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37. 인간의 의지와 자연, 기술 유토피아 (원문 729 쪽)
I. 마력이 지배하던 과거
(1) 궁핍함으로 치닫다 (2) 불 (火)과 새로운 무장 (武裝) (3) 망상과 알라딘의 동화 (4) "뮈스토스 교수"와 그의 발명 (5) 안드레에의 "1459년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처의 화학의 결혼" (5) 다시 연금술에 관해서: 특수한 물질의 변화 (mutatio specierum) [무기질 유형의 변화]와 부란용 (孵卵用) 난로 (6) 바로크 시대의 불규칙적 발명 그리고 비례적 특성 (7) 베이컨의 “발명 기술 (Ars inveniendi)”, 룰루스 (Lullus)의 기술적 계승 (8) "새로운 아틀Nova Atlantis)", 유토피아의 실험실
II. 반 유클리드적 현재와 미래, 기술을 연결시키는 문제
(1) 계획 역시 촉진되어야 한다 (2) 후기 시민 사회에서의 (군사 기술을 제외한) 기술의 억제 (3) 기계 조직의 파괴, 원자 에너지, 반 유클리드의 기술 (4) 주체, 원재료, 탈 조직화 법칙과 연결 문제 (5) 인간 주체 그리고 의지의 기술 등의 결합 (6) 어떤 가능한 자연 주체의 추가적 생산성, 혹은 기술과의 구체적 제휴 (7) 폭력 없는 기술, 경제적 위기와 과학 기술의 사고 (8) 발 묶인 거인, 은폐된 스핑크스, 기술적 자유
38. 어떤 더 나은 세계를 묘사한 건물들, 건축 유토피아 (원문 819 쪽)
I. 고대 건축술의 모습
(1) 창문을 통한 시선 (2) 폼페이 풍 (風)의 벽에 대한 꿈들 (3) 축제의 치장과 바로크 무대 건물 (4) 동화 속에 나타난 갈망의 건축물 (5) 회화 속에 담긴 갈망의 건축물 (6) 건축 장인 조합 혹은 완성할 때의 건축 유토피아 (7) 이집트 양식, 혹은 죽음의 수정 (水晶)이라는 유토피아, 고딕 양식, 혹은 생명의 나무라는 유토피아 (8) 고대 건축에 있어서의 주요 공간에 관한 여러 다른, 개별적인 범례들
II. 텅 빈 공간의 축조
(1) 새로운 집들과 실제의 명료성 (2) 도시 계획, 이상 도시 그리고 다시금 실질적 명료성: 충만한 수정의 침투
39. 엘 도라도의 에덴, 지리학적 유토피아 (원문 873 쪽)
(1) 첫 번째 불빛들 (2) 발명과 발견: 지리학적인 희망의 고유성 (3) 다시 동화: 황금의 금량피와 성배 (4) 페아켄 섬, 나쁜 대서양, 지상의 낙원의 위치 (5) 세인트 브렌단의 항해, 요한 신부 (神父) 왕의 나라, 미국과 아시아의 낙원 (6) 오리노코 삼각주에 도착한 콜럼버스, 지구의 반구 (7) 남쪽 나라와 세계의 끝에 관한 유토피아 (8) 다른 혹성에서의 더 나은 거주지: 여기에 로두스가 있도다 (hic Rhodus) (9) 코페르니쿠스의 만유인력, 바아더 (Baader)의 중심으로서의 지구 (10) 냉정히 파악한 지리학적인 연장선, 연구 작업으로 파악한 지구의 기초
40. 회화, 오페라 그리고 문학 작품에서 표현된 바람직한 세상 (원문 929 쪽)
(1) 움직이는 손 (2) 꽃과 양탄자 (3) 인간이 그린 정물화 (4) 비너스의 섬, 퀴테라로 향한 승선 (4) 반 아이크, 레오나르도, 렘브란트 등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전망과 거대한 수평선 (5) 정물화, 퀴테라 그리고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넓은 전망: 하인제, 장미의 소설, 장 파울 (6) 미학에서의 전망, 갈망의 풍경: 희망의 심층적 차원에 비례한 예술적 소재들의 등급 (7) 일요일에 머문 화가들: 세잔, 쇠라, 고갱; 지오토의 「성자 이야기의 나라」 (8) 문학 작품에 나타난 성자 이야기의 나라: 단테의 천국에 등장하는 천국의 장미꽃, 파우스트 극 속의 초월적 산맥 (9) 오페라와 오라토리움 속의 화려함과 이상향 (10) 실내 장식의 접촉 그리고 음악 정신 속의 무제한성: 클라이스트의 이상적 풍경; 시스틴의 성모
41. ‘영원의 관점 하의 (sub specie aeternitatis)’ 갈망의 풍경과 지혜 그리고 과정 (원문 982 쪽)
(1) 척도를 찾아서 (2) 근원적 소재 속의 “고유한 것” 그리고 법칙 (3) 칸트와 예지의 나라; 플라톤, 에로스 그리고 가치의 피라미드 (4) 브루노와 무한의 예술 작품; 스피노자의 수정과 같은 세계 (5)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목표의 역사; 라이프니츠 그리고 밝힘의 과정으로서의 세계 (6) 언제나 깨어있는 개념 혹은 과제로서의 “고유한 것” (7) 갈구하는 두 가지 명제: 가르칠만한 미덕, 정언적 명령 (8) 아낙시만드로스의 명제 혹은 자신과 동등하게 파악하는 세계 (9) 심층부속의 가벼움, 천체 혹은 신의 기쁨
(4로 이어집니다.)
'27 Bloch 저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5) (0) | 2024.07.31 |
---|---|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4) (0) | 2024.07.31 |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2) (0) | 2024.07.31 |
블로흐의 희망의 원리 목차 (1) (0) | 2024.07.31 |
박설호: (11) 블로흐 용어 해제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