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최신독문헌

토마스 브라쉬의 극작품들 (6) 메르체데스

필자 (匹子) 2020. 9. 29. 11:35

이 작품은 1985년에 완성된 영화인데, 브라쉬는 「메르체데스」를 두 명의 광대극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각 장면은 독립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장면들 사이의 연결고리는 파괴되어 있지요. 두 명의 등장인물은 -리타와 리자와 마찬가지로- 환상 속에 주어진 삶을 창안해 냅니다. 그들의 환상 속에는 사회와는 반대되는 상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공격성, 에로티시즘, 마약 그리고 매춘 등에 관한 상이지요.

 

메르체데스는 개인적 성공을 상징하는 원형입니다. 모든 개인들에게 메르체데스는 자동차 산업으로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인간의 회사로 각인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회사의 대량 해고라는 끔찍한 폭풍을 피하지 못합니다. 작품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밥줄을 잃으면, 목숨을 잃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시사해주고 있습니다.

 

 

오이 역할을 맡은 여배우 아니카 데쉬 (Annika Desch) 

 

 

무대에 등장하는 자는 “오이 Oi”라는 이름의 처녀와 “사코 Sakko”라는 이름의 청년입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베를린 사투리입니다. 작품이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 까닭은 그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두 사람은 단순 노동자들입니다. 그들은 최소한 성과급이 지불되는 한 얼마든지 밤늦게까지 일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사코는 메르체데스의 소유자가 아니라, 새 차를 뽑은 부유한 고객에 차를 공급하는 운전수입니다. 어느 날 회사가 파산을 선고하자, 사코는 순간적으로 실업자로 전락하고 맙니다. 일자리를 상실한 그는 고속도로 가에 서성거리면서 자동차의 수를 세면서 허송합니다. 그러다가 그는 우연히 오이를 만납니다. 두 사람은 상대방에 대해 연민을 느낍니다.

 

사코에게는 노동이 전부입니다. 그는 자주 다음과 같이 중얼거립니다. “인간은 노동을 필요로 해, 그렇지 않으면 인간은 무와 다를 바 없어.” 주어진 질서의 세계를 동경하는 사코는 언젠가는 다시 이전의 회사로 되돌아가리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오이 역시 실업자입니다. 그미가 자신의 일자리를 잃게 되자, 절도 행각을 일삼습니다. 오이는 자동차 공장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더 이상 찬미하지 않습니다. 비록 실업자로 전락했으나, 오이는 더 이상 자동차 회사의 취업을 원하지 않지요.

 

막간극에서 오이와 사코는 메르체데스 회사의 사장을 붙잡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환상으로서 작품 속에 가상적 상으로 투영되고 있습니다. 사장은 전쟁 당시에 여러 국가에 잠수함을 판매하여 벼락부자가 된 장본인입니다. 주인공들은 무기 판매로 돈을 번 사장을 돛대에 묶고 징벌을 가합니다. 나중에 사코는 오이가 비웃는데도 불구하고 군에 입대합니다.

 

오이와 사코는 게오르크 뷔히너 Georg Büchner의 극작품 「레옹세와 레나 Leonce und Lena」의 등장인물과 다를 바 없습니다. 포포 왕국의 왕자와 피피 왕국의 공주는 제각기 세상 끝까지 도주합니다. 처음부터 정략적으로 맺어진 결혼식을 올리지 않으려고 말입니다. 그러다가 그들은 우연히 오지에서 서로 만나 사랑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오이와 사코는 고도로 발전된 자본주의라는 톱니바퀴에서 퇴출당한 작은 바퀴입니다.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구속 없는 삶을 동경하면서 발버둥치지만, 거대한 메가 시스템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합니다.

 

작은 바퀴는 자신과 일치되는 다른 바퀴 없이는 어떠한 역할도 다할 수 없는 법이지요. 이로써 극작가는 다음의 사항을 지적하려고 했습니다. 거대한 자본주의의 시스템으로 벗어나려는 개인적 노력은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불가항력으로 작용할 뿐이라고 말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브라쉬의 뷔히너 유형의 숙명론적 세계관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