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J, 작품 「변신」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우리는 카프카의 삶과 아버지의 폭력을 중시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입니다. 즉 아버지와 주인공의 상사 사이에는 채권자와 채무자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아버지는 과거에 주인공의 상사에게 빚을 지고 있으며, 자신의 빚을 아들에게 떠넘기며, 보이지 않는 폭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아들에게 사과를 던지는 아버지의 모습은 끔찍한 지배자의 모습과 동일합니다. 카프카는 자신의 다른 작품에서 부권적 권위를 은근히, 혹은 신랄하게 비난한 바 있습니다. 이는 카프카의 생애와의 관련 속에서 도출해낼 수 있는 전기적 해석 방법일 것입니다.
둘째로 작품은 자본주의의 냉혹함 속에서 파생되는 냉혹한 인간관계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관점 내지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파악되는 작품의 주제이기도 합니다.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돈을 벌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따뜻하고 정이 깊어야 하는 가족들마저도 실업자가 된 가족 구성원 한 사람을 경멸하고 그에게 온갖 모멸감을 쏟아 붓습니다.
진실로 말하건대 가족 구성원들은 벌레로 변신한 주인공을 외면하는 대신에 주인공의 모습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고 미안하게 생각해야 옳았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주인공을 착취하고 살아가는 자신의 생활 태도에 일말의 수치심을 느껴야 마땅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오히려 주인공을 증오하며, 그를 괴롭힙니다. 그 이유는 그들에게 경제적 버팀목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셋째로 작품은 주인공의 사회적 역할이 가족 내의 애정 관계에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가? 하는 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여동생은 처음에는 주인공에게 아양을 떨고 친근감을 표시하지만, 나중에는 아버지의 쌀쌀맞은 태도를 그대로 답습합니다. 그미는 오빠의 방에 들어와서 먹을 것을 가져다주면서 아양을 떱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동생은 -적어도 오빠의 방에서만큼은- 모든 권한을 차지하게 됩니다.
주인공에게 그미는 이전에는 낯선 제 3의 존재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미와 주인공 사이에 마치 사랑의 장애물처럼 서성거린 사람은 다름 아니라 부모였기 때문입니다. 마치 주인공이 무의식적으로 아버지를 연적 恋敵으로 느낌으로써, 어머니에 대한 깊은 애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못했듯이, 여동생 역시 어머니를 연적 恋敵으로 느낌으로써 오빠에 대한 마음속의 애정을 표면적으로 드러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더 이상 그레고르 잠자에 관여하지 않게 되자 (그들은 더 이상 그의 방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여동생은 적어도 방안에서만큼은 주인공에게서 사랑을 독차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써 주인공은 성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여동생에게 종속되고 맙니다.- 카프카 문학 연구가인 발터 조켈 Walter Sokel은 네 명의 등장인물 (부모 그리고 남매) 사이의 교묘한 심리적 관계에 관해서 상세하게 천착한 바 있습니다.
친애하는 J, 작품은 그 외에 어떠한 각도에서 해석될 수 있을까요? 나의 뇌리에는 여러 가지 상념이 떠오르지만, 글로 표현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진보에 대한 부정적인 세계관이 문제가 될까요? 글쎄요. 모든 사항들이 빠짐없이 언급되면, 당신은 더 이상의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찾지 않을 테고, 그렇게 되면 내가 당신의 창의적인 해석 시도를 방해할 테니까요. 잘 생각해 보시고, 이보다 더 좋은 해석의 가능성을 발견하기 바랍니다.
'43 20전독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로박: 로베르트 무질의 '세 여인' (2) (0) | 2022.01.07 |
---|---|
서로박: 로베르트 무질의 '세 여인' (1) (0) | 2022.01.07 |
서로박: 카프카의 변신 (1) (0) | 2021.12.29 |
서로박: 베르펠의 태어나지 않은 자들의 별 (3) (0) | 2021.10.10 |
서로박: 베르펠의 '태어나지 않은 자들의 별' (2)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