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용 5

박설호: (5) 루카치와 블로흐. 사상과 예술론의 차이점

20. 자연 주체에 관한 블로흐의 시각: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루카치가 인간, 사회 그리고 역사 발전을 중시하여, 오로지 정치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의 미학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블로흐는 유토피아의 사고 속에 인간 주체와 자연 주체를 설정하고, 자연의 인간화 그리고 인간의 자연화라는 서로 교차된 관점에서 사고해나갔습니다. 그런데 블로흐의 경우 마르크스의 유물론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물질 이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자유의 나라”(Marx)에 관한 단초 역시 인간과 자연 속에 내재한 경향성과 잠재성이라는 사상적 촉수 속에 처음부터 발현되어 있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까닭에 루카치의 사상이 20세기 초의 정치적 유토피아의 종말과 함께 현대성을 상실해 나간 반면, 블로흐의 자연 주체는 21..

27 Bloch 저술 2024.10.03

박설호: (2) 블로흐와 루카치. 사상과 예술론의 차이점

(앞엑서 계속됩니다.) 6. 루카치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나중에 소련 공산당은 루카치의 상기한 이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시민 사회의 제반 예술 작품들이 리얼리즘에 위배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가령 알렉산더 즈다노프는 이른바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강조하였습니다. (Mittenzwei: 22). 이것은 차제에 마치 채플린의 영화에 묘사된 바 있는 “가방의 비유”처럼 잘못 활용되었고, 이로써 시민 사회의 예술 속에 부분적으로 은폐된 공산주의의 예술적 유산들은 거의 사장되고 말았습니다. 소련의 예술적 판관들은 즈다노프의 용어에 집착하면서, 시민 사회의 예술 작품들을 통째로 비난했습니다. 시민 사회의 예술은 비유컨대 몰락하는 부패한 계급의 늪지에 핀 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오펜바흐, 조이스, 카프카, 프루스트..

27 Bloch 저술 2024.10.01

서로박: (4) 보위에의 "칼로카인"

(앞에서 계속됩니다.) 23. 여성의 세계관: 보위에의 작품에는 페미니즘이 자향하는 바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가령 등장인물 린다의 경우가 그것입니다. 린다는 사회 정치적 문제보다는 인간의 근본적인 심리인 사랑의 감정에 더욱 충실한 인간형입니다. 레오 칼은 린다를 통해서 비로소 자신이 얼마나 국가 권력의 충직한 하수인이었는가? 하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린다는 인간과 인간을 서로 연결해주는 매개체가 국가 권력과 직업 세계의 공적인 관계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사랑과 우정과 같은 순수한 영혼의 교감이라는 점을 알려줍니다. (Ross 127). 이를 고려할 때 린다는 공적인 삶과 사적인 삶에서의 제반 갈등을 풀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긍정적 인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디스토피아의 소설에서는 ..

39 북구문헌 2023.04.12

서로박: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 (2)

(앞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저항의 미학” 제 2권은 1938년 초의 시점부터 시작됩니다. 주인공 “나”는 어느새 파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국제 적군단은 거의 해체 위기에 처해 있고, 프랑코는 승리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나”는 파리에 잠깐 머물면서 스웨덴 체류를 위한 비자를 기다립니다. 기다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주인공은 망명자 지원 단체에서 일하면서, 루브르 도서관에서 예술사의 책을 읽는 것으로 소일합니다. 마침내 주인공 “나”는 스톡홀름에 도착합니다. 그곳에서 청소부 그리고 화부 (火夫)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합니다. 간간이 주인공은 독일 공산당 연락책으로 일합니다. 당시에는 스톡홀름에서도 히틀러의 영향이 커져가서, 공산주의 운동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나”는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44 20후독문헌 202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