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계속됩니다.) 셋째로 열대 지역의 탐구는 서구의 획일적이고 일방통행식의 학문적 접근 방법을 어떻게 수정할 수 있는가? 훔볼트가 열대 지역에 일방적으로 이전된다고 하는 서구 문명의 일방 통행성을 부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열대 지역의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문화 속에도 서구 문명이 채택할 수 있는 어떤 새롭고 유효한 자양이 도사리고 있는데, 그것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콩고 아이티 혁명은 프랑스 혁명을 촉발하는 근본적인 의향으로 이해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종찬 교수는 콩고 아이티 혁명이 프랑스 혁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서양의 역사학자들이 지금까지 외면한 하나의 독창적인 견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견해는 『훔볼트 세계사 自然史 혁명』 제3장에서 치밀하게 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