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나이 2

자크 라캉: 팔루스의 의미 (3)

(앞에서 계속됩니다.) 기표의 이러한 고통은 인간의 조건이라는 새로운 차원을 밝혀줄 것입니다. 적어도 그게 무언가를 발설하는 인간을 가리킬 뿐 아니라, 인간의 내면 그리고 인간에 의해서 발설되는 “그것 ça”을 가리키는 한 그러합니다. 인간에 의해서 발설되는 그것 속에는 인간의 본성 속에 은폐된 어떤 효과가 뒤섞여 있는데, 이로써 우리는 언어의 구조를 재발견할 수 있으며, 그 소재가 되는 심리적 특성을 간파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제반 이념의 심리학이 파악할 수 있는 무엇의 저편에서 어떤 의미에서 벗어난 발화의 상관관계가 메아리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무의식의 발견의 결과가 이론적으로 단 한 번도 아직 제대로 예측된 바 없다고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무의식의 발견을 실천적으로..

30a Lacan 2017.07.04

자크 라캉: 팔루스의 의미 (2)

(계속 이어집니다.) 이러한 무지는 표현의 기술적 의미에서 잘못된 인식이라는 의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누군가 타인에 의해서 현혹당할 때는 그러한 의심은 더욱 강화될 것입니다. 어째서 인간의 성적 쾌락을 누리는 행위가 단 하나의 방식의 짝짓기로 규정될 수 있을까요? 성관계는 가령 롱고스Longos의 소설 『다프니스와 클로에』에서 묘사된 바 있듯이 나이든 노파의 주문에 따라 성년식을 치르는 남녀 관계와 반드시 일치되지는 않습니다. 그리하여 몇몇 연구자들은 팔루스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해명하였습니다. 즉 팔루스는 시기적으로는 성을 거부하는 방어기제의 효과로 작용하며, 팔루스라는 객체가 상정하는 기능은 하나의 병적인 증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게 구체적으로 어떤 증상인가? 하고 물을 ..

30a Lacan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