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낭만주의 소설가, 루드비히 티크 (1773 - 1853)의 ?윌리엄 로벨 씨의 이야기?는 세 권으로 이루어진 장편으로서, 1795/ 96년에 익명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주인공, 윌리엄 로벨은 영국의 부유한 집안 출신의 청년으로서 어릴 적에 어머니를 잃었습니다. 그는 다소 유약한 심리 구조를 지닌 자로서, 타인의 유혹에 쉽사리 빠져드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주인공에게 자기 의지가 부족해서 인지, 아니면 그가 섬세하고 공상적이며, 정서적 분위기에 약하기 때문인지 모릅니다. 예컨대 윌리엄 로벨은 이웃의 아름다운 처녀, 아말리 윌몬트에게 깊은 연정을 느낍니다. 그러나 꿀 먹은 벙어리처럼 한마디 건네지 못하다가, 그미를 떠나보내고 맙니다.
주인공에게는 에드워드 버톤이라는 친한 친구가 있습니다. 그러나 에드워드는 아버지 월터의 요구에 따라 프랑스 그리고 이탈리아 등지로 여행을 떠납니다. 친구는 말하자면 그곳에서 몇 년간 교양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윌리엄은 친한 친구마저 떠나보낸 데 대해 매우 우울했고, 그후 고독하게 지냅니다. 이러한 우울한 정조는 주인공을 몇 년 뒤에 파리로 여행하도록 작용합니다. “수많은 배우의 도시”, 파리는 주인공의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윌리엄은 우연히 밝고 명랑한 이탈리아 처녀를 사귀게 됩니다. 그미의 이름은 로자였는데, 머리가 비상하고, 향락적 생활 습관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후에 전개되는 거의 모든 일은 로자와 관계됩니다. 윌리엄은 로자를 통하여 나이든 백작 부인, 루이제 블렌비유를 알게 됩니다. 블렌비유 부인은 우아하게 생긴 과부였습니다. 윌리엄은 부인에게 깊이 빠져듭니다. 블렌비유 부인을 통해 윌리엄은 “인간 존재의 거대한 비밀인 육체적 쾌락”을 맛봅니다. “왜냐하면 오로지 관능성이야 말로 우리라는 기계 속에 도사린, 첫 번째 굴러가는 바퀴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주인공은 자신이 어느새 어른이 된 것처럼 느낍니다. 이를테면 그는 육체적 욕망이 인간 개개인을 생동하게 만든다는 것을 비로소 깨닫습니다.
윌리엄은 여행을 계속하여, 로마에 도착합니다. 그곳에서 마주친 사람은 약간 천박한 계급 출신의 로잘리네라는 처녀였습니다. 로잘리네는 돈이 없어서 학교를 오래 다니지 못했는데, 눈동자만큼은 너무나 순수하고도 맑았습니다. 게다가 그미의 육체는 너무나 풍만하여 주인공은 거의 현기증을 느낄 정도였습니다. 달 밝은 밤에 윌리엄은 로잘리네를 공터에서 만납니다. 그는 결혼을 약속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그미와 성 관계를 맺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달콤한 몇 달이 지나갑니다. 로잘리네는 결혼의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합니다. 윌리엄이 결혼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을 때, 그미는 깊은 절망에 빠지게 됩니다. 그미의 절망은 결국 로잘리네를 자살하게 만들고 맙니다.
윌리엄은 무척 고통스럽고 미안한 감정에서 헤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마음을 가다듬고 이탈리아를 여행합니다. 그는 이탈리아 남부에서 로자와 재회합니다. 로자는 주인공을 어느 비밀스러운 단체로 안내합니다. 비밀단체를 관장하는 사람은 “안드레아 코시모”라는 남자였습니다. 그의 얼굴을 보는 순간 윌리엄은 격렬한 놀라움에 사로잡힙니다. 안드레아는 어린 시절에 아버지의 집에서 보았던 초상화 속의 어느 남자와 매우 흡사했던 것입니다. 며칠 후 윌리엄은 영국으로부터 슬픈 소식을 접합니다. 아버지가 유명을 달리 했으며, 월터 버톤이 술수를 사용하여 아버지의 유산을 가로챘다는 것이었습니다. 월터 버톤은 친구인 에드워드의 아버지였습니다. 아버지의 죽음은 주인공을 절망감에 빠지게 합니다. 윌리엄은 황급히 영국으로 돌아갑니다.
윌리엄은 아버지가 옛 친구, 에드워드의 아버지, 월터 버톤의 농간으로 인하여 목숨을 잃었으리라고 지레 짐작합니다. 윌리엄은 아버지의 복수를 결심합니다. 친구 에드워드를 독살하는 일이 바로 그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실패로 돌아가게 됩니다. 주인공은 작전을 변경하여, 친구의 여동생 에밀리를 유혹하여 겁탈해버립니다. 말하자면 열아홉 나이의 순결을 폭력으로 빼앗아버린 것이었습니다.
고통스러운 것은 그가 에밀리의 순결을 빼앗을 수 있지만, 그미의 사랑을 획득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여성에 대한 폭력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서받을 수 없는데, 윌리엄은 이를 처음부터 간파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윌리엄이 에밀리의 순결을 빼앗는 데는 성공했으나, 그가 주위로부터 얻게 된 것은 이웃의 냉대와 질시였습니다. 게다가 주인공은 아버지의 재산을 한 푼도 건지지 못합니다.
