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근대불문헌

서로박: 비용의 '큰 유언 작은 유언'

필자 (匹子) 2019. 8. 11. 10:09

프랑스와 비용 (Fr. Villon, 1431? - 1463?)의 풍자 문학 "큰 유언 그리고 작은 유언. 은어와 발라드를 첨부하여 (Le grant Testament Villon et le petit. Son codicille; et iargon et ses balades)"1489년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지금까지 네 권의 필사본이 남아 있다.

 

 

 

비용이라는 이름은 1449년부터 1463년 동안의 문헌에서 열 번 등장한다. 기록에 의하면 프랑스와 몽코르비예는 1449년 파리 예술 대학에 입학하여, 1452년 예술의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455년 칼부림으로 세르모예 신부를 살해했다. 오늘날에는 프랑스와 드 몽코르비예의 두통의 사면 청원서가 남아 있다. 1456년 이후로는 오로지 프랑스와 비용이라는 이름이 사용된다. 그는 1456년 성탄절 귀 타바리와 함께 나바르 대학에 침입하여 강도 행각을 벌린 코귀야르 도둑떼의 당원이었다. 이로써 비용은 다시금 146211월 초에 샤뜨르에서 체포되고, 소르본느 신학 대학의 중재로 117일에 풀려난다. 같은 달에 몇몇 동료들과 패싸움이 발생했는데, 이때 교황의 서기가 부상당한다. 비용은 교수형에 처해지나, 이는 다시금 10년간의 파리 추방령으로 감면된다. 

 

비용의 낭만적인 문체는 보헤미언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데, 나중에 베를렌느, 랭보와 같은 시인들, 파울 체히, H. C. 아르트만 등과 같은 번역자, 클라우스 킨스키, 에른스트 스탄코브스키와 같은 배우들이 그를 추종한 바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다음의 사실에 기인한다. 즉 비용 연구가들은 시인의 부분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삶을 작품에서 끌어내었다는 사실 말이다. 예컨대 피에르 기로 (P. Guiraud) 같은 다음과 같은 설득력 있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비용 배후에는 이른바 바소시엥이라는 법정 서기 단체의 회원이 숨어 있는데, 그자가 프랑스와 비용의 삶을 빌어, 법정이라는 체제와 제도를 마음대로 비판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감추어진 언어로써 사회적 비리를 정확히 지적하려고 했다고 한다.

 

도합 2343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두 권의 유언에는 비용의 거의 모든 시가 수록되어 있다. “작은 유언1456년에 씌어졌고, 5년 뒤에 큰 유언이 탈고되었다. 시적 화자는 자신의 주위에 널려 있는 선악의 대상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특히 파리의 술집이 풍자적 위트로써 묘사된다. 이로써 독자는 술꾼들의 술버릇, 매수 가능성, 인색함 등을 유추할 수 있다. 시인은 중세 파리의 사회적 긴장 관계와 계층 사이의 위화감 등을 아주 면밀하게 묘사한다. 시적 화자는 죽기 직전에 남기는 유언 속의 마지막 의지를 유감없이 동원하고 있는데, 그의 법률적 용어들은 유머러스하기까지 하다. “작은 유언에서는 -큰 유언에서와는 달리- 비교적 유연한 음성이 동원되고 있다. 그리하여 비용은 다양한 관점에서 어떤 일원적인 형태의 시를 완성시킨다. 예컨대 시적 자아는 스콜라 학을 은근히 비아냥거리기 위하여, (기도 대신에) 졸다가 깨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큰 유언은 186개의 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속에 16개의 발라드와 세 개의 론도체 (후렴 딸린 짧은 정형시)가 섞여 있다. 내용적으로 고찰할 때 큰 유언 속에는 약간 복잡하고도 모순적인 시인의 태도가 담겨 있다. 일단 큰 유언을 다섯 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1. 단락 (1 - 88): 시적 화자는 성격상 자신을 바보는 아니지만, 현명한 자도 아닌 사람으로 규정한다. 그는 자신을 가둔 오를레앙 주교를 심하게 비난하며, 왕의 사면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2. 단락 (89 - 328): 익살스러운 어조는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우리는 이 단락이 가장 나중에 집필되어 이전에 씌어진 텍스트에 삽입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늙은 사람의 시각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의 삶을 돌이켜 본다. 여기서 그는 아무렇게나 보낸 젊은 시절을 슬픔과 후회의 어조로 묘사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운명에 대해 한탄을 터뜨린다. 알렉산더 대왕의 감옥에 갇힌 해적 디오메데스는 그래도 몇 번의 행복을 맞이하지만, 자신은 한 번도 행운과 마주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옛 동료들은 이제 모두 부자가 되어, 자신을 거들떠보지 않고 있다.

 

3. 단락 (329 - 568): 죽음, 삶의 일회성, 여성의 (짧은 순간적) 아름다움 등이 발라드 형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비용은 여기서 전통적 발라드 형식을 취하고 있다. (8, 8, 8, 4) 발라드 외의 운문들은 이미 사전에 씌어진 것들로서, 내용과 내용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죽음의 윤무와 늙은 창녀의 한탄 등은 세 번째 단락의 압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

 

 

Bildergebnis für françois villon

 

 

4. (569 - 712): 네 번째 단락에서 시인은 인간의 기쁨과 슬픔, 여자의 변화무쌍한 본성 등을 다루고 있다. 여기서 궁정 문학 및 신 플라톤 문학의 오래된 전통이 아이러니하게 원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시적 자아는 모든 사건으로부터 거리감을 유지한다. 특히 자신의 개인적 체험 내지는 나쁜 연애 경험 등이 사건 묘사 속에 뒤섞여 있다.

 

5. (713 - ): 여기서 비로소 유언의 형식이 그대로 동원되고 있다. 시적 자아는 자신의 후원자에게 미발표 소설 원고를 남긴다. 그 동안에 그의 어머니는 발라드 형식으로 이루어진 성모 마리아에 대한 기도를 듣는다. 이어서 그는 자신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은 여성들에게 쓰라린 마음을 전한다. 술꾼 요한 코타르를 위한 노래에 이어 그는 비방을 일삼는 사악한 인간들의 혓바닥을 모아 모든 더러운 것을 뒤섞어 불에 굽게 한다. 시적 자아는 재잘거리는 파리 여인들, 자신의 장례식 절차, 비석의 글, 유언 집행인 등을 하나씩 거론한다.

 

비용의 작품은 프랑스 고전주의 시대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1783년 파리에서 그의 글이 발견되자, 작가의 작품은 세인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테오도어 드 벵비유, 랭보, 최근에는 브레히트 등이 비용의 작품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