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현대불문헌

서로박: 몰리에르의 '동 쥐앙 혹은 돌같은 손님'

필자 (匹子) 2021. 5. 5. 19:09

프랑스의 극작가, 장 밥티스트 몰리에르 (Jean-Baptiste P. Molière, 1622 - 1673)의 「동 쥐앙 혹은 돌 같은 손님 (Don Juan ou le festin de pierre)」은 5막으로 이루어진 산문 코메디로서 1665년 2월 15일 로얄 성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원래 이 작품은 스페인 극작가 티르소 데 몰리나 (Tirso de Molina)가 1630년에 발표한 극작품 「세비야의 조소자 (El burlador de Sevilla)」을 변형시킨 것이다. 티르소 몰리나는 바로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극작품으로 형상화했는데, 이에 의하면 주인공 “돈환”은 끈덕진 바람둥이로서 신에 의해서 마지막에는 끔찍한 벌을 받게 된다.

 

 

 

 

 

그후 이탈리아의 몇몇 극작가들 (치초니니, 길리베르티 등)은 소재를 도덕적 측면에서 다루지 않고, 우스꽝스러운 극적 측면을 강조하여 희극작품을 만들었다. 이 연극 작품은 프랑스에도 전해졌는데, 몰리에르는 이를 바탕으로 주인공을 거칠고 잔인한 인간형으로 형상화시켰다. 과연 몰리에르가 티르소 몰리나의 극작품 원본을 숙지하고 있었을까? 이는 확실치 않다. 그렇지만 몰리에르가 작품 속에서 원용한 몇 가지 장면들은 티르소 몰리나의 작품을 연상시키게 한다. 가령 주인과 하인의 인물 묘사, 배 사고를 통해 겪는 주인공의 고통, 주인공과 아버지 사이의 대화 장면, 지옥으로 향하는 이야기 등이 그 장면들이다. 몰리에르의 희극은 나중에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지오반니」의 대본 작가인 다 폰테 (Da Ponte)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동 쥐앙이 놀라운 정신과 이성을 지닌 여인, 엘비라와 순간적으로 마주치는 장면은 놀랍기 이를 데 없다.

 

그러면 몰리에르의 작품을 거론하기로 한다. 무신론자인 동 쥐앙은 아름다운 여인, 엘비라를 수도원에서 유혹한다. 그는 엘비라의 몸을 탐한 뒤, 몰인정하게 그미를 저버린다. 이에 반해 엘비라는 다음날 아침에야 비로소 동 쥐앙에 대해 애증 (愛憎)이라는 모순된 감정을 품는다. 떠나간 님의 침대에는 사랑의 온기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러나 엘비라로서는 떠나간 님을 증오할 수밖에 없다. 님은 자신을 차 버렸기 때문이다. 엘비라는 수도원을 떠나, 동 쥐앙을 찾아내 복수하기로 결심한다.

 

다른 한편 동 쥐앙은 다른 여인들을 유혹하려고 애쓴다. 동 쥐앙의 내면은 몹시 기이하다. 주인공에게 여성들은 바로 정복의 대상이다. 여성은 아직 정복되지 않았을 경우 주인공의 마음을 너무도 뜨겁게 달군다. 즉 정복되지 않은 여성들은 동 쥐앙에게 마치 높은 가지에 달린 복숭아처럼 군침 흘리게 만들지만, 정복당한 여성들은 마치 침 묻은 뒤웅박처럼 느껴질 뿐이다. 자고로 탕아들은 자신과 살을 섞은 여자에 대해 더 이상 애정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그들에게 사랑의 밀물은 너무나 달콤하고 격정적이지만, 사랑의 썰물은 환멸과 썰렁함을 남길 뿐이다. 

 

아직 정복되지 않은 님은 자신의 마음속에 애정의 감정과 육욕의 감정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성 충동이 성취된 다음에는 님에 대한 사랑의 감정은 신속하게 자취를 감춘다. 탕아들의 숙명적 비극으로 작용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감정이다. 보통 사람의 경우 성취된 성 충동이 어느 정도 환멸을 가져다주곤 한다. 그러나 탕아들의 경우 성적 만족은 동시에 상대방에 대한 너무나 커다란 실망감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보통 사람의 경우 성 충동과 사랑의 감정은 다시 하나로 결합되지만, 탕아들의 경우 자신의 성 충동을 충족시키게 한 여성으로부터 더 이상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다시 몰리에르의 작품으로 돌아가 보자. 몰리에르의 동 쥐앙은 이중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는 한편으로는 언제나 여자의 꽁무니를 따라다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정신과 용기를 겸비하고 있다. 가령 그는 제 3막 2장에서 강도에게 공격당하는 어느 고상한 남자를 구출하는가 하면, 거지에게 거대한 자선을 베풀기도 한다. 동 쥐앙의 아버지는 아들을 심하게 훈계한다. 이때 동 쥐앙은 자신의 난잡한 행동에 대해 후회하고, 종교에 귀의하는 척 한다. 그러나 주인공은 자신의 시종인 스가나렐에게 본심을 드러낸다. 즉 동 쥐앙은 교활한 사기꾼이라는 것이다.

