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 42

블로흐: (5) 청춘 시대, 실험 예술, 실증주의 비판

(앞에서 계속됩니다.) 페쳐: 오늘날 실증주의가 주도적으로 자리하는 현상은 아쩌면 다음과 같은 성향 때문에 나타난 게 아닐까요? 가령 현재 상태에 대한 저항은 오늘날 반역자로 매도되는 경향 말입니다. 오늘날 국가 권력에 대한 저항은 개인주의적이고 아나키즘적인 특성을 더욱 강하게 받아들이는 게 아닐까요? 블로흐: 당신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어요. 아주 일반적으로 (아니 너무 일반적으로) 단언하자면 이론의 결핍 때문에 드러난 특징으로 말입니다. 우리에게는 구체적 현실적 상태와 일치되지 않는 이론을 탐색해서 찾아내야 할 필요가 있어요. 우리는 그러한 이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변증법적으로 탐구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인간이 추구하려는 방향 속에 개인주의의 속성으..

30 bloch 대화 2024.05.11

블로흐: (4) 청춘 시대, 실험 예술, 실증주의 비판

(3에서 계속됩니다.) 페쳐: 당신이 『유토피아의 정신』을 집필할 때, 10월 혁명이 이지 전개되고 있지 않았는가요? 블로흐: 당시에 우리 두 사람은 소련의 10월 혁명을 오랜 갈망이 마침내 성취된 사건으로 이해했습니다. 당시에 루카치는 이 사건에 대해 나보다도 더 강렬한 신학적 의미를 부여했지요. 폭동을 일으키는 노동자 부대를 이끄는 적군 단원에 관한 알렉산더 블로크Alexander Blok의 시가 떠오르는군요. 혁명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정신이 반영되어 있는데, 루카치는 이 시를 읽고 나보다도 더 깊은 강동을 받았습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루카치는 키르케고르와 보스도옙스키에서, 나는 헤겔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습니다. 키르케고르 그리고 러시아의 신비주의는 그리스도의 정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니까요. 어..

30 bloch 대화 2024.05.09

서로박: (2) 실러의 '간계와 사랑'

(앞에서 계속됩니다.) 친애하는 K, 레이디 밀포드가 도대체 어떠한 여자입니까? 그미는 독일 제후와 내연관계에 있었던 귀족 처녀였습니다. 말하자면 아버지는 자신의 권력과 부귀영달을 위해서 제후가 몰래 데리고 놀던 음탕한 여자를 아들과 결혼시키려고 주선했던 것입니다. 페르디난트는 아버지의 제안을 단호하게 거절합니다. 왜냐하면 그는 루이제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더 이상 아버지에게 복종하지 않고, 루이제와 함께 어디론가 도주하려고 합니다. 이로 인하여 주인공은 아버지와 커다란 갈등관계에 처하게 됩니다. 비극은 두 사람 사이의 깊은 대화 부족에서 파생됩니다. 말하자면 루이제의 침묵이 화를 부추기는 셈입니다. 작품 내에서 페르디난트는 혁명적 열정으로서 계층 차이를 허물어뜨리고, 자신의 사랑하는 감정을 행동..

40 근대독문헌 2024.05.08

서로박: (1) 실러의 '간계와 사랑'

오늘은 프리드리히 실러 (1759 - 1805)의 5막 극, 「간계와 사랑 Kabale und Liebe」을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이 작품은 1784년 4월 13일 프랑크푸르트 극장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실러는 1782년 9월 24일 자신의 친구이자 훗날 음악가로 이름을 떨치는 요한 안드레아스 슈트라이허 (Johann Andreas Steicher, 1761 - 1833)와 함께 카를 오이겐 공작이 다스리는 뷔르템베르크 공국을 탈출하였습니다. 바로 이 시기에 그는 「도둑떼들」,「제네바에서의 피에스코의 반란」 다음으로 세 번째의 극작품을 구상 중이었습니다. 이 사실은 실러가 1783년 1월 14일 만하임의 인민 극장의 단장인 달하임에게 보낸 편지에 적혀 있습니다. 프리드리히 실러는 그해..

40 근대독문헌 2024.05.08

블로흐: (3) 청춘 시대, 실험 예술, 실증주의 비판

(2에서 계속됩니다.) 페처: 루카치씨, 당신은 제 1차 세계대전의 시기부터 에른스트 블로흐와 개인적으로 친교를 맺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관한 사항을 말씀해주실 수 있을지요? 루카치: 세부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한편으로는 블로흐는 나에게는 놀라운 청춘을 떠올리게 하는 인물이니까요. 그를 알게 된 것은 나에게 정말로 커다란 체험이었습니다. 대부분 고리타분한 교수들이 철학을 연구해 왔는데, 갑자기 기발한 철학자가 부활한 것 같았으니까요. 블로흐는 고대의 철학자 그리고 고대 철학의 정신을 독일어로 설파했습니다. 그건 놀라운 경험이었지요. 오랫동안 우리는 친밀한 우정을 나누었습니다. 전쟁도 우리를 갈라놓지 못했어요. 두 사람 모두 세계대전을 혐오했으며, 정치적으로 좌-편향적인 태도를 견..

