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근대불문헌

서로박: (3) 생시몽의 중앙집권의 유토피아

필자 (匹子) 2024. 2. 2. 10:30

 

(앞에서 계속됩니다.)

 

25. 요약: 생시몽의 유토피아는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 특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1) 미래의 이상 사회는 오로지 산업의 도움으로 실현 가능합니다. (2) 생시몽은 사회의 세 가지 계급에 대해 신랄한 비판의 화살을 겨누었습니다. 귀족, 수사 그리고 새롭게 성장하는 시민 계급 등은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고 탄압한다는 것입니다. (2) 생시몽은 사회 발전을 위해서 개혁과 혁명에 진취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4) 프랑스 혁명이 실패로 돌아간 것은 과거의 질서를 통째로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과거의 봉건 사회는 정치 개혁을 통해서 서서히, 다시 말해서 점진적으로 현대화의 길을 걸어야 합니다.

 

(5) 최소한 경제 영역에 있어서 봉건제도는 근본적으로 차단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자유 시장경제, 활발한 재화의 유통 그리고 생산 수단의 사유화 등은 사회의 변화에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6) 생시몽은 획득한 재화를 생산을 위해 투자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재화는 축적되어서는 곤란하고, 보편적 이익을 위해서 기독교 정신에 의해서 분배되어야 합니다. (7) 생시몽은 개개인의 자유를 중시했지만, 국가의 계획 그리고 국가의 전체적 방향을 설계하려고 했습니다. 대신에 국가 기관은 행정의 기능만 수행하는 식으로 축소될 것을 강조했습니다. 생시몽은 계몽주의자들처럼 역사적 진보를 추구했지만, 산업 사회의 잠재적 위험성을 간파하지는 못했습니다. (Heyer: 654).

 

26. 생시몽의 영향 (1): 생시몽은 자신이 아무런 영향력이 없다는 데 절망하여, 1823년에 자살까지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생시몽이 사망한 다음에 그의 사상은 진보주의자 그리고 보수주의자 할 것 없이 모든 사상가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습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생시몽에게서 사회의 개혁과 혁명을 위한 어떤 놀라운 착상을 발견하였습니다. 생시몽은 그의 독창적인 사회학적 논거를 고려한다면 지식사회학의 창립자나 마찬가지입니다. 생시몽의 제자, 오귀스트 콩트는 나중에 스승의 입장으로부터 거리감을 취했지만, 실증주의적 단초를 생시몽에게서 찾았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 로렌츠 폰 슈타인Lorenz von Stein, 카를 로드베르투스Karl Rodbertus 그리고 비스마르크 등과 같은 자유주의 사상가 내지 보수주의자가 생시몽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세부적 측면에서의 입장은 다르지만, 이들은 대체로 서로 다른 계급을 화해시키고 갈등을 희석시킴으로써 사회 혁명적 전복에 반대되는 대안을 찾아내려고 하였습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생시몽의 사상적 깊이와 포괄적인 스펙트럼을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특히 존 스튜어트 밀은 생시몽의 사상 뿐 아니라, 생시몽주의에 대해서도 일시적이나마 뜻을 같이하였는데, 특히 아망 바자르에게서 남녀평등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밀의 작품 여성의 예속The Subjection of Women(1869)은 생시몽주의자, 바자르가 아니었더라면, 결코 완성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생시몽의 사상적 영향을 언급할 때, 생시몽주의자들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아망 바자르 그리고 바텔르미 앵팡틴 등은 생시몽의 정태적 체제로서 중앙집권적 국가 시스템에다 사회주의의 방향성을 가미하려고 시도했습니다.

 

27. 생시몽의 영향 (2): 생시몽의 사상은 다양한 정치적 입장을 지닌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습니다. 비근한 예로 괴테의 파우스트2권 제 4막에서는 주인공 파우스트의 거대한 간척 사업에 관해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생시몽의 운하 사업에 관한 구체적 계획이 없었더라면, 나타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생시몽의 사상과 사회주의를 접목시킨 이념을 언급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것은 국가 권력에 관한 루이 블랑의 이론입니다. 블랑은 노동의 조직L’organisation du travil(1840)이라는 책에서 자신의 경제 정책 이론을 다음과 같이 피력하였습니다. 자본주의의 경쟁 원칙은 무산계급 뿐 아니라, 부르주아 계급마저 망치게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궁극적으로 사회의 양극화를 야기하고, 끝내는 내전 상태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가령 메르시에가 서기 2440을 통해서 17세기 후반의 파리의 현실을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였듯이, 블랑 역시 18세기 전반부의 프랑스 현실을 면밀히 분석했습니다. 이로써 그는 어떤 나름대로의 최선의 전략을 찾아냅니다. 그것은 권력을 지닌 국가의 힘이라는 사회의 근본적 축을 강조하는 일입니다. 지금까지 유토피아는 국가는 언제나 전체주의의 폭력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민초들을 억압하는 적대적 존재로 이해되었는데, 블랑은 국가를 오히려 중립적이고 중재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간주합니다. 만약 국가가 고위층의 관심사를 수행한다면, 그것은 노동자와 인민을 억압하는 수단이 됩니다. 그렇지만 국가가 일반 사람들의 관심사를 모조리 반영한다면, 국가는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 또한 얼마든지 대변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블랑은 주장합니다. 가령 프롤레타리아가 국가의 권력을 직접 가동할 수 있다면, 국가는 진보를 위한 막강한 무기가 된다는 것입니다. 노동자들에게 보편적 선거의 권한이 주어진다면, 모든 정치는 일반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을 위해서 행해지게 되리라는 것입니다.

