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근대불문헌

서로박: (2) 메리메의 '카르멘'

필자 (匹子) 2025. 3. 9. 15:32

(앞에서 계속됩니다.)

 

5. 돈 호세의 사랑은 집착인가? 아니면 거절당할수록 더 강렬하게 불타는 게 남자의 연정인가?: 자고로 대부분 인간은 사랑의 열정을 이성적으로 제어합니다. 냉정한 고고학자인 화자는 돈 호세가 어째서 그렇게 강렬하게 카르멘에게 집착하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카르멘에 대한 돈 호세의 마음은 사랑이 아니라, 병적인 집착입니다. 어리석은 군인은 마법에 신들린 듯이 어떤 기이한 열정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언제나 카르멘 곁에서 서성거리고 있습니다. 돈 호세는 끝내 군인의 신분마저 포기합니다. 그는 카르멘이 속해 있는 집시들과 함께 산속에서 집단으로 살아갑니다. 몰래 물품을 국경 안으로 수입하는 일, 즉 밀수업에 가담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천박하고 바람기 많은 집시 여인으로 인하여 자신의 모든 삶을 포기한 돈 호세를 한편으로는 측은한 마음으로 동정합니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를 멸시하는 듯이 그를 바라봅니다. 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돈 호세의 사랑과 집착이 강해진다는 데 있었습니다. 그는 카르멘에게 오로지 자신만을 사랑해 달라고 애틋한 마음으로 호소합니다. 이를테면 돈 호세는 집시의 남자, 루카스와 만나지 말라고 카르멘에게 다구칩니다. 그렇지만 카르멘은 돈 호세의 이러한 요구에 무척 답답해합니다. 그것은 카르멘의 입장에서 고찰하면 사랑을 사적 소유하려는 강박적 의지 내지는 사랑을 차지하려는 병적인 집착에 불과합니다. 이때 카르멘은 다음과 같이 대꾸합니다. 내가 탐하는 것은 루카스도 그의 돈도 아니야. 내게 무언가를 금하지 마. 하지 말라고 하면 나는 더 금지된 장난을 계속할 테니까.” (Mérimée: 984).

 

6. 불행의 이유, 냉정한 나르시시즘: 카르멘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다가 결국 비극을 초래하는 여성의 전형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카르멘은 자신의 얼굴과 몸매에 자부심을 지니고 있습니다. 여성들은 대체로 거울을 바라보는 것을 즐깁니다. 이는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미를 접하고 스스로 만족하려는 나르시시즘 때문인지 모릅니다. 바로 이것이야말로 스스로 공주라고 착각하는 대부분 여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허영심 내지는 자기만족일지 모릅니다. 물론 남자들에게도 나르시시즘이 엿보이곤 합니다.

 

그런데 카르멘의 나르시시즘은 도를 넘어선 것입니다. 그미의 자기만족은 안타깝게도 한 남자의 사랑을 거부하도록 작용합니다. 다시 말해 수많은 남자의 구애와 사랑 고백이 의외로 그미를 기쁘게 만듭니다. 이러한 심리적 태도는 카르멘 콤플렉스라고 명명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가 자리하게 된 배경에는 집시라는 생활방식이 은연중에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미는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많은 사람 앞에서 가식적 면모든 민낯이든 간에 아름다운 여성성을 드러내야 합니다. 마치 인기 연예인이 특정 이성에게 마음을 빼앗기는 대신에, 모든 이성의 사랑을 끌어내기를 희구하듯이, 카르멘 역시 일단 수많은 사내로부터 찬사를 받고 싶은 것입니다. 그렇지만 카르멘은 자신의 삶에 철저할 정도로 결코 매몰찬 여성은 아닙니다. (Jens, M: 356).