주인공은 거의 알거지 신세로 파리에 도착합니다. 그것에서 윌리엄은 카드 게임으로 삶을 연명해 나갑니다. 말하자면 사기도박으로 질긴 목숨을 연명하는 신세가 된 것이었습니다. 주인공은 순박하고 아름다운 이탈리아의 처녀, 로잘리네와 함께 했던 삶을 회고합니다. 윌리엄은 그미의 자살을 계기로 세상 삶에 대해 커다란 애착을 느끼지 못합니다. 주변의 세상사는 어떤 일이 벌어지더라도 그냥 기계 바퀴처럼 황량하게 굴러갈 뿐입니다. 그렇지만 윌리엄은 조만간 모든 고립주의를 떨치려고 작심합니다. “승리감을 구가하면서 사회의 상부에 서성거리고 있구나. 삶의 고통과 기쁨은 나를 떠나 있다. 우연과 임의로움이 내 자유를 가로막고 있는 것 같다.”
윌리엄은 로마로 돌아갑니다. 귀향길에서 주인공은 강도를 만나, 파리에서 조금 번 돈을 모조리 빼앗깁니다. 강도떼들은 그를 끌고 가서, 한 패로 일하자고 강권합니다. 윌리엄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강도의 일원으로 일해야 합니다. 비참한 환경 속에서 그의 마음을 지탱해 준 것은 언젠가는 비밀스러운 단체의 대표인 안드레아 코지모를 만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이었습니다. “내 존재의 열쇠를 지닌 자는 바로 안드레아일 것이다. 그는 내가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내 삶의 자물쇠를 풀어줄 게 틀림없다. 나를 보다 드높은 세계로 인도하게 될 사람이 바로 안드레아일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나는 내면의 조화로움을 찾을 수 있게 될 거야.”
윌리엄은 갖은 고초를 겪으면서, 강도 집단의 구역을 몰래 탈출합니다. 로마에 도착한 주인공은 천신만고 끝에 찾던 사람을 발견합니다. 그러나 그는 죽어가고 있었고, 어느 누구와도 만남을 거부합니다. 다른 한편 안드레아 코비모는 유언장을 남기고 사망합니다. 유언장에는 안드레아가 영국인이며, 워터루라는 이름을 지녔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알고 보니 안드레아 코지모는 윌리엄의 아버지의 절친한 친구였습니다. 안드레아는 놀라운 야심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는 모든 인간에 대한 지배자가 되기 위하여 비밀스러운 집단을 결성하기도 했습니다. 어느 날 안드레아는 로자라는 처녀에게 무언가를 명령합니다. 그것은 바로 윌리엄 로벨이라는 영국 청년을 유혹하여 살해하는 일이 바로 그 명령이었습니다. 로자는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너를 패망시킴으로써 안드레아는 너의 아버지에게 복수하고 싶었어.”
윌리엄은 깊은 충격에 휩싸입니다. 자신에 대한 안드레아의 계획은 바로 친구 아버지, 월터 버톤에 대한 자신의 계획과 동일했던 것입니다. 마치 자신이 월터 버톤을 찾아서 살해하려고 마음먹었듯이, 안드레아 역시 주인공을 살해하려고 작심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윌리엄은 정신 나간 사람처럼 이곳저곳을 방황합니다. 어느 날 칼 빌몬드라는 남자가 그 앞에 다가와서 결투를 신청합니다. 윌리엄은 결투 끝에 총을 맞고 사망합니다. 칼 윌몬트는 윌리엄의 몸을 일으켜 세우며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자신이 에밀리의 약혼자인데, 죽은 에밀리 버톤을 복수하려고 영국에서 지금까지 뒤를 추적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한 가지 놀라운 것은 카를이 젊은 시절 주인공의 첫사랑, 아말리 윌몬트의 남동생이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윌리엄 로벨 씨의 이야기"의 마지막 장면은 낭만주의의 전통과는 전혀 다른, 어떤 합리적 특성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사건의 진행 과정은 마치 거울 속에서 정 반대로 비치듯이 그렇게 다시금 주인공에게 역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이한 작품 구성 방식은 18세기 유럽의 통속 소설 내지 프리드리히 실러의 "영혼들의 무리 Geisterschar"에서 이미 나타난 바 있습니다. 참고로 한 가지 사항만을 덧붙이기로 하겠습니다. 티크의 소설 집필의 모범이 된 작품은 리처드슨의 "클라리사 Clarissa" (1748)였다고 합니다. 실제로 소설의 주인공은 리처드슨의 작품의 등장인물 로버트 로블락을 연상시킵니다.
'41 19전독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로박: 슈토름의 '삼색 제비꽃' (0) | 2022.05.14 |
---|---|
서로박: 그라베의 돈환과 파우스트 (0) | 2022.04.23 |
서로박: 티크의 "마녀의 안식일" (2) (0) | 2021.12.29 |
서로박: 티크의 "마녀의 안식일" (1) (0) | 2021.12.29 |
서로박: 귄더로데의 '꿈 속의 키스' (0)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