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a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서로박: 생태주의 유토피아 (1)

필자 (匹子) 2019. 5. 26. 15:25

 

 

1.

생태주의 유토피아는 20세기 이전에 이미 서서히 태동했습니다. 가령 19세기 중엽에 소로는 월든, 숲속에서의 삶이라는 작품을 통해서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하나가 된 삶을 찬양하였습니다. 당시는 생태학의 문제가 제기된 바 없었으므로, 사람들은 소로의 삶의 방식을 막연히 자연친화적인 소박한 무엇으로 받아들였을 뿐입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자 세상의 이슈는 급격하게 바뀌게 되었습니다. 68 학생 운동의 정치적 이슈는 사라지고 환경 평화의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말하자면 70년대 이후로 유럽 뿐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환경 평화의 문제가 고개를 들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자극한 것은 아무래도 1971년에 발표된 로마클럽 보고서 Club of Rome”일 것입니다. 1년 후에 국가 경제학에 있어서의 성장 수치는 독일에서 성장의 한계로 인지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성장과 진보를 추진하는 정책은 대부분의 경우 생태계의 파괴라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자연에 대한 관점은 더 이상 일방적으로 이해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하여 성장 대신에 상생과 평화의 관점이 바람직한 것으로 부각되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진보의 유토피아는 로마클럽 보고서를 통해서 종언을 고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성장에 대한 기대감은 이후의 시기에 독일에서도 현저하게 감소되었습니다. (Hermand 132f).

 

생태학의 유토피아의 성향은 건축과 도시계획이라는 인접 학문에서도 서서히 고개를 들기 시작했습니다. 1977년 프란치스카 볼레리Franziska Bollerey는 유토피아 그리고 건축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습니다. 20세기 후반부에 사람들은 도시계획에 대한 구상을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찾는 작업에 관하여 토론을 벌였습니다. 이때 비판적인 재정비 작업이라든가 책임 있는 의식적 계획 대신에 놀라운 표현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Bollerey: 168). 도시 계획에서 새로운 척도로 가미된 것은 다름 아니라 생태계 파괴를 사전에 차단시키는 문제였던 것입니다. 생태학적으로 지구가 훼손되고 파괴되어 가는데, 도시를 새롭게 계획하려는 사람들은 더 이상 진보에 관한 판타지를 추구할 게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이의 협동적 관계를 조성하는 게 시급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방안은 어쩌면 60년대 말 미국에서 태동했다고 말하는 게 더 나을 것입니다. 이를테면 우리는 라헬 카슨 Rachel Carson말없는 봄 Silent Spring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살충제의 활용은 카슨에 의하면 해충을 박멸하게 할 뿐 아니라, 생명체 자체를 말살시키도록 악영향을 끼치게 되리라는 것이었습니다.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 파괴는 폭넓게 퍼져나가서 사람들의 의식을 바꾸게 될 것이라고 카슨은 주장한 바 있습니다.

 

2.

70년대 후반 유럽에서 태동한 환경 평화 그리고 여성 운동과 같은 일련의 저항 운동은 이른바 포스트모던의 시대적 사조와는 엄연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를 주장한 학자는 요스트 헤르만트 Jost Hermand 그리고 울리히 린제 Ulrich Linse 등입니다. 포스트모던의 운동이 사상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더 이상 그럴 듯한 출구를 찾을 수 없는 서구 사회의 권태와 체념을 반영하고 있다면, 환경, 평화 그리고 여성 운동은 주어진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 대책을 강구하려는,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는 어떤 진취적 움직임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게다가 그것은 역사에서 처음으로 일회적으로 출현한 운동이 아니라, 유럽 정신사에서 미약하게 전해 내려온 수많은 구성요소들의 프로그램이자 과거에 존재했던 생활 방식을 새롭게 구체화시키고 정치화시킨 이론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이미 19세기 중엽에 헨리 소로는 월든이라는 작품을 통하여 진보적 낙관주의에 입각한 찬란한 미래주의에 제동을 건 바 있습니다. 이후 1914년에 윌리엄 모리스는 유토피아 뉴스 News from nowhere에서 항구적인 진보에 대한 사고를 떨치고, 자연과 인간 사이의 조화로움 삶을 찬양하였습니다. 모리스는 국가 사회주의에 입각한 산업 중심적 사회 구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의를 제기하였는데, 이 문제는 에드워드 벨러미의 성공적 소설 뒤를 돌아보면서 Looking backward에서 새롭게 언급되고 있으며, 정치가, 카를 립크네히트의 아버지인 빌헬름 리프크네히트 Wilhelm Liebknecht에 의해 1914년에 간행된 윌리엄 모리스의 유토피아 뉴스에 관한 논문집에서 세부적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사실 모리스의 작품은 생태주의 유토피아의 원조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의외로 많습니다.

 

생태주의 유토피아에서 가장 폭넓은 영향을 끼친 작품은 아무래도 1975년에 발표된 어니스트 칼렌바크의 에코토피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작품은 환경 문제 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활발하게 이어온 반전 운동, 다시 말해서 핵무기, 핵에너지 개발을 반대하는 운동 뿐 아니라, 여성의 문제까지 포괄하고 있습니다. 환경 평화 운동은 인구폭발과 물구나무 선 먹이 피라미드를 염두에 둘 때 성과 사랑 그리고 출산의 문제를 외면할 수 없습니다. 이는 닥마르 바르노 Dagmar Barnouw의 책에서도 암시되어 있습니다. 칼렌바크는 현대의 생태주의 유토피아의 많은 사항을 포괄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항은 제대로 수용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