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동독문학

서로박: 하인의 '낯선 연인' (3)

필자 (匹子) 2022. 5. 18. 11:41

9. 클라우디아의 냉담한 태도: 지금까지 여주인공은 헨리와 교우했지만, 깊이 빠져들기를 거부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미는 스스로 사랑에 빠져 들까봐 두려워합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자신의 자의식을 침해하기 때문입니다. 헨리는 그미에게 친구이자 애인이지만, 낯선 남자에 불과합니다. 비록 정기적으로 그와 만나 동침하지만, 그미는 헨리가 자신의 삶에 개입하는 것을 처음부터 거부합니다.

 

한마디로 클라우디아는 자신의 고유한 감정에 이끌리지 않으려고 하며, 나아가 남들로부터, 특히 남자들로부터 기만당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를테면 타인에게 따뜻한 정을 주는 것은 결국 자신의 존재 전체를 타인에게 떠맡기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간헐적으로 외로움이 엄습하고, 사랑하는 임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싶은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그미는 스스로 이러한 감정을 의도적으로 배격하려고 노력합니다.

 

10. 사진 촬영: 클라우디아의 취미는 사진 촬영입니다. 사진의 소재는 놀랍게도 자연, 썩어가는 나무들 그리고 시골의 쇠락한 풍경입니다. 사람이 없는 자연이라든가 생물이 없는 풍경은 오히려 여주인공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위안을 가져다줍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풍경은 자신에게 어떠한 실망도 안겨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골의 풍경은 주인공의 내면을 그대로 반영하는 객관적 상관물과 같습니다. 이렇듯 클라우디아의 영혼은 시골의 쇠락한 풍경처럼 파괴되어 있습니다.

 

나는 모든 것에 대해 무장해 있다. 어느 누구도 나에게 상처를 가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용의 피에 목욕을 했다. 어떠한 보리수 잎사귀도 나를 위험에 빠뜨리게 하지 못할 것이다. 나는 이러한 피부 밖으로 나올 수 없다. 결코 상처 입을 수 없는 나의 껍질 속에서 죽어갈 것이다.”

 

소설은 제 9장에서 하나의 정점을 이룹니다. 작가는 여주인공으로 하여금 소도시 G.로 여행하게 합니다. 소도시는 클라우디아가 유년을 보낸 곳입니다. 여주인공은 이곳에서 과거의 학교생활을 기억합니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모든 것을 강압적으로 가르치곤 했습니다. 특히 견디기 어려웠던 것은 체조시간이었습니다.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최소한 1953년 6월 17일 동베를린 노동자 데모에 관해서 어느 누구도 발설하지 말아야 했습니다.

 

11. 클라우디아의 유일한 친구 카타리나: 소도시 G.에서 클라우디아는 절친한 친구를 떠올립니다. 그미의 이름은 카타리나였는데,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습니다. 카타리나는 고졸 학력 시험의 취득을 위한 상급학교의 진학을 거부합니다. 상급학교에 진학하려면, 누구나 사회주의 청년 동맹에 가입해야 했습니다. 카타리나는 사회주의 청년 동맹의 제반 활동이 자신의 종교적 믿음과 전적으로 위배된다고 판단했던 것입니다.

 

어느 날 카타리나의 오빠들이 서독으로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때 학교 당국은 은밀한 방법을 동원하여 카타리나로 하여금 전교생들로부터 “왕따” 당하게 조처합니다. 여주인공 역시 자신이 어째서 카타리나와 더 이상 만날 수 없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소도시의 낡은 여관에서 클라우디아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깨닫습니다. 즉 카타리나와의 깨어진 우정이 결국 누군가를 사랑하고 그로부터 사랑 받기를 두려워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사실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누군가를 사랑할 수도, 사랑 받지도 못하는 여주인공의 무능력은 궁극적으로 친구와의 사랑을 방해한 세상에서 비롯하는 것입니다. 마지막 장에서 소설의 화자, 즉 여주인공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나는 두려움 그리고 불신의 껍질로부터 빠져나오고 싶다. 그미가 보고 싶다. 나는 카타리나를 다시 얻고 싶다.”

 

12. 클라우디아의 성격상의 이중 구조 (1): 그렇지만 클라우디아가 바라는 작은 변화는 실제 현실에서 나타나지 않습니다. 헨리는 어느 술집에서 17세의 청년과 시비 끝에 심하게 얻어맞은 뒤 즉사합니다. 가까운 남자친구가 요절했는데도 그미는 전혀 요동하지 않습니다. 클라우디아는 무의식적으로 충격과 절망에 휩싸이지만, 의식적으로는 다시금 상처받지 않으려고 자신의 몸에 성격의 보호막을 두릅니다.

 

소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되고 있습니다. “나는 헨리의 죽음에 슬퍼하지 않는다. 그러한 감정은 자기 연민일 뿐이다. 나 자신 버림은 존재일 수는 없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여주인공은 남자친구의 죽음을 망각하고, 과거처럼 그렇게 살아갑니다. “나의 정서는 균형 잡혀 있다. 직장에서 어느 정도 사랑 받고 있다. 그 사이에 다른 남자 친구를 사귀게 되었다. 모든 일을 잘 할 수 있게 되었다. 그건 전혀 힘들지 않다.” 여기서 슬픔의 감정을 자기 연민으로 왜곡시켜 해석하는 것은 냉정함을 잃지 않으려는 이성적 인간의 자세가 아닙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살가운 사람이 죽었는데, 이를 자기 연민으로 돌리려는 것은 그 자체 심리적 방어벽의 폭력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슬픔을 자기 연민으로 받아들이려는 태도는 자위의 차원을 넘어서 자신의 고유한 감정을 차단시키는 인위적 행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서 독자는 여기서 주인공의 모순된 자아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미는 한편으로는 슬픔에 사로잡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애써 냉정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13. 클라우디아의 성격상의 이중 구조 (2): 이를테면 주인공 클라우디아의 태도는 서술되는 자아와 서술하는 자아로 분할되어 있습니다. 서술되는 자아는 이른바 용의 피를 뒤집어 쓴 자아라면, 서술하는 자아는 원래의 인간적 감정을 지닌 자아를 가리킵니다. 서술되는 자아가 모든 감정을 차단시킴으로써 심리적 안전을 보상받을 수 있다면, 서술하는 자아는 주위로부터 얼마든지 상처 입을 수 있는 클라우디아 자신의 고유한 이드 (ID)를 가리킵니다. 이를테면 서술되는 자아로서의 클라우디아는 특정한 대상을 염두에 두지 않고 성탄 선물을 구입합니다. 이에 반해 서술하는 자아로서의 그미는 낙태에 대한 절망감을 떠올리고 괴로워합니다.

 

또 다른 예를 들겠습니다. 주인공의 여동생, 이레네가 자신의 전남편 힌너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을 때, 서술되는 자아로서의 클라우디아는 이에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다른 한편 서술하는 자아로서의 클라우디아는 마치 자신이 경멸당하고 기만당했다고 여기고 오히려 여동생에게 큰소리로 저주를 퍼붓습니다. 요약하건대 클라우디아의 자아는 자신과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이중적으로 분열되어 있습니다. 그래, 우리는 분열된 자아의 소유자에게서 사랑하는 임을 잃어버린 데 대한 통곡을 기대한다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14. 분열된 이중 자아의 원인 (1) 부모의 성교육: 그렇다면 주인공은 어떠한 이유에서 이러한 분열된 이중구조를 획득하게 되었을까요? 클라우디아는 그것을 첫째로 부모로부터, 둘째로 사회로부터 인위적으로 습득하였습니다. 이를테면 그미는 학교 다닐 때 역사 선생님 게르슈케에 대해 좋아하는 감정을 품은 적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애호의 감정은 존경하는 선생님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순진무구한 꿈 많은 소녀에게 급진적인 성교육을 가르칩니다. 여자는 남자와의 거친 섹스를 통해서 임신하게 되므로, 절대로 결혼 전에 남자와 살을 섞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141쪽) 여성이라면 누구든 간에 자신을 지켜주는 한 남자만을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부모가 가르치는 성교육이지만, 작가 하인은 이를 구동독의 가부장적 금욕주의에서 비롯되는 이데올로기라고 암시합니다. 다시 말해서 클라우디아의 어머니의 견해에 의하면 성은 더럽고도 추악하며 위험한 무엇이라고 합니다. 이로써 어린 클라우디아의 마음속에는 성이 바로 성병이고, 구역질나는 무엇으로 각인되었습니다. 클라우디아가 부모를 찾아가는 것을 몹시 껄끄러워하는데, 그 까닭은 그미가 적어도 부모에 대해서는 심리적 방어막에 해당하는 성격갑옷을 걸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주경식: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