 

주인공에게 유혹 당하는 여인들은 모든 계층 출신이다. 그렇지만 동 쥐앙은 무조건적으로 색을 밝히는 사악한 “여자 사냥꾼”은 아니다. 몰리에르의 동 쥐앙의 에로틱한 행동들은 자신의 열정을 드러내는 인간의 세밀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 동 쥐앙은 하인, 스가나렐에게 자신이 “악령, 이교도, 에피큐리언, 진정한 탕아”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이는 현실에 직접 드러나지는 않는다. 주인공은 실제로 우아하게 행동하고, 탁월한 언변을 구사하며, 대담한 용기를 여지없이 드러낸다. 마지막에 이르러 극작가는 주인공 동 쥐앙을 파멸한 인간으로 묘사한다. 즉 동 쥐앙은 아무런 방해 없이 자신의 욕망을 교묘하게 실천하기 위하여, 종교적 도덕적 규정에 굴복하는 척하는 것이다.

 

여기서 티르소 몰리나의 작품과의 차이점이 드러난다. 티르소의 경우 주인공은 기독교의 고매한 질서를 거역하는 죄인이라면, 몰리에르의 경우 종교 없는 방탕아로서 자신의 이득을 위하여 작전상 기독교적 질서에 순응하는 척하는 교활한 인간이다. 이는 작품 내의 모놀로그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동 쥐앙은 자기 자신에 관해 숙고하면서, 자신의 태도를 다음과 같이 해명하고 있다. 예컨대 알렉산더 대왕이 자신과 비교되고 있다.위대한 정복자의 탐욕을 지니고 있어. 그는 승리로 향해 끝없이 돌진했지.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갈망하는 바를 제한하거나 차단시킨 적은 없어. (...) 몸 속에서 세상을 온통 사랑하고 싶은 에너지를 느낀다니까. 마치 알렉산더 대왕처럼 오래 전부터 갈구했었지. 내가 사랑하는 여자들을 마음대로 정복할 수 있도록 세상이 끝없이 확장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인, 스가나렐은 주인공을 무책임하고 뻔뻔스러운 남자라고 비난한다. 이때 동 쥐앙은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오늘날 사기꾼의 직업은 우리에게 가장 큰 이득이 될 거야. 속임수라는 기술을 통해서 우리는 가장 최고로 대접받을 테니까. (...) 물론 우리가 사용하는 위선은 하나의 악덕임에 분명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의 입을 다물게 하고, 즐겁게 법망을 빠져 나오게 하니까 말이야. 몸 바친 뒤에 배신당한 여자들은 동 쥐앙이 천벌을 받으리라고 경고한다. 그렇지만 동 쥐앙은 미소를 머금으며, 다음과 같이 코웃음친다. “흥, 그렇다고 내가 후회할 것 같아? 천만의 말씀.” 이러한 말로써 몰리에르는 기독교의 도덕 자체를 하나의 철칙으로 내세우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로 몰리에르의 「동 쥐앙 혹은 돌 같은 손님 (Don Juan ou le festin de pierre)」은 커다란 물의를 일으켰다. 실제로 극작가는 이 작품을 통하여 기독교를 비판하려 한 게 아니라, 수사들의 비밀스러운 내면 내지 음모 등을 비아냥거리려고 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몰리에르의 이 작품은 왕의 동의하에 약간의 검열을 거쳐서 15번에 걸쳐 공연되었다. 그렇지만 작품은 몰리에르의 생전에 문헌으로 인쇄될 수는 없었다. 1677년 몰리에르의 부인은 토마스 코르네유에게 작품의 개작을 부탁하였다. 특히 몰리에르의 이 작품은 극적 형식성에 있어서 많은 비판을 감수해야 했다. 가령 의고전주의자들은 「동 쥐앙」이 장소, 시간, 행위를 일치시키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작품은 비극적인 것과 희극적인 것을 뒤섞고 있다는 이유로 신랄하게 비판당하게 된다. 그러나 나중에 낭만주의자들은 이 작품에 대해 호의를 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