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피에리 3

서로박: (3) 알피에리의 '미라Mirra' (1787)

(앞에서 계속됩니다.) 11. 비극작품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알피에리는 이탈리아의 낭만주의 그리고 신고전주의를 아우르는 대표적인 작가이지만, 특히 「미라」는 고전적인 연극 구조를 전혀 따르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이 작품은 -에우리피데스Euripides 그리고 라신느Racine가 집필한 파이드라 드라마에서 묘사된 바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즉 신의 뜻을 거부하는 인간은 처참한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는 주제 말입니다.  사실 파이드라는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서 영웅 테세우스의 두 번째 부인이 되는 여성입니다. 그미는 테세우스의 아들 히폴리토스를 사랑하게 됩니다. 이는 아프로디테 여신의 농간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히폴리토스가 자신의 사랑에 응하지 않자, 격노하면서 스스로 ..

34 이탈스파냐 2024.11.05

서로박: 알피에리의 '비르지니아'

“전제 정치란 어떤 정부든 간에 법의 집행이라는 미명 하에 법을 만들고, 파괴하며, 부수고, 판결하며, 무고한 인간들을 방해하고 그들의 자유를 중지시키거나, 때로는 면책을 보장함으로써 그 법들을 교묘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무엇이다.” (Vittorio Alfieri: Della tirannide) 이 글은 지금으로부터 235년 전에 이탈리아의 극작가, 비토리오 알피에리가 남긴 말입니다. 현재 이 글을 읽으면 우리의 뇌리에는 두 가지 사항이 당장 연상될 것입니다. 그 하나는 현재의 윤석열 정권의 무도한 폭정이며, 다른 하나는 역사의 무심함일 것입니다. 알피에리의 생애 이후에 수백 년이 지났는데도 역사와 민주주의는 발전되지 못하고, 여전히 답보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는 게 우리의 마음을 답답하게 합니다...

34 이탈스파냐 2024.10.31

블로흐와 아도르노의 유토피아 논쟁 (3)

아도르노: 헤겔은 가능성의 개념을 나쁘게 언급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블로흐: 가능성의 개념은 헤겔에 의해서도 나쁘게 다루어졌지요. 헤겔은 가능성에 대한 종래의 견해를 어쩔 수 없이 수용하면서 가능성을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개념으로 취급하고 말았지요. 실재하지 않는 것은 어떠한 가능한 무엇도 아니라고 여겼습니다. 가능한 것은 헤겔의 견해에 의하면 현실적인 것으로 직결되었으니까요, 말하자면 그것이 현실적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다고 헤겔은 생각했습니다. 그러니까 가능성의 카테고리는 헤겔의 경우 하나의 주관적 성찰의 카테고리였습니다. 아도르노: 가능성이란 개념이 그냥 지붕 꼭대기 위로 올라간 셈이로군요. 블로흐: 그런 셈이지요 가능성의 개념은 처마위로 올라갔지만, 지붕 밖으로 돌출해 나오지는 못했..

30 bloch 대화 2021.09.07