 

요약하건대 블랑은 국가의 힘을 빌어서 사회적 약자에게 유리한 정책이 시행될 수 있으며,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확신하였습니다. 물론 블랑의 사상이 19세기 유럽의 현실에서 가진 자들의 농간과 책략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순진무구한 사고” (엥겔스)로 판명된 것은 사실입니다. 어쨌든 루이 블랑이 사상은 처음부터 인간의 사회적 삶에서 나타나는 자본주의의 경쟁의 방식을 사회주의의 협동의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사상적 출발점으로 정해놓았습니다. 블랑이 주어진 문제를 국가라는 전체적 구조의 관점에서 해결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생시몽의 영향을 읽을 수 있습니다.

 

28. 생시몽의 영향 (3): 20세기에 이르러서 생시몽의 구상은 자본과 노동 사이의 협동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력을 증강시키려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독일의 사민당 정치가로 알려져 있는 막스 코엔Max Cohen1918년 독일 평의회 혁명을 주창하였는데, 이때 그는 생시몽의 구상을 급작스럽게 실천하려고 하였습니다. 산업을 이끌어나가는 긍정적 국가를 완성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자본가와 노동자의 이권을 중재하여 이를 화해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코엔은 주장하였던 것입니다. 생시몽의 사상은 20세기에 이르러 유럽의 파시스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탈리아의 무솔리는 파시즘의 사회주의의 부흥을 일으키는 과업에 생시몽의 사회 시스템에 관한 구상안을 적극적으로 원용했는가 하면, 독일의 보수주의 사회학자, 헬무트 셸스키는 자신의 저서인과학 문명 속의 인간Der Mensch in der wissenschaftlichen Zivilisation(1956)에서 생시몽의 기술 관료주의의 사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바 있습니다.

 

(끝)

 

참고 문헌

- 박호강 (1992): 공동체와 유토피아, 서구 유토피아의 공동체 사상과 실제,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 육영수 (2002): 생시몽주의자들의 사회미학, 1802 1830, 서양사학 연구 7, 65 87.

- 최갑수 (1983): 생시몽주의와 전체주의, 실린 곳: 서양사 연구, 5, 1 29.

- Blanc, Louis (1847), Jean Joseph Ch.: L’organisation du travil, Bureau de la Société de l’Industrie Fraternelle, Paris.

- Engels, Friedrich (1968): Herrn Eugen Dührings Umwälzung der Wissenschaft, MEW., Bd. 20, Berlin.

- Heyer, Andres (2009): Sozialutopie der Neuzeit. Bibliographisches Handbuch, Bd. 2, Bibliographie der Quellen des utopischen Diskurses von der Antike bis zur Gegenwart, Münster.

- Jens (2001): Jens, Walter (hrsg.), Kindlers neues Literaturlexikon, 21 Bde, München.

- Kleinau, Elke (1987): Die freie Frau. Soziale Utopien des frühen 19. Jahrhunderts, Düsseldorf.

- Manuel, Frank Edward (1956): The New World of Henri Saint-Sim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56.

- Saage A (1999): Richard Saage, Saint Simons Utopie der Industriegesellschaft, in: UTPIE kreativ, H. 102, 76 87.

- Saage B (2002): Richard Saage, Utopische Profile, Bd. 3. Industrielle Revolution und Absolutismus, Münster.

- Saint-Simon (1977): Claude Henri de: Ausgewählte Werke, hrsg. Lola Zahn, Berlin.

- Schelsky, Helmut (1956): Der Mensch in der wissenschaftlichen Zivilisation, Stuttgart.

- Schmied (2007): Schmidt am Busch, H. C. u. a. (hrsg.), Hegeliamismus und Saint-Simonismus, Paderborn.

- Voigt, Andreas (1906): Die sozialen Utopien. Fünf Vorträge, Leipz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