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6 5

박설호: (3) 동학 그리고 에코 페미니즘

(앞에서 계속됩니다.) 9. 동학의 정신은 무엇보다도 “양천(養天)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동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천(養天)”이라고 판단합니다. 하늘을 모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하늘을 돌보고 키우는 일이야말로 동학 정신의 핵심 사항이라고 여겨집니다. 박준건은 시천과 양천의 상호 관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습니다. “모심은 살아계시는 것을 섬김이다. 살아계시는 것을 섬기는 것은 고정적 보존이나 현상 유지가 아니라, 키움(養)이다.” (박준건: 동학의 모심을 다시 생각한다. 한국 민족문화, 2016, 202쪽.) 양천은 나 자신의 변화와 세계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음을 정갈하게 가꾸려는 내단을 강조합니다. 이것이 바로 성신쌍전(誠身双全)의 자세입니다. 그밖에 양천 속에는 개벽과..

2 나의 잡글 2024.09.26

박설호: (2) 동학 그리고 에코 페미니즘

(앞에서 계속됩니다.) 5. “플레타르키아” versus “플레타나르키아”: 김용옥은 민본(民本)이라는 개념을 분명하게 규정하기 위해서 “플레타르키아Pletharchia”라는 조어를 만들어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데모스’는 보다 광범위한, 계층적 제한이 없는 ‘다중(多衆)’을 가리키며, ‘아르케’는 ‘지배’의 개념보다는 ‘본원’의 의미가 내재한다.”는 것입니다. (동경대전, I, 272). 이 단어는 “민중”, “무리”, “다수의 인간”에 해당하는 “πλήθος”에다 국가의 기능을 강조하는 “archia”를 결합한 조어입니다. 그러나 아르케는 지금까지 “본원”에 비해 “지배”라는 의미로 더욱더 많이 활용되었음을 도올은 좌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후자, “아르키아”의 경우 서양에서 민주주..

2 나의 잡글 2024.09.26

박설호: (1) 동학 그리고 에코페미니즘

“최시형의 경물(敬物)은 인류세의 시대에 노아의 후손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방주 내지는 비상 보트에 승선할 수 있는 마음가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필자) ........................... 1. “도올은 동양학의 걸물이다.” (김경재): 젊은 시절 도올 김용옥의 『여자란 무엇인가』를 읽은 적이 있었습니다. 제목 자체가 처음에는 나를 불쾌하게 했습니다. “여자란 누구인가?”라고 묻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요? 원래 “무엇”이란 사물, 객체 그리고 대상을 지칭하므로, 여자를 그런 식으로 규정하는 게 기분 나빴습니다. 그렇지만 책에는 여성 혐오와는 정반대되는 내용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여성의 문제는 하느님에 대한 따님의 인권을 회복하는 문제다.” 이 말은 열사람의 영웅, 일남구녀(一男九女)..

2 나의 잡글 2024.09.26

힐데 도민의 시 '청원'

힐데 도민 (1912 - 2006)은 (본명: 힐데 팔름) 1912년 유대인 법률가의 딸로서 쾰른에서 태어나다. (그미의 출생 연도는 실제로는 1909년이라고 한다.) 1929년 아비투어를 마친 뒤 쾰른 대학에서 국민 경제학, 사회학을 공부했으며, 카를 야스퍼스와 칼 만하임에게서 철학을 배우다. 1932년 로마로 망명하여, 피렌체 대학에서 “마키아벨리의 선구자로서의 폰타누스”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다. 도민은 1939년까지 로마에서 어학 교사로 일하다가, 나치의 위협 때문에 영국을 경유하여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망명하다. 처음에는 번역가, 건축 사진사 등으로 일하다가, 1947년부터 1952년까지 산토도밍고 대학에서 독일어를 가르치다. 1951년 어머니의 사망 소식을 접한 뒤에 도민은 시를 쓰기 ..

21 독일시 2024.09.26

김지하의 시, '말씀'

말씀                              김지하 하는 일 없이 안하는 일 없으시고달통하여 늘 한가하시며 엎드려 머리 숙여밑으로 밑으로만 기시어 드디어는한 포기 산속 난초가 되신 선생님출옥한 뒤 내게 이렇게 말씀하셨다.비록 사람 자취 끊어진 헐벗은 산등성이사철 그늘진 골짝에 엎드려 기며 살더라도바위틈 사란 한 포기 품은 은은한 향기는장바닥 뒷골목 시궁창 그려 하냥 설레노니바람이 와 살랑거리거든 인색치 말고먼 곳에라도 바람 따라 마저 그 향기 흩으라.  출전: 김지하 시집 애린, 실천문학사 1986.

19 한국 문학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