 

그미는 오히려 빨리 모든 것을 포기하고 체념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 그미는 자신의 점괘를 보았는데, 그 점괘에 의하면 자신이 지극히 사랑하는 남자로 인하여 일찍 생을 마감한다고 했습니다. 어리석게도 카르멘은 이러한 운명을 철석같이 믿고 있습니다. 자신의 운명을 잘 알면서도 카르멘은 오로지 자신에게 순정을 바치려는 사내, 돈 호세를 멀리합니다. 카르멘은 마치 파파라치처럼 끈덕지게 자신의 뒤를 쫓는 순정남을 급기야는 증오하기 시작합니다.

 

7. (부설) 돈 호세가 이명 환자라면, 카르멘은 코골이 환자이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간 유형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명 환자와 코골이 환자가 그들입니다. 이명이란 주지하다시피 일종의 환청으로 인한 질병입니다. 이명 환자는 귀에서 들리는 여러 가지 소음 때문에 고통을 느끼는 사람들입니다. 이명이 발생하는 원인으로서 우리는 때로는 정신 질환을 들 수 있고, 때로는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 고지혈증, 매독, 면역결핍증 등을 언급하곤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인간의 신체적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달팽이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명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쨌든 분명한 것은 이명 환자가 어지럼증으로 혼자서 고통스러워하는 데 비해, 주위 사람들은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와는 정반대의 유형이 있습니다. 코골이 환자는 스스로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데, 함께 잠을 자는 사람이 상대방의 코 고는 소리에 거의 뜬눈으로 밤을 보내곤 합니다. 돈 호세는 비유적으로 말하면 이명 환자입니다. 자신은 불가능한 사랑으로 인하여 엄청난 고통에 시달리는데, 주위의 집시들은 이러한 고통을 조금도 이해해주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고고학자 역시 돈 호세의 사랑 고백을 들을 때, 이러한 반응을 보입니다. 그의 눈에는 카르멘은 많은 집시 여인들 가운데 한 사람일 뿐입니다. 어째서 돈 호세가 그토록 카르멘에게 집착하는지 도통 이해할 수 없습니다. 다른 한편 카르멘은 코골이 환자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행동이 돈 호세에게 얼마나 커다란 상처를 가하는지 전혀 모르고 있습니다. 얼핏 보기에 치마폭이 넓은 처녀이지만, 깊은 사랑의 감정으로 고뇌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자신의 행위가 다른 부부에게 어떠한 내면의 상처를 가하는지 별반 관심이 없습니다.

 

8. 사랑의 비극, 비극의 사랑: 돈 호세의 사랑이 더욱더 완고해지고 결연해질수록, 그미는 마치 투우장의 흥분한 소를 대하는 투우사처럼 사랑에 눈먼 사내를 경멸하고 미워합니다. 이러한 미움은 그의 마음에 분노를 끓어오르게 만듭니다. 카르멘은 돈 호세와 만나기 전에 이미 집시의 법에 따라 어떤 집시 사내와 혼인을 맺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집시 사내는 감옥에 갇혀 있다가 최근에 석방되었습니다. 카르멘은 일부러 돈 호세를 의식하면서 집시 사내와 신방을 차립니다. 이 사실을 접한 돈 호세는 순간적 노여움을 참지 못하고 집시 사내를 칼로 찔러 죽입니다.

 

다음날 카르멘에게 제발 부탁이니 함께 미국으로 떠나자고 애걸합니다. 카르멘은 이러한 간청을 일언지 하에 거절합니다. 카르멘은 피스카도르 루카스라는 사내를 사랑하는 척 행동함으로써 돈 호세에게 극도의 자극을 가합니다. 격분한 돈 호세는 더 이상 자신을 기만하는 행위를 저지르면 단칼에 죽이겠다고 호통칩니다. 카르멘은 돈 호세의 품으로 돌아가기를 끝내 거부합니다. 사실 그미가 피스카도르 루카스를 사랑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카르멘은 누구에게도 구속당하면서 살아가고 싶지 않을 뿐입니다. 카르멘은 자신의 점괘대로 돈 호세의 칼에 의해서 이른 나이에 유명을 달리합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