30 bloch 대화 2024.05.07

서로박: (5)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5. “가능한 구원의 실험실”로서의 세계. 프랑크푸르트학파는 1960년 초반에 벤야민의 역사적 진보에 대한 논평을 언급하면서, 블로흐가 진보적 낙관주의를 과도하게 맹신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렇지만 근본적으로 역사에 대한 벤야민과 블로흐의 견해가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는 것은 아닙니다. 벤야민은 1940년 무렵에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진보라는 개념은 파국의 이념 속에 토대를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역사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파국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다가오는 미래가 아니라, 그냥 우리 앞에 주어져 있을 뿐이다.” (Benjamin, GS. Bd. 1/2: 683). 아도르노는 벤야민의 발언을 염두에 두면서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어떠한 우..

25 문학 이론 2024.05.07

블로흐: (2) 청춘 시대, 실험 예술, 실증주의 비판

(앞에서 계속됩니다.) 페처: 말하자면 당신은 고전의 사변 철학에 근거한 철학관을 배운 다음에 독일의 대학에 발을 들인 셈이로군요. 입학을 위해서 누군가와 만났을 텐데요. 당신은 어떠한 계기로 뷔르츠부르크의 오스발트 퀴페와 같은 지도교수를 만나게 되었는지요? 블로흐: 앞에서 간략히 암시했듯이 처음에 뮌헨으로 향했습니다. 그곳에서 공부한다는 것은 많은 의미를 지녔지요. 원형과 같다고나 할까요? 만약 히틀러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나는 오늘날에도 동경했을 것입니다. 뮌헨은 과거의 많은 전통을 보존하고 있지요. 청년 양식 그리고 “11명의 사형집행인”이라는 놀라운 도시 아닙니까? 베데킨트의 연극이 공연되었으며, 프란츠 마르크와 칸딘스키의 미술 작품이 전시되기도 했지요. 1905년에 뮌헨으로 향했습니다. 뮌헨으로..

30 bloch 대화 2024.05.06

블로흐: (1) 청춘 시대, 실험 예술, 실증주의 비판

- 대화 참여자: 에른스트 블로흐, 죄르지 루카치, 이링 페처 (인터뷰가 진행되는 동인 방청석에는 신학자 요한 밥티스트 메츠Johann Baptist Metz 그리고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이 자리하고 있었다. 인터뷰는 1967년 9월 19일에 독일 헤센 TV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출전은 다음과 같다. Rainer Traub (hrsg.). Gespräche mit Ernst Bloch, Suhrkamp: Frankfurt a. M. 1980, S- 28 - 40.) ........................ 페처: 블로흐씨, 당신은 아주 이른 나이에 철학에 몰두했다고 들었습니다. 도시 루드비히스하펜 그리고 만하임의 분위기가 당신의 청춘 시대에 상당히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 같은데, ..

30 bloch 대화 2024.05.06

총선 유감, 혹은 스톡홀름 신드롬

"가족이라는 단어 속에는 폐쇄성이라는 진리의 쓴 맛이 도사리고 있다." (Karl Krauss)"가정, 단체, 사회가 개방되지 않으면, 집단 이기주의의 망령 속에 함몰될 수 있다." (Pierre  Bourdieu)"공동체 아비투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갈등을 제거하려면, 일단 폐쇄적 집단이라는 프레임을 파괴해야 한다." (Norbert Elias)  .................................. 1. 투표용지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 투표용지란 유시민의 발언에 의하면 종이로 만든 탄환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자신의 정치적 뜻을 위해 무력을 활용하였다. 바스티유 감옥의 폭파, 파벌 싸움과 암살 그리고 수많은 결투 등은 민주주의가 정착되지 않았던 시대에 비일비재하게 행해진 바 있다. 민..

2 나의 잡글 2024.05.05

서로박: (4)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앞에서 계속됩니다.) 4. 신학적 예술적 은유는 확고한 견해와는 다르다. 벤야민은 생전에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왜냐면 소논문은 어처구니없이 잘못 이해될 소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역사의 개념에 관하여」는 벤야민이 20세기 초 프로이센의 다양한 문예 사조 그리고 혼란스러운 시대정신을 철학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문헌입니다. 게다가 역사 철학 테제는 –소논문이라고 명명할 수 없을 정도로- 연구 대상을 명징하게 분석한 글이 아니라, 알레고리를 동원한 서술, 신비로운 비유 그리고 패러디 섞인 고뇌의 흔적 등을 보여줍니다. 누군가 벤야민의 글에서 시대와 장소를 초월한 보편적 이론의 논거를 도출하려는 작업은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어쩌면 잘못된 처사일지 모..

25 문학 이론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