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00

서로박: (4)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2. 서문. 캄파넬라에서 디드로까지 (르네상스 시기 - 프랑스 혁명 전후)

(앞에서 계속됩니다.) 4. 캄파넬라의 『태양의 나라』(1623): 완벽한 국가주의의 질서 유토피아, 『태양의 나라』에서 사람들은 하루 네 시간 일하며 생활합니다. 하루 일과는 점성술에 의해 빈틈없이 짜여 있습니다. 사유재산은 용납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고문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론 전체주의의 의혹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사람들은 인간의 세 가지 악덕인 나태, 자만, 이기심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특히 놀라운 것은 노예제도, 가족 제도가 철폐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대신에 사형제도도 존속되고 있는데, 형이 집행되는 경우는 거의 드뭅니다. 5. 프랜시스 베이컨의 기술 유토피아 (1627): 베이컨의 작품 『노붐 오르가논』그리고 『새로운 아틀란티스』는 국가주의 시스템에다 과학 기술의 특성을 강..

서로박: 슈니츨러의 '사랑의 유희'

아르투르 슈니츨러 (A. Schnitzler, 1862 - 1931)의 극작품 「사랑의 유희 (Liebelei)」은 3막 희극으로서 1895년 10월 9일에 부르크 극장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극작가는 바로 이 작품을 통하여 처음으로 무대 위의 성공을 거두었다고 한다. 흔히 슈니츨러는 “영혼의 해부학자, 도덕의 서술자, 사회 비판가 그리고 광신적인 진리 신봉자”로 알려져 있다. 「사랑의 장난」을 통하여 그는 빈 (Wien)의 정감 넘치는 민속극의 분위기를 사회 심리극으로 전환시킨다. 극의 저변에 도사린 풍자적 요소는 극중 진행 과정에 드러나는 모호한 비극을 은밀하게 암시해주고 있다. 테오도어 그리고 프리츠는 빈 대학의 학생들이다. 두 남자는 멋진 외모를 지닌 부유한 가정의 출신이다. 두 사람은 여자 친..

42 19후독문헌 2025.01.09

서로박: (3)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2. 서문. 캄파넬라에서 디드로까지 (르네상스 시기 - 프랑스 혁명 전후)

“여러 유형의 유토피아는 대개 시기상조의 진리이다.” (Lamartine)“역사는 감금된 예언이다.” (Carlyle) 시기상조의 진리 - 힘든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애타는 갈망 속에는 마치 수정 (水晶)처럼 결정되어 있는 무엇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그것은 지금 여기에 결핍된 무엇입니다. “지금 그리고 여기hic et nunc”에 결핍된 무엇을 갈구하는 인간은 언젠가는 그것이 충족되기를 갈망합니다. 주어진 삶이 쓰라린 고통을 안겨준다면, 유토피아는 어쩌면 -시인, 페터 후헬Peter Huchel의 표현을 빌면- “얼어붙은 강이 갈대의 목을 통해서” 숨을 쉬는 생명의 연장과 같습니다. (Peter Huchel: Werke Bd. 1, Frankfurt a. M. 1984, 154).  그렇기에 시기상조의 ..

서로박: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를 소재로 하여 집필된 고대 작품은 아이스킬로스의 것밖에 없다. 대부분 작가들은 프로메테우스의 소재를 중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Ρρομήθευς δεσμότης)”의 집필 연도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제우스와 그의 자매들은 아버지 크로노스 그리고 타이탄들과 오랫동안 싸우고 있었다. 그들은 우라노스와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신들과도 계속 투쟁해야 했다. 이때 젊은 타이탄 가운데 하나인 프로메테우스는 처음에는 타이탄들을 편들다가, 나중에 자신의 입장을 바꾼다. 말하자면 프로메테우스는 미리 파악하여 제우스의 승리를 예언하였던 것이다. 특히 그는 영리한 충고로 제우스의 환심을 산다. 문제는 경쟁자들을 재정리할 때 발생한다. 제우스는 인간들을 모조리 파멸시키..

37 고대 문헌 2025.01.08

(단상. 537) 이순신 그리고 석 변호사

1970년대 말 젊은 나이에 고등학교 교사가 되었다. 당시 고등학생들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입시의 노예가 되어 있었다. 주야장천 국어, 영어, 수학만 공부해야 했다. 독일어 선생이었던 나는 고3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었다. 그래서 자습 시간 감독을 자청하곤 했다. 공부에 싫증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서 틈틈이 『난중일기』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이순신의 이야기는 어쩌면 박정희 독재에 대한 저항 의식을 부추길 수 있을 것 같았다. “흔히 이순신 장군의 승리 비결은 거북선의 계발, 지형지물을 이용한 탁월한 용병술이라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풍전등화의 강토를 반드시 수호하리라는 당신의 마음가짐이었지요. 이러한 마음가짐이 있었으므로 장군은 당시의 크고 작은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았습니다...

