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현대불문헌

서로박: (1)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필자 (匹子) 2023. 8. 24. 10:14

"위대한 문명은 열도에서 시작되고, 인류의 문명은 종국적으로 열대로 되돌아갈 것이다." (Jose Vasconcelos)

 

...................

 

1. 로빈슨 크루소: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미셸 투르니에가 1967년에 발표한 첫 번째 소설입니다. 작가는 대니얼 디포Daniel Defoe의 『로빈슨크루소의 삶과 모험』 (1719)을 바탕으로 삼았습니다. 말하자면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은 로빈슨 모험 소설의 계열인 셈입니다. 로빈슨 크루소는 자신이 타고 가던 배가 난파되어 태평양의 외딴 섬에 고립되었습니다. 그 후에 그는 무려 28년 동안 그곳에서 살다가 고향으로 돌아오게 된 인물입니다.

 

로빈슨 크루소는 이슬람 학자이자 소설가인 이븐 토파일Ibn Tufail의 작품에서 많은 것을 차용했습니다. 작품 『생기 넘치는 자, 깨어남의 아들Hayy ibn Yaqzan』은 고해의 섬에서 자기 자신의 존재가치를 발견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븐 토파일의 소설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완전한 인식으로 향하는 과정은 그게 무엇이든 간에 다양하다는 것입니다. 로빈슨 크루소 역시 진리와 완전성에 대한 깨달음에 관한 방향성을 시사해주는 작품입니다.

 

2. 야생은 문명인에게 더 많은 중요한 가치를 전해줄 수 있다: 흔히 말하기를 투르니에의 소설 역시 로빈슨 크루소의 아류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작품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 디포 작품의 아류로 단정하기에는 많은 새로운 의미를 안고 있습니다. 투르니에는 작품을 통하여 진리의 문제, 고립의 문제 그리고 문명인의 개척 과정 등을 추적한 게 아니라, 오히려 역으로 서구 문명의 문제점을 교묘한 방식으로 타진하려고 합니다. 가형 “방드르디”는 디포의 작품에서는 금요일, 즉 “프라이데이”안데, 투르니에의 소설에서는 흑인으로 등장합니다.

 

16세기 신대륙 발견 이후로 서구 사람들은 열대 지역의 원주민의 삶을 야만적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아코스타, 헤겔을 비롯한 서구의 많은 지식인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지적으로 열등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원시인의 토속 신앙 역시 미개한 것이라고 속단하기에 이릅니다. 그러나 야생은 문명보다도 더 큰 의미론적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른바 발전되었다고 자부하는 서구인에게 더 중요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투르니에는 인간에게 제한되고 차단된 성(性)의 문제라든가 여기서 나타나는 자연의 신비적인 현상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3. 디포의 소설 『로빈슨 크루소』와의 유사성: 소설의 전반부에서 투르니에는 디포의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주인공 로뱅송은 버지니아 호에 승선했는데, 배는 폭풍우를 만나, 어느 무인도 근처에서 난파되고 맙니다 혼자 살아남았음을 감지한 그는 해안으로 돌아와서 처음에는 구조를 기다리기로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자 로뱅송은 망망대해를 바라보면서 구조대를 마냥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후에 로뱅송은 일단 배에서 여러 가지 생필품을 챙긴 다음에 자신의 거처를 마련합니다. 그 후에 자그마한 땅을 선택하여 곡식을 심으며, 가축을 키우면서 살아갑니다. 하루하루의 이야기는 일기장에 기록됩니다.

 

4. 로뱅송, 자신의 섬에서 법을 제정하다: 약 3년이 지난 다음에 로뱅송은 스페란차 섬의 헌장과 형법을 제정합니다, 비록 낯선 곳이지만 이곳 역시 하나의 질서가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게 로뱅송의 지론이었습니다. 여기서 주인공은 자신을 스페란차 섬의 총독이고, 신부(神父)이며, 동시에 군대를 책임지는 장군이라고 규정합니다. 낯선 곳의 주인은 바로 자신이라는 것을 다짐한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자기 자신이 이런 식으로 노력할수록 힘이 들고, 스스로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는 사실입니다.

 

어느 날 로뱅송은 기이한 사고에 빠지게 됩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섬 자체가 자신이 다스리고 관리해야 하는 영토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 거대한 섬의 부속물이며, 섬에 종속되어 있는 하나의 개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어쩌면 외로움이 그러한 착상을 떠올리게 했는지 모릅니다. 섬은 마치 “거대한 여성의 몸”과 같다는 느낌이 불현듯 떠오르는 게 아니겠습니까? 섬을 하나의 거대한 여성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스페란차의 모든 동물, 식물 그리고 광물들은 그야말로 신선한 존재로 눈에 띄기 시작합니다.

 

5. 로뱅송, 킬레 나무와 “성교”하다: 섬을 돌아다니다가 로뱅송은 “킬레 나무”를 발견합니다. 킬레 나무에는 두 개의 가지가 서로 엉켜 있었습니다. 그 사이에는 지의류에 둘러싸여 있는 하나의 부드러운 구멍이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로뱅송은 자신의 바지를 벗고 생식기를 꺼내, 그 구멍에 살그머니 삽입하기 시작합니다. 이 순간 주인공의 내적 감정을 투르니에는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어떤 행복한 혼수상태가 그의 전신을 굳어지게 했다.Tout son corps se figea dans un heureux coma” 바로 이 순간 로뱅송은 자신이야말로 사물의 원천을 깨닫도록 부름을 받은 최후의 인간임을 자각하게 됩니다.

 

말하자면 로뱅송으로 상징화되는 서구는 킬레 나무로 상징화되는 열대의 자연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 것입니다. 바로 이 순간 로뱅송은 열대 지역과의 기상천외한 “성교”를 통해서 새롭게 태어는 것 같았습니다. 이전에는 자연을 착취하던 비인간적인 총독이 킬레 나무와의 성적 교합을 통해서 자유로운 자연인으로 변모하게 됩니다. 스페란차의 섬의 공기는 아름다운 여인의 호흡 내지는 신음과 다를 바 없었습니다. 섬의 대지는 주인공에게서 문명의 옷을 벗겼으며, 로뱅송 역시 거대한 대지를 껴안게 됩니다.

 

6. 로뱅송의 딸로 태어난 맨드레이크 꽃: 로뱅송은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킬레 나무를 찾아가 성교합니다. 킬레 나무에 대한 주인공의 “몸정”은 서서히 "연정"으로 뒤바뀝니다. 약 일 년이 지났을 때 섬의 골짜기의 식물들 사이에서는 어떤 변화가 감지됩니다. 마치 남녀 사이의 성교를 통해서 새로운 생명이 잉태되듯이, 로뱅송과 킬레 나무는 놀랍게도 후사를 거느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섬의 계곡에서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이른바 “맨드레이크Mandragora officinarum”라는 꽃이 활짝 피어나는 게 아니겠습니까?

 

꽃잎의 끝이 뾰족한 아름다운 흰 꽃이 피어서 강렬한 향기를 풍겼고, 나무에는 갈색의 많은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리게 됩니다. 말하자면 맨드레이크는 남편인 주인공 로뱅송 그리고 아내인 킬레 나무 사이에서 태어난 예쁜 딸이었던 것입니다. 맨드레이크는 인간의 성향과 식물의 성향을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꽃은 열대의 자연사와 서구의 인류사가 문화적으로 결합해서 잉태한 찬란한 식물인 셈입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