 좋지만 특히 읽을만한 글은 다음과 같다. 1. 이해진 선생님의 멜라니 클라인의 어머니라는 수수께끼; 클라인의 대상 관계 이론이 언급되고 있다. 저지는 프로이트가 주장한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라는 공식을 부정하고, 모녀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우울의 포지션과 편집 분열의 포지션을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모녀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주체와 타자의 상호 관련성을 구명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저자는 영화 "블랙 스완" 그리고 옐리네크의 "피아노치는 여자"를 예로 들고 있다. 2. 임옥희 선생님의 제시카 벤자민, 초도로우 등의 이론을 서술하고 있다. 지배, 인정 상호 주체성: 제시카 벤자민의 입장을 역사적..

1 알림 (명저) 2017.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