3 내 단상 2025.01.06

서로박: (2) 서양 유토피아의 흐름 1. 플라톤에서 모어까지 (고대 - 르네상스 초기) 서문

7. 스토아사상과 세계국가 유토피아: 스토아 사상은 귀족 학자들에 의해서 진척된 것으로서 공유제, 노예제, 전통적 가족제도 등의 개혁을 직접적으로 꿈꾸지는 않았습니다. 대신에 스토아 사상은 개인의 내면적 자세에 관해 많은 가르침을 남겼습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가능한 세계 국가에 관한 그들의 기대감입니다. 초기 스토아 사상가들의 경우와는 달리 파나이티오스와 같은 중기 스토아학자들은 기원후의 시점부터 특히 거대 로마제국에 합당한 찬란한 세계국가의 가능성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소규모 도시 국가의 차원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8. 이암불로스의 『태양 섬』과 헬레니즘 유토피아: 이 장은 고대의 문헌, 에우헤메로스의 『성스러운 비문』과 이암불로스의 『태양 섬』을 다루고 있습니다. 에우헤메로스는 축복의..

(단상. 536) 멧돼지 포획을 방해하는 노인들

"갈등 (葛藤)은 이로움과 의로움 사이의 연리목( 連理木 )이다." (匹子)"장자는 우연히 밤나무 숲에서 까치가 사마귀 한 마리를 노려보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순간 사마귀는 매미 한 마리를 노리고 있었다. 말하자면 그 곤충은 자신의 일에 혈안이 되어 스스로 어떠한 위험에 처해 있는지 알지 못했던 것이다. 장자는 생각에 잠겼다. 자신의 일방적 관심사에 침잠한다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이때 외침 소리가 들렸다. “저 도둑놈 잡아라.” 장자는 밤을 훔치려는 도둑으로 몰려 곤욕을 치러야 했다. 그 후 이 일로 삼개월간 두문불출하였다." (莊子)"군자는 의로움을 추구하고, 소인은 이로움을 추구한다." (孔子) ....................  1. 팩트를 무시하고 견해만 내세운다. 우리는 크고 ..

3 내 단상 2025.01.06

(명저 소개) 김무규의 영상 미디어의 이해

오랫동안 영화 이론을 연구해온 부경대 김무규 교수님의 책영상 미디어의 이해가 한울아카데미 출판사에서 간행되었습니다.  기술적 원리에 중점을 두고 미학적 관점에서 영상 미디어를 분석한 책저자는 이 책을 집필하면서 다음 두 가지 사항을 가장 크게 염두에 두었다고 밝힌다. 첫째, 영상을 창출하는 기술적 원리이다. 한 예로, 영화가 서사를 내용으로 취하고 텔레비전이 프로그램을 내용으로 취하게 된 것은 두 영상 미디어의 기술적 원리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같은 맥락에서 디지털 영상은 디지털의 원리로 인해 주로 상호작용적 콘텐츠를 내용으로 취한다. 이처럼 기술적 관점을 중요시하는 견해를 기술결정론 또는 미디어 결정론이라고 한다.둘째, 영상 미디어를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즉, 영상 미디어가 생산하는 내용물..

1 알림 (명저) 2025.01.05

서로박: 블로흐와 아도르노

아도르노는 호르크하이머가 부분적으로 용인했던 유토피아의 이데올로기 비판이라는 기능마저 부인한다. 아직 존재하지 않은 미래를 선취하는 태도는 아도르노에 의하면 주어진 현실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전체로 매도하는 자세와 다를 바 없다. 어떤 다른 현실은 미래의 선취하는 의식에서 파생되는 게 아니라, 과거에 이미 주어졌던 현실에서 자연스럽게 재현되는 것이라고 한다. 현실의 모순은 그 과정에 있어서 언제나 계획이나 진단에 의해서 전개될 뿐, 일반 사람들이 갈구하는 바는 결코 현실로 나타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현실의 모순은 변증법적으로 발전되거나, 사회적 진보를 추동하는 게 아니라, 영원히 모순 상태로 남아 있을 뿐이다. (Hermand: 109). 그것은 어떠한 일이 있더라도 주어진 현실에서 해결되거나, 극복될 ..

27 Bloch 저술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