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내희 3

박설호: (3) 지배 이데올로기, 혹은 해방으로서의 성(性)

(앞에서 계속됩니다.) 5. 성의 억압을 통한 병리학적인 결과 일단 앞장에서 언급한 내용을 정리해보기로 하자. 성의 억압은 가부장주의의 사회에서 무엇보다도 기득권층의 이익을 위하여 하나의 윤리로 정착되었다. 오늘날까지도 효력을 발휘하고 있는 일부일처 제도를 생각해 보라. (엥겔스는 일부일처제가 생겨나는 시기를 야만의 시대에서 문명사회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파악한 바 있다. 이로써 여성의 노예적 삶은 당연한 덕목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각주: Siehe Fr. Engels: Der Ursprung der Familie, des Privateigentums und des Staats, Frankfurt a. M. 1978, S. 71 - 75.). 이러한 성 윤리는 부차적이고 병적인 충동을 제거시킬 뿐..

5 사회심리론 2025.04.21

박설호: (1) 지배 이데올로기, 혹은 해방으로서의 성(性)

1. 몇 가지 제한점과 문제점 필자가 본고에서 의도하는 바는 지배 이데올로기로서의 시민사회의 성 윤리에 대한 라이히의 비판을 분석함으로써, 라이히가 집중적으로 추구한 성의 바람직한 실천 및 성의 해방에 관한 제반 문제점을 추적하려는 것이다. 시민 사회의 성 윤리 및 가정 체제는 -라이히의 견해에 의하면- 역사적으로 볼 때 주어진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으로부터 파생한 상대적 개념이라고 한다. (예컨대 오늘날의 일부일처제는 가부장적 사회에서 -경제적 사회적 측면을 바탕으로 하여- 뿌리를 내린 것이다. 그러므로 이 제도가 그자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의 사고는 마르크스주의에 토대를 두고 있다. 또한 그의 성 경제학은 일차적으로 프로이트의 초기 이론을 초지일관 발전시키고 보완시킨 것이다. (각주: ..

5 사회심리론 2025.04.18

우리가 선호하는 학문 연구의 나쁜 경향

S씨,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나쁜 (?) 학문적 경향은 대체로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난해한 학문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세인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사람들은 쉽게 이해되는 것에 대해 코웃음 치며, 이를 경시합니다. 무릇 인간은 이해할 수 없는 무엇을 대하게 되면, 그 속에 어떤 사상적 깊이가 내재해 있다고 지레 짐작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알 수 없는 신비로움은 인간으로 하여금 궁금증과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요? 그렇기에 사람들은 그 무엇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려고 열심히 노력합니다. 그러나 나중에 그 무엇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게 되면, 사람들은 실망에 가득 찬 채 중얼거리지요. “아, 내가 이따위 것을 알려고 그렇게 노력했다니.”하고 말입니다. 어쩌면 우리..

2 나의 잡글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