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20후독문헌

박설호: (1) P. M.의 "볼로 볼로"

필자 (匹子) 2023. 2. 6. 11:11

1. 스위스에서 출현한 글로벌 유토피아 『볼로의 볼로』: 1989년 말부터 유럽에서는 생태 공동체 운동이 우후죽순 격으로 탄생하였습니다. 놀라운 것은 1985년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개방”이라는 슬로건이 세계의 두 강대국 가운데 하나인 소련을 붕괴하게 하였고, 급기야는 1989년 독일에서 베를린 장벽 붕괴의 계기로 작용했습니다. 이후 사람들은 인간의 사회적 삶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더 이상 정치 유토피아가 아니라고 믿었습니다. 문제는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아니라, 전-지구적으로 확산한 생태계의 변화와 환경 파괴의 문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게 된 것입니다.

 

독일의 경우 통일이 생태 공동체 운동의 확산에 크게 이바지하였습니다. 독일 통일로 인하여 작센, 브란덴부르크 지역에서는 사람이 살지 않는 가옥들이 마구 잡이로 생겨났습니다. 독일의 주정부는 이러한 가옥들을 헐값에 내놓았는데, 생태 공동체 운동을 추진하려는 사람들은 가옥을 구입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어쨌든 1990년부터 동서독은 물론이고, 유럽 전역에서 생태 공동체가 생겨났고, 남녀평등 및 환경 평화 운동을 추구하게 됩니다. 한 가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항은 유럽 전역에 퍼진 생태 공동체들이 인터넷 등의 매체로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면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네트워크를 통한 전-지구적 생태 공동체 운동의 시초는 1983년 스위스에서 설계된 “볼로의 볼로” 유토피아 공동체가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2. “볼로의 볼로”, 디아블로, 혹은 익명의 공동체에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개인들: 1983년에 독일어권 문학 시장에 기이한 책이 간행되었습니다. “볼로 bolo”는 프랑스어에 의하면 마약과 같은 불법 물품을 구입하는 고객 내지는 강도에게 돈을 강탈당하는 인간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자는 볼로를 사모아 제도의 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자치 단체를 연상했다고 합니다. 『볼로의 볼로』에서 볼로는 인간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500명 단위의 생태 공동체를 지칭하는 명칭입니다. 따라서 제목이 “생태 공동체들의 생태 공동체들”이라는 의미를 지니는 것은 당연합니다. 저자는 볼로라는 표현으로 “공산주의의 사회 시스템”을 설계하려고 하였습니다. 말하자면 레닌이 20세기 초에 국가 중심의 공산주의 국가를 염두에 두었다면, P. M.은 20세기 말에 공산주의의 경제 방식으로 운영되는 개별 아나키즘 공동체를 떠올린 셈입니다.

 

그런데 공동체 사람들이 자신의 그룹을 “볼로”라고 명명한 것은 그 자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곳의 사람들은 더 이상 기존의 거대한 국가 시스템으로 기능하는 경제 체제에 의해서 이리저리 농락당하고 이용당하는 개체로 살지 않겠다고 대외적으로 선언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볼로의 볼로”란 “수많은 공동체”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소통을 위한 연결 고리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생태 공동체가 전-지구적으로 확산되어 기존의 국가 시스템으로는 도저히 통제될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해줍니다. 미리 말씀드리건대 “볼로의 볼로”는 자본주의의 경제 구조를 박차고, 소규모의 자생적인 수많은 공동체의 집단을 가리키는, 과히 혁명적인 단체가 아닐 수 없습니다.

