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예프스키 18

서로박: (2)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

(앞에서 계속됩니다.) 6. 죽음과 죽임, 극단적 자기 파괴성 어느 날 표도르 베르초벤스키는 샤토프라는 이름의 대학생을 교묘한 방법으로 암살합니다. 나중에 그는 암살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토로합니다. 즉 샤토프가 자신을 당국에 밀고하겠다고 위협하며 엄포를 놓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발언은 다만 핑계에 불과했습니다. 사실인즉 그는 동지들에게 반정부주의의 운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 무지렁이 한 사람을 살해한 것이었습니다. 한 인간의 바보스러운 행동의 배후에는 이런 식의 교활한 간계가 숨어 있었습니다.  표도르 베르초벤스키는 자신의 이념을 열광적으로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타인의 목숨을 빼앗는 파괴적 이념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당시에는 시갈레프라는 독재자가 무지막지한 폭정을 휘두르고 있..

31 동구러문헌 2025.01.02

서로박: (1)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의 줄거리와 주제를 소개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 방대한 소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수고를 덜 수 있을 것입니다. .............   1. 사형 직전에 다시 살아간 생명: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1821 – 1881)의 삶은 참으로 파란만장한 것이었습니다. 1847년에 그는 27세의 문학청년이었는데, 일주일에 한 번씩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페트라예프스키의 금요일 모임에 참석하였습니다. 페트라예프스키는 도스토옙스키의 동년배였는데, 진보적 사고, 특히 아나키즘에 지대한 관심을 지닌 지식인이었습니다. 이 모임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벨린스키 등에 관한 글을 낭독하기도 합니다. 1년 후에 러시이 전역에도 1848년 유럽 혁명의 여파가 퍼지기 시작합니다. 러시아 왕국은..

31 동구러문헌 2025.01.02

서로박: (3)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앞에서 계속됩니다.) 10. 비극이 발생하다: 므이쉬킨 공작은 나스타시아에게 결혼을 신청합니다. 주인공에게 결혼이란 무소유의 행위나 다름이 없었습니다. 스위스에서 병든 마리를 도와주었듯이, 이번에는 (사랑하는 임의 행복을 위하여 임을 떠나려고 결심하는) 나스타시아를 아무런 조건 없이 돕고 싶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소설은 끔찍한 비극으로 끝을 맺습니다. 나스타시아는 주인공과 결혼하기 직전에 로고친에게 향합니다. 경제적 문제 등 이전의 모든 관계를 깨끗하게 매듭지어야만, 공작과 결혼할 수 있다고 확신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므이쉬킨 공작 역시 그미를 찾으려고 로고친의 집으로 달려갑니다. 로고친은 거칠고 단순한 사내였습니다. 그는 주인공이 보는 앞에서 자신을 배신했다는 이유로 나스타시아에게 향해 칼을 뽑아 듭니..

31 동구러문헌 2024.10.25

서로박: (2) 도스토옙스키의 '백치'

(앞에서 계속됩니다.) 6. 소설 속의 압권, 하나의 에피소드 (1) : 뒤이어 주인공은 우연히 나스타시아와 살롱에서 조우합니다. 살롱에는 상류층에 해당하는 많은 사람이 운집해 있었습니다. 이 와중에서 므이쉬킨 공작은 사람들에게 놀라운 에피소드 하나를 들려줍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므이쉬킨 공작이 스위스에서 체험했던 이야기입니다. 나스타시아를 비롯한 여러 사람이 그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있었습니다. 그곳에서는 마리라는 처녀가 살았는데, 어느 남자에게 농락당한 뒤에 버림받게 됩니다. 이웃 사람들은 사실을 잘 알지도 모르면서, 마리를 간통한 여자로 매도합니다. 마리의 머리카락을 마구잡이로 절단하고 끔찍한 고통을 가합니다. 마리는 사회적으로 버림받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른바 간통한 여자는 유럽 시민 사회에서 ..

31 동구러문헌 2024.10.25

서로박: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

"소설의 이론"은 루카치가 “거대 서사 (장편 소설)”의 형식에 관한 역사 철학적 시도이다. 이 작품은 1916년 "미학과 일반 예술학을 위한 잡지"에 간행되었다. 루카치의 이 문헌은 에세이와 비평의 시기 -헝가리어로 집필된 "영혼과 형식" 1910, 장르 미학적 출발점이 되는 (독일어로 집필된) "비극의 형이상학" 1911-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동시에 루카치의 상기한 문헌은 나중의 “거대 미학”을 정립하기 위한 중간 단계인 셈이다. 소설의 이론에서 루카치는 해석학적으로 다양하게 축적된 변형 과정을 도출해내고 있다. 이러한 변형 과정은 신낭만주의의 사고 구조 (슐레겔, 노발리스)로부터, 헤겔의 단계적 변증법, 키르케고르의 시기(時期)적 변증법, 솔거 (Solger)의 아이러니 구상 등을 거쳐..

25 문학 이론 2023.03.03

서로박: 헨리 밀러의 '결실 맺는 고행'

친애하는 J, 오늘은 『북회귀선』으로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헨리 밀러 (Henry Miller, 1891 - 1980)의 『결실 맺는 고행 (The Rosy Crucifixion)』이라는 소설 삼부작에 관해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작품은 『섹스 (Sexus)』 (1949), 『얽힘 (Plexus)』 (1953), 『연결 (Nexus)』 (1960)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밀러는 처음부터 삼부작을 구상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세 작품 속에 용해되고 있는 전체적 방식입니다. 작가는 자신이 보낸 칠 년의 삶을 아무런 조건 없이 서술하고 싶었는지 모릅니다. 밀러는 프랑스로 도피하기 전, 1923년에서 1930년까지의 미국에서의 체험이 소설 속에 그대로 스며있습니다. 첫 번째 작품 『섹스 (Sexu..

36 현대영문헌 2022.03.22

서로박: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2)

(앞에서 계속됩니다.) 주요 이야기는 형제들의 삶의 이야기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나드리프 (nadryv)”라는 비극적 갈등에 의해서 이어지는 것이다. “나드리프”는 “찢는다”라는 뜻을 지닌 러시아어의 동사 “나드리바트 (nadryvat)”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그것은 의도적으로 자신을 속이고, 스스로 자신을 파괴시키려는 행위를 가리킨다. 따라서 나드리프의 갈등은 고유한 개인에게 의도적으로 폭력을 가하고 운명을 짓밟으려는 잔악한 행위를 뜻한다. 이와 관련하여 알료샤는 어떤 황홀의 상태에서 가치가 전도된 세계에 관한 상을 바라본다. 드미트리는 어떤 불행한 아기에 관해 꿈을 꾸는데, 이는 자신의 열정이 동정심으로 치환되어 나타난 것이다. 언젠가 이반은 종교 재판관에 관한 전설을 집필한 적이 ..

31 동구러문헌 2022.03.06

서로박: 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1)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1821 - 1881)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은 1879/ 80년에 발표되었다. 마지막 해에 발표한 그의 작품, 「어느 작가의 일기」의 마지막에는 인류의 운명에 관한 깊은 성찰이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어떤 더 높은 이념 없이는 개별적 인간도 그리고 어떤 국가도 존재할 수 없다. 지구상에는 오로지 하나의 이념이 존재할 뿐이다. 그것은 인간 영혼이 결코 죽지 않는다는 이념이다. 왜냐하면 인간이 의지할 수 있는 나머지의 모든 숭고한 이념들은 바로 거기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 불멸의 이념은 삶 자체이며, 살아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발언 속에는 단순한 무신론의 사고를 넘어서서, 인간이 신앙 없이 얼마나 선하고 아름답게 살아갈 수 있는가? 하는 고뇌 어..

31 동구러문헌 2022.03.06

서로박: 에밀 졸라의 "모레 목사의 죄" (1)

(1) 작가들은 과연 정신이상인가?: 친애하는 Y, 동독 출신의 작가 귄터 쿠네르트 (Ĝünter Kunert)는 70세 생일을 맞이한 어느 인터뷰에서 “작가들은 심리적으로 왜곡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작가들로부터 많은 것을 기대하는 독자들을 실망시키기에 충분한 것입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작가와 지식인들에게 윤리와 도덕에 관한 내용 그리고 멋진 읽을거리에 대한 즐거움 등을 바라지 않는가요? 특히 지금까지 살다간 수많은 작가들의 삶을 고찰하면, 우리의 실망감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여기서 내가 지적하려는 것은 그들의 가난하고 외면당하는, 핍박당하는 불행이 아닙니다. 틀에 얽매이기를 거부하고, 강제적 성윤리에 예속되지 않으려는 태도는 자유를 갈구하는 예술가라면 누구..

33 현대불문헌 2021.12.23

서로박: 프로이트의 도스토예프스키 (2)

도스토예프스키에게는 양성의 소질이 주어져 있었다. 가혹했던 아버지에게 종속되지 않기 위해서는 격렬하게 자신을 보호해야 했다. 그가 지녔던 죽음의 증후는 자아에게는 자학적 충족이고, 초자아에게는 처벌을 위한 충족 즉 가학적 충족이다. 다시 말해 전자는 “너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죽는 중”이고, 후자는 “아버지가 너를 죽이고 있는 중”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신경증 역시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욕망과 관계된다. 발작은 응징으로서 아버지의 죽음처럼 끔찍하고 두려운 것이다. (...) 그러나 한 가지 사항은 특이하다. 발작의 전 단계에서 승리감 내지 쾌감을 느낀다. 이렇듯 발작은 그에게 응징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아버지를 대신하는 존재가 자신에게 형벌을 가하도록 방임해 버렸다. 그는 아버지를 죽이..

5 사회심리론 202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