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이어집니다.) 11. 신화적 역사적 유형의 파멸 이론: 물론 신화 연구가들 가운데에는 과거의 찬란한 삶을 동경하여, 최상의 삶의 조건들을 찾으려는 학자들이 더러 있습니다. 이들은 주어진 현실을 하나의 끔찍한 파국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역사를 비판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려고 합니다. 이러한 방법론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들의 자세 속에 처음부터 현대의 파멸의 역사를 염두에 둔, 찬란한 과거에 대한 무의식적 동경 내지는 갈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19세기 중엽에 출현한 마르크스의 진보 이론을 처음부터 부정하고, 시민 사회의 이상을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하려는 과거 지향적 반동주의를 고수하는 자세입니다. 고대 사회가 계층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