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26. 연방주의 자치 공동체, 혹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 팔라 섬 공동체는 상호 부조하는 자치 공동체의 정신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경제적 시스템은 근대 유럽의 계층적으로 구분되는 정치적 체계 내지 사유재산제도에 토대를 둔 서구 유럽의 경제적 질서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팔라 섬 공동체가 -비록 그 규모에 있어서는 차이를 드러내지만- 지배 구조가 없는 아나키즘의 농촌 공동체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의 농촌 공동체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Roszak: 424).
크로포트킨은 『상호 부조. 진화의 동인』(1902)에서 연방주의의 아나키즘에 근거하여 자체적으로 조직화된 코뮌의 가능성을 구상하였습니다. 실제로 팔라 섬에서는 중앙집권적인 정부 형태가 없으며, 독재적 권력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아가 팔라 섬에서는 소수의 엘리트들이 정치적 경제적 힘을 행사하는 경우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군대 역시 처음부터 없으므로, 총사령관의 명령 또한 존재할 리 만무합니다. 경제적으로도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 비해 네 배에서 다섯 배 이상의 재화를 착복하는 경우도 없습니다.
27. (요약) 서구 문명과는 반대되지는 않지만, 어떤 다른 사회 유토피아: 상기한 사항을 고려하면, 팔라 섬의 유토피아는 서구 문명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사회적 삶에 관한 설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기능상의 측면에서 어느 미지의 섬을 통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보여주려고 했던 과거의 장소 유토피아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팔라 섬의 새로운 삶은 계층적 유럽 사회에 대한 반대급부의 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처음부터 그것과는 구별됩니다. 팔라 섬은 외부인의 접근이 처음부터 거부되는 땅입니다. 이곳의 이방인은 함부로 체류 허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게다가 팔라 섬의 유토피아는 근대 유럽에서 나타난 모렐리 그리고 메르시에 등의 시간 유토피아가 아니라, 하나의 특이한 장소 유토피아에 해당합니다. 가령 이곳 사람들은 역사철학적 차원에서의 진보에 대해 전혀 기대감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팔라 섬의 유토피아는 서구 문명과는 전혀 다른, 아나키즘의 자치 공동체의 삶을 실천하며 살아갑니다. 요약하건대 헉슬리의 『섬』은 한편으로는 서양의 의학과 기술을 합친 자연과학을 중시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동양의 불교와 힌두교의 전통에 입각한 영혼의 수련을 중시합니다. 이로써 헉슬리는 동서양의 장점이 서로 접목된 이상 사회의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습니다.
28. 작품의 문제점: 작품 『섬』은 오로지 헉슬리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기술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한 가지 납득할 수 없는 사항을 접하게 됩니다. 즉 팔라 섬사람들은 불교와 힌두교의 믿음을 마약인 모크샤의 복용과 결부시키며, 순간의 행복을 만끽하며 살아갑니다. 물론 그들이 서양의 의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동양의 불교 등을 접목시켜서 어떤 상호 보완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은 충분히 납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작가가 사랑의 요가, 즉 마이투나를 실제 교육에 접목시키고 미성년자들에게 마약과 성행위를 행하게 하는 것은 너무 급진적이고 과도한 실험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헉슬리는 신경증과 변태성욕을 불러일으키는 서구의 관습을 비판하기 위해서 팔라 섬이라는 문학적 가상의 현실을 원용하였습니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미성년자들에게 제어되지 않는 사랑의 삶의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는 실제로 아시아의 생태 공동체에서 거의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입니다. 따라서 팔라 섬의 교육 방식은 미성년의 포르노그래피를 연상시키는 허황된 판타지로 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문헌
- 이상화 (1996): 디스토피아에서 다시 유토피아로. 올더스 헉슬리의 섬, 실린 곳: 이상화, 20세기 영국의 유토피아 소설 연구, 중앙대 출판부, 283 – 317쪽.
- 헉슬리, 올더스 (2008): 아일랜드, 송의석 역, 청년정신.
- Firchow, Peter (1972): Aldous Huxley: Satirist and Novelist Minneapolis.
- Huxley, Aldous (1998): Island, London.
- Kretschmer, Ulrike (1990): Der Mensch: Affe oder gottähnliches Wesen? Philosophisch- anthropologische Vorstellungen im Werk Aldous Huxleys Lit, Münster.
- Roszak, Theodore (1972): Where the Wasteland End. Politics and Transcendence in Postindustrial Society, Garden City/ New York.
'36 현대영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로박: 웰스의 두 편의 소설 (2) (0) | 2023.04.01 |
---|---|
서로박: 웰스의 두 편의 소설 (1) (0) | 2023.04.01 |
서로박: (4) 헉슬리의 유토피아, "섬" (0) | 2023.02.03 |
서로박: (3) 헉슬리의 유토피아, "섬" (0) | 2023.02.02 |
서로박: (2) 헉슬리의 유토피아, "섬"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