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07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4)

(앞에서 계속됩니다.) 42. 여덟 시간의 날, 평화로운 세계, 휴식과 여가 (원문 1039 쪽)(1) 굶주림의 채찍 (2) 부르주아의 요새로부터 (3) 선행을 통한 많은 유화책 (4) 시민들의 애국심과 평화 (5) 기술의 성숙; 국가 자본주의와 국가 사회주의; 10월 혁명 (6) 자유에 대한 현혹: 생업을 위한 단련 (7) 오래 전부터 남아온, 부패한, 그래도 희망이 담긴 여가 활용: 목마, 민중 축제, 원형 극장 (8) 여가의 주위 환경: 이상적인 “별장” (Buen Retiro) 그리고 전원적 요소 (9) 필수 불가결한, 그러나 반쯤 연구된 목표로서의 여가 제 5장: (동일성) 성취된 순간을 갈구하는 상: 윤리, 음악, 죽음에 관한 그림들, 종교, 동방의 나라 자연, 최상의 재화 43. 그 자체 순..

27 Bloch 저술 2024.07.31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3)

(앞에서 계속됩니다.) 37. 인간의 의지와 자연, 기술 유토피아 (원문 729 쪽) I. 마력이 지배하던 과거(1) 궁핍함으로 치닫다 (2) 불 (火)과 새로운 무장 (武裝) (3) 망상과 알라딘의 동화 (4) "뮈스토스 교수"와 그의 발명 (5) 안드레에의 "1459년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처의 화학의 결혼" (5) 다시 연금술에 관해서: 특수한 물질의 변화 (mutatio specierum) [무기질 유형의 변화]와 부란용 (孵卵用) 난로 (6) 바로크 시대의 불규칙적 발명 그리고 비례적 특성 (7) 베이컨의 “발명 기술 (Ars inveniendi)”, 룰루스 (Lullus)의 기술적 계승 (8) "새로운 아틀Nova Atlantis)", 유토피아의 실험실 II. 반 유클리드적 현재와 미래, 기술을..

27 Bloch 저술 2024.07.31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2)

(앞에서 계속됩니다.) 20. 요약: 미래지향적 특성과 그 극점: 어두운 순간 - 개방적인 적합성 (원문 334쪽)(1) 맥박과 생기 있는 어두움 (2) 가능한 전진을 위한 장소 (3) 상류와 하류: 절대적인 질문으로서의 놀라움 (4) 재론: 충만한 삶의 순간의 어두움; “오늘을 붙잡아라 (Carpe diem)” (5) 충만한 삶의 순간의 어두움, 속편: 앞에 놓여진 장소, 해로운 공간, 성취의 우울, 스스로의 중개 작업 (6) 불안과 행복의 형체 속의 절대적 질문으로서의 놀라움, 가장 유토피아적인 원형: 최상의 선 (善) (7) 근원 속의 “없음”, 역사 속의 “아직 없음”, 마지막의 “없는 것” 혹은 “모든 것” (8) 유토피아는 결코 지속적인 상태가 아니다. 그럼에도 진정한 것으로 그리고 진정한 현..

27 Bloch 저술 2024.07.31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1)

목 차 서 문 제 1장: (보고) 작은 낮꿈들 1. 우리는 빈손으로 시작한다. (원문 21쪽) 2. 더 많은 것들을 맛보려 한다. (원문 21쪽) 3. 매일 공상에 잠기며 (원문 21쪽) 4. 은폐와 아름다운 낯설음 (원문 22쪽)(1) 자신을 감추기 (2) 도중에 안주하기 5. 도피와 승리자의 귀환 (원문 24쪽)(1) 바다로 향하여 (2) 번쩍이는 면사포 6. 성숙된 시기의 갈망과 그 상 (像)들 (원문 30쪽)(1) 활기 없는 말 (馬)들 (2) 밤마다 장검을 갈면서 (3) 마지막 순간에 (4) 어떤 유희의 새로운 발명 (5) 친절을 베풀 기회 7. 나이든 뒤에 남아있는 갈망 (원문 37쪽)(1) 포도주와 돈주머니 (2) 다시 떠오르는 청춘, 소득에 대한 갈망 (3) 저녁과 식사 8. 전환의 표시 ..

27 Bloch 저술 2024.07.31

서로박: (6) 벤야민의 역사 철학 테제

6. 나오는 말씀 이미 언급했듯이, 벤야민은 예술 전반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정치적으로 그리고 예술적으로 하나의 확고한 입장을 정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그가 모든 예술적 사상적 조류에 관여하지만, 어떤 한 가지도 선택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과거에 프란체스코 수사들이 취했던 행동, “모든 것을 지니지만, 어떠한 무엇도 소유하지 않는다. Omne habentes, nihil possidentes"라는 거리감의 자세와 연결됩니다. 프란체스코 수사들은 이러한 말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발언을 수정하여, 신에 대한 겸허함을 표현하려 했습니다. (Van de Meer: 34). 애착의 대상에 가까이 다가가지만 끝내 그 대상과 결합하지 않으려는 특징은 에로스에 관한 플라톤의 사고에서도 나타납니다.  나아가 이..

25 문학 이론 2024.07.30

서로박: 프리쉬의 '안도라'

막스 프리쉬 (1911 - 1991)의 극작품 「안도라 Andorra」는 1946년 자신의 일기에서 맨 처음으로 산문 작품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작가는 다섯 번이나 수정한 뒤 1961년에 비로소 작품을 완성하였고, 1961년 11월 2일에 취리히에서 처음으로 상연되었습니다. 작품의 주제는 한마디로 (마치 미국의 작가, 밀라드 램플 (M. Lampell, 1919 -?)이 극작품 "장벽"에서 다룬 바 있는) 반유대주의에 관한 것입니다. 램플이 바르샤바 게토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냈던 유대인들의 비극적 운명을 제한적으로 기록한 반면에, 막스 프리쉬는 어떤 특정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동시대인들에게 유태인 문제를 직접적으로 전하려고 합니다. 사회적 편견의 문제는 어떤 정치적 상황에서 비롯하는 것입니다. “하얀” 안..

44 20후독문헌 2024.07.28

서로박: (11) 문학 치료. 강의 요약문

1. 문학과 정신분석 분석치료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토대로 한 치료법을 말한다. 정신분석 치료의 원리는 방어나 신경증을 원래의 상처에 되돌려줌으로써 고착이나 방어에서 해방될 수 있는 자아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이런 과정을 “초자아가 있는 곳에 자아가 있게 된다.”는 말로 요약하였다. 이 말은 당시 프로이트가 살았던 사회를 지배하였던 도덕과 규율 대신에 원초아의 감정 소산을 통해 자아에게 판단하고 제어할 힘을 부여하겠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리비도(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갖추고 있는 본능적 에너지) 또는 무의식에 의해 조종되는 자아가 리비도를 통제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되면 그것이 치료라는 뜻이다.  프로이트는 최면치료의 암시 대신 분석적 암시의 방법을 원용한다. 이 두 가지의 차이는 ..

5a 문학 치료 2024.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