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세부적 사항을 치밀하게 분석한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책의 제목은 저자인 최문규가 추구하는 연구 방향 그리고 근본적 성향을 분명하게 간파하게 합니다. “파편”은 특수한 부분, 미완성의 단장 등을 가리키는 단어인데, 전체, 객관 그리고 보편성과 반대되는 특징을 드러냅니다. 그것은 예술과 역사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부분품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역사의 불연속성과 관련되는 단어입니다.
“형세Konstellation”는 별자리의 박힌 형태 내지는 짜임 관계를 지칭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최문규의 벤야민 연구가 불변하는 상태 내지는 순간, 어떠한 변화를 용인하지 않는 파르메니데스의 불변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습니다. 만물은 변한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시간적 변화라든가, 변증법적 역동성은 『파편과 형세』에서 거의 무시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첫째로 저자는 벤야민이 역사 철학의 사고에서 변증법적 유물론을 부정적으로 고찰한다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벤야민이 랑케의 역사주의를 통렬하게 비난한다는 최문규의 주장한 분명한 사실입니다. 실제로 벤야민은 역사적 파국 앞에서 진보의 불연속성을 지적했습니다. 이 경우 역사의 불연속성과 파괴는 순간으로 선회하여 나타난 것입니다. (Burghart Schmidt: Benjamin zur Einführung, Hannover 1987, S. 9).
그러나 벤야민은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에 대해 전적으로 반기를 드는 것은 아니고, 진보를 위한 변화가 순간적으로 역사를 중단케 한다는 식으로 자신의 의혹을 표명했을 뿐입니다. “계급 없는 사회는 역사 속에서 진보의 궁극적 목적이 아니라, 종종 실패로 끝난 진보의 중단이다.” (Benjamin, GS1: 1231)
전환기의 시점에서는 역사적 발전이 일순간 단절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자유의 나라”는 단순히 “우주적 구원을 재정립한” 사회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에른스트 블로흐에 의하면 과거의 찬란한 사회적 상태를 순간적으로 투시한 사회상이 아니라, 변증법적 과정을 거쳐서 출현할 수 있는, 가능한 나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최문규는 어떤 더욱 훌륭한 사회적 삶을 만들려는 인간의 노력이 궁극적으로 히틀러와 스탈린의 전체주의적 폭력을 불러일으켰다고 확신하면서, 마르크스주의를 전체주의의 허상이라고 매도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카를 하인츠 보러Karl Heiz Bohrer가 로빈슨 크루소에게서 찾으려고 한 “손상된 유토피아”의 미학과 연결되고 있습니다. (Karl Heinz Bohrer: Der Lauf des Freitags. Die lädierte Utopie und der Dichter, München 1973, S. 86). 그런데 계급 없는 사회는 얼마든지 역동적으로 개방되고 변증법적 변화는 가능합니다. 요약하건대 벤야민은 역사적 유물론에 대해 회의감을 표명했으나, 이로부터 완전히 등을 돌렸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둘째로 최문규가 벤야민에게서 발견하려고 하는 것은 오로지 역사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심미성”입니다. 벤야민은 최문규에게는 “사물의 조각, 아포리즘 그리고 이미지적 사유”를 찾아내는 놀라운 “심미적 비평가”일 뿐입니다. (최문규: 5, 79). 이로써 그는 벤야민의 이론에다 변증법적 가치가 배제된 반동적 유미주의를 덧칠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최문규가 벤야민에게서 도출해내려는 것은 무엇보다도 “예술을 위한 예술l’art pour l’art”에서 발견되는 미적 요소이고, 순수 예술의 체제 옹호주의며, 제반 사항들을 폐쇄적으로 철저히 구분하려는 반동적 유미주의입니다. 순수 예술은 문화의 제반 영역을 구분하고 폐쇄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반-정치적 성향을 공고히하게 합니다.
과연 아름다움의 파편 속에는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순간적 갈망이 얼마나 강하게 자리할 수 있을까요? 아니나 다를까, 최문규는 변증법적 생산 미학을 추구한 마르크스주의 연구가, 이를테면 한스 마이어Hans Mayer 그리고 피에르 마슈레Pierre Macherey 등의 사회주의 예술에서도 가능한 실험적 시도 등을 아예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요약하건대 벤야민은 심미성을 추구하는 순수 미학 연구자라기보다는, 변증법과 새로운 생산 미학을 중시하는 비평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예술적 방식, 획기적인 표현 방법, 참신한 실험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인 자는 바로 벤야민이었습니다. 재차 말씀드리건대 벤야민이 시도한 신학적 예술적 은유의 시도는 문학과 예술의 확정된 이론 내지는 견해와는 별개로 파악되어야 할 것입니다.
'1 알림 (명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저) 김진석의 '더러운 철학' (0) | 2024.06.09 |
---|---|
구승모 교수님 (0) | 2024.06.09 |
(명저 소개) 완강함 속의 부드러움. 홍세화의『결: 거칢에 대하여』 (0) | 2024.04.19 |
홍세화 선생님의 죽음을 애도합니다. (0) | 2024.04.19 |
(명저 소개) 캐럴린 머천트의 '자연의 죽음' (0) | 2024.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