 

3. 저자는 누구인가?: P. M.은 우리에게 일견 “오후”를 연상하게 해주지만, 스위스의 전화번호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성과 이름의 이니셜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나중에 한스 비드머 (Hans Widmer, 1947 - )로 밝혀지게 됩니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으려고 하였습니다. 한스 비드머는 오랫동안 스위스의 김나지움 교사로 일한 사람으로서,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스위스의 리그스윌에서 자랐습니다. 그는 스위스의 도시, 호흐도르프, 이멘제에서 중등학교를 다녔으며, 스위스의 베켄리드 대학교, 에스파냐의 부르고스와 발렌시아의 대학교 오스트리아의 인스부르크의 대학교에서 문학과 철학을 공부하였습니다. 비드머는 『희망에 관하여 Über die Hoffnung』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는데, 이때 그의 관심이 문학 유토피아로 향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달은 바 있습니다.

 

비드머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스위스의 여러 지역에서 김나지움 교사로 일했습니다. 김나지움에서 그가 가르친 과목은 철학, 종교 그리고 에스파냐어였습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비드머는 1983년에 P.M.이라는 가명으로 『볼로, 볼로』를 발표하였는데, 이 책은 간행된 지 3년 만에 약 이십만 권 팔려나갔으며, 어느새 약 7개 국어로 번역되기도 하였습니다. 1989년에는 P.M. 이라는 필명으로『암버랜드. 여행기』라는 책이 간행되었습니다. 비드머는 집필활동 외에도 정치에 관여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를테면 1996년부터 2010년까지 그는 루체른의 인민 평의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우리는 본명을 사용하지 않고, 작가의 이름을 저자의 뜻대로 P. M.으로 사용하기로 합니다.

 

4. 문학 유토피아의 요소: P. M.의 『볼로의 볼로』는 문학 작품이기는 하지만, 마치 이론적 논문과 같은 인상을 강하게 풍기고 있습니다. 책에는 등장인물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줄거리도 없다는 점에서 소설 문학이라고 말하기에는 약간 불충분하고 어설픈 느낌을 전해줍니다. 그렇지만 작품은 어떤 가상적 현실이라는 문학적 특징을 분명히 독자에게 전해주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 작품을 문학 유토피아로 수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볼로의 볼로』는 통상적으로 문학 유토피아가 지닌 세 가지 특성을 모조리 포함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사항은 기존 현실에 대한 간접적인 비판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P. M.은 국가 중심의 경제 구도 및 경제적으로 종속된 개개인들의 부자유스러운 삶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사항은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입니다. P. M.은 기존의 국가 중심의 이기주의적 정책과는 반대되는, 정치 경제적으로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사항은 기존의 국가 체제를 부정한다는 점입니다. P. M.은 국가의 세력이 현저하게 약화되고, 그 대신에 개별 공동체, 볼로스가 전 지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5. 체제 파괴적 무정부주의 그리고 개개인들의 연대 작업: 사실 비드머는 유럽의 68 학생 운동 세대에 속하는 작가입니다. 당시 젊은 세대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강대국의 개입에 항의하였고, 70년대에는 핵에너지를 생산해내는 원자력 발전소 및 대륙간 탄도탄, 퍼싱 2의 서유럽 지역에서 설치하려는 정책에 정면으로 반대하였습니다. 또한 40년대 출생 세대는 서유럽 전역에 퍼진 국가 중심주의의 정책에 항의하는 시위에도 참여하였습니다. 이들이 가장 관심을 기울인 문제는 미소의 거대 권력 집단의 정치적 횡포 그리고 제 3세계에 대한 착취구도 그리고 환경 파괴 등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한스 비드머가 비국가주의의 생태 공동체 운동을 지향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예컨대 그가 현대인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태도로 생각하는 것은 스테판 에셀 Stéphane Hessel의 “격분하라.”, “연대하라.” 그리고 “참여하라.”라는 정치적 전언입니다. 에셀은 프랑스 레지스탕스 저항운동가로 살다가 체포되어 독일의 강제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유대인 작가입니다. 그는 자신의 일련의 저서에서 국가가 저지르는 불법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방책은 동지들과의 연대밖에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규정하였습니다. 오늘날 국가가 저지르는 불법에 대항할 수 있는 방책은 불법에 대한 인식, 동지들과의 연대 작업 그리고 비폭력 저항운동이라고 했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작품